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년대생인 작가가 90년대생에 대해 꼼꼼하고 열린마음으로 기록한 책입니다. 저는 60년대 끝자락에 태어난 이른바 꼰대세대 입니다만 들어가는 말부터 맺는말까지 대부분의 글에 동의하며 읽었습니다. 저라고 20대 시절에 기성세대의 언행이 그리고 조직의 생리가 모두 동의가된 것은 아니지만 마음속으로 누르고 지냈던것 같은데 지금의 세대는 바로 그 마음의 소리를 표현한다는 것이 큰 차이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행동에 옮긴다는 것이 제눈에는 그리 불편하거나 나빠보이지 않습니다. 오히려 지금의 세대가 더 개인주의적이지 않고 세상과 어울려 살아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세상은 점점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 세상의 흐름에 발을 걸려고 하는 것보다 자연스럽게 적응하는 제가 되었으면합니다.

‘내가 이제는 새로운 것이 아닐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자연스럽게 새로운 세대를 맞이하며 공존의 길을 찾는 일일 것이다. P13
과거 경험이 이젠 판단의 기초 혹은 가르침의 근거가 되지 못하는 시대가 되었는지도 모른다. P68
그들에게는 온전한 정직함을 담보하지 못할 대안은 없는편이 낫다. P113
그들에게 필요했던 것은낡은 통제 방식이 아닌 대화였다. P205
이제는 우리도 이들을 조직의 문제아로 인식하는 것을 넘어, 이들의 성장과 생활 전반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너희는 참 는 법을 배워야 해‘라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참을 수 있는 환경 을 조성하고 적응을 도와주는 것이 90년대생들이 맞이하는 조 직의 새로운 리더십이 될 것이다. P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