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자면 이 시기 김승옥 소설들은 남성주인공들이 '순수한 세계'에서 '힘의 논리가 지배하는 세계'로 진입하는 길목에 여성들이 걸림돌처럼 놓여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어린 시절 그녀들은 착하고 고우며 총명한 누이이거나 친구였지만, 남성연대의 세계에서 여성들은 성적 대상으로 환원되고 그녀들의 섹슈얼리티는 자본의 교환물이 될 뿐이라는 것을 남성주인공들은 알고 있는 것이다."
"이때 여성 훼손과 더불어 중요한 것이 바로 '고백'이라는 장치다. 음모의 일원이 되었지만 이들 주인공에게는 한 줌의 죄의식이 남는다. '나는 무진에서 서울로 올라왔고, 다락에 숨어 지내던 폐병 환자에서 거대 제약 회사의 간부가 되었지만 모든 걸 잊고 남성적 힘의 질서에 완전히 동화된 것은 아니다. 나는 무위의 젊은 날을, 무진을, 안개를, 죽은 술집 여자를, 광기를 기억한다.' 남성주인공들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여성을 희생양 삼았다는 죄를 고백하는 주체'라는 점이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이 '고백하는 내면'이 그의 죄의식 자체에 독자들로 하여금 감정이입하도록 만드는 효과를 자아낸다. 윤희중은 무력했던 청년에서 성공한 회사 간부가 되었다. 이렇게 극적으로 변화한 외적인 조건에도 불구하고 독자들이 소설을 관통하면서 변함없이 보이는 주인공의 내면 풍경을 따라가게 되는 것은 그가 자신의 변모에 대해 느끼는 죄의식과 거부감을 '고백'함으로써 일관된 자기 동일성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세상의 속됨을 바라보는 자이면서 스스로도 또 속절없는 속물이라는 사실 사이에, 힘의 남성연대와 여성으로 대표되는 약자들의 세계 사이에, 즉 무진과 서울 사이에 끼어 있다. 그런데 문제는 그가 이 분열에서 벗어나려 하기보다 그 안에 계속 머무르고 싶어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점이다. 이 분열은 고통스럽지만 또한 남성주인공이 자기동일성을 위해 의존하고 있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윤희중은 기만적인 자신을 혐오하면서도 동시에 스스로가 기대고 있는 분열이라는 조건 자체에 나르시시즘적으로 고착되어 있는 셈이다."
ㅡ 강지윤의 "감수성의 혁명과 반(反)혁명' 중에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은 올해에 나온 책들 중에서 유난히 인상적인 공저이자 다른 한편으로 뒤늦게 이곳에 도착한 저서이기도 하다. 페미니즘적, 젠더적인 독법으로 한국 문학 다시 읽기라는 과업은 (적어도 대중적인 서점가의 영역에만 한정하자면) 조금 늦게 시작된 감조차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