친구의 소개로 읽게된 격월간지입니다.
현재 핫한 한일갈등에대한 각 저자의 글과 잡지의 제목에 맞는 녹색(농업,생태,후쿠시마 등) 에 대한 글이 장르(평론,시,서평)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열심히 읽던 ‘인물과 사상‘이번달로 무기 휴간에 들어가서 이제 이책으로 갈아타야 겠습니다.^^

건강한 사회가 되려면 결코 시장논리에만 맡겨 놓아서는 안될 공공재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 ‘사회적 공통자본‘ 이라는 것이죠. 예를 들면, 대기와 물,바다. 하천, 갯벌, 숲, 토양 등 자연적 공공재, 도로, 교통수단, 상하수도,전력, 가스 등의 사회적 인프라, 그리고 교육, 의료, 행정, 사법, 금융 등.의 제도적 자본이 그것입니다. P19

자민당 정권을 대체한 호소카와모리히로(細川熙)의 비자민당 연립정권은 일본의 침략전쟁을 시인하고한반도 식민지배에 대한 반성과 사과를 표명했다. 1995년에 자민사회 연립정권 수반인 사회당의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 총리가 한반도 식민지배에 대한 "통절한 반성과 사죄"를 표명한 무라야마 담화를 발표했다. P27

일본의 총리 아베 신조가 ‘한일합의‘라는 후안무치한 제안을 하고, 그실패를 피해국(한국) 정부의 책임으로 돌리는 파렴치한 언동이 나온 배경,
나아가서 그러한 아베의 외교정책을 정당한 것으로 여기고 문제를 느끼지 않는 일본 국민과 미디어의 배경에는, 위에서 말했듯이, 전쟁책임 문제를 인식하는 방식에 결정적인 결함이 있기 때문인 것이다. P61

국가 국민의 운명을 전부 정치가의 손에팔겨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그들의 행동이나 성과나 실패를 관찰 장악, 판정하는 것으로 그쳐서는 안됩니다. 우리에게는 자신들의 역사를 이해하고, 제약이나 편견에 속박되지 않은 자유로운 입장에서 정치가들의 업적과 실패를 평가해야 하는 의무도 존재하는 것입니다. P84

타인의 자녀를 품는 가장 이타주의적 행위로 여겨지는 해외입양이 실은그것과는 가장 거리가 먼 것 같은 전쟁, 경제개발, 새로운 형태의 제국주·의, 이를 뒷받침하는 이데올로기로서의 종교 등과 깊은 연관이 있음을 보여준다. P2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