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마음동호회
윤이형 지음 / 문학동네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작가는 어깨와 펜에서 힘을 뺄 때 청아한 작품이 나온다는 생각이 든다. 달리 말해서 과학적 상상력에 힘입은 글과 사회적 경향을 의식하는 글을 읽노라면 선함이나, 올바름에 과하게 경도된 나머지 작가 자신이 애상적/윤리적인 존재라는 것을 ‘표나게‘ 강조하려는 어떤 태도만이 보인다는 뜻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다맨 2019-11-04 17: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소설집 앞부분에 실려 있는 ‘승혜와 미오‘와 ‘마흔셋‘ 정도를 빼면 마음에 드는 작품들이 없었다. 내가 보기에는 이 작가는 과학적 상상력에 의존하거나 최근 유행하는 특정한 문학적 경향(페미니즘, 상실과 애도 등등)에 착목할 때ㅡ 다른 이들이 보기에는 어떠할지 모르겠으나ㅡ 나 같은 독자의 예상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선함‘과 ‘약함‘과 ‘옳음‘을 강박적으로 지향하는 듯한 글이 나온다. 그리고 이러한 지향성은 인식의 확장이나 주제의 심화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작가 자신의 ‘맑고도 정의로운 품성‘을 지나칠 정도로 반복 역설하는 듯한 인상을 자아낸다.
‘승혜와 미오‘와 ‘마흔셋‘은 상술한 것처럼 작가가 ‘조금은 힘을 빼고‘ 쓴 작품들로 내게 읽힌다. 부언하면 이 작품에서 두드러지는 것은 기발한 설정이나 유행하는 경향성보다도 작가의 분신으로 보이는 화자(들)의 자조적/체념적 태도와 인생과 타인을 향한 세심한 시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