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밥, 혹은 혼魂밥
김신용
혼자 밥 먹는 거...... 마치 처마 끝에 매달려 떨어질 때를 기다리는 물방울 같은 거......
일할수록 더 가난해지고 지겹도록 일을 해도 제자리를 못 벗어나
꿈도 희망도 포기한 민달팽이 세대처럼...... 혹은 n세대처럼
모든 걸 포기하고 무연無緣사회로 가는 길목에서, 혼자 밥 먹는 거 같은......
마침내 저녁이 없는 삶이어서, 걸으면서 컵라면이나 김밥으로 한 끼를 때우면서
컵라면이나 김밥 한 줄의 없는 영혼을 상상하는...... 없는 영혼을 상상하므로
자신도 없는 존재라고 생각하면서...... 스스로 없는 존재라고 생각하므로
비로소 존재한다고 느끼면서...... 그렇게 물방울처럼 떨어질 때를 기다리는......
그렇게 물방울처럼 떨어질 때를 기다리고 있는...... 이 결심이...... 다짐이....... 추락이....... 낙하가......
혼밥의 혼이라고, 눈을 빛내고 있는 것 같은...... 그래, 아무리 일을 해도 가난을 못 벗어나는 워킹 푸어처럼
그렇게 스스로 포에지 푸어가 되어...... 아무런 의미 없이 떨어지는
물방울 하나의 의미를 위하여...... 낮은 처마 끝에 매달려서도
추락의......, 그 빛나는 순간을 기다리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김신용 시인의 여덟 번째 시집이라고 한다.
얼마 전에 편혜영 소설가의 신작 소설집에 대해서 인물들의 온도와 동감動感이 느껴지지 않는다고 평가한 적이 있다. 바꾸어 말하자면 인물들이 서사를 이끄는 재료로(만) 그 의미가 한정되면서 박제화되어 있는 양상을 띤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인물 형상화가 현대 사회 속에서 무감각해진 인간들을 은유하는 것인지 아니면 조탁 및 세공 능력의 부족에서 기인하는 것인지는 알지 못한다. 아마도 전자와 후자가 작품에서 동시에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데 그럼에도 인물들을 정형화된 수법으로 반복 생산하고 있다는 느낌을 감추기 어렵다.
김신용의 시 한편을 읽고 나니까 편혜영 소설에서 느꼈던 아쉬움과 의구심이 어느 정도는 해소되는 느낌을 받는다. 흔해빠진 비유를 들다면 이 사람은 여전히 몸에서 나오고 있는 피를 종이에 옮긴다. 그것은 자신의 몸에서 흘러나온 피이며 때로는 타인의 혈관에서 흘렀던 피이다. 한국 문학에서 피를 찍어서 글을 쓴다는 작가들은 예전보다 희소해졌다. 세련과 독창과 첨단을 말하는 목소리는 높은데 세속의 누추와 결여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지, 이것을 단순히 타인의 고통으로 치부할 것이 아니라 작가의 인식과도 어떻게 공명하는지 고찰해야 하는 시도는 잘 보이지 않는다는 인상을 받는다. 이런 갑갑증이 느껴질 때 나는 김신용의 시집을 집어든다.
적어도 나에게 김신용은 고은, 서정주와 같은 이름값 높고 세계적인 명성을 누렸던 시인들보다 몇백 배는 더 훌륭한 작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