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로의 초점
마쓰모토 세이초 지음, 양억관 옮김 / 이상북스 / 2011년 11월
평점 :
절판
제로의 초점은 일본 사회파 미스터리의 아버지라 불리는 마쓰모토 세이초의 작품입니다. 개인적으로 일본 사회파보다는 본격 스타일의 미스터리를 선호하는 편입니다. 왜냐하면 일본 사회파에 등장하는 사회적 문제가 일본의 것이기 때문에 범죄의 배경과 동기가 그다지 마음에 와닿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 사회적 병인이 우리나라와 유사하면(한국이 일본 경제를 모델로 그 뒤를 쫓아왔기 때문인지 일본에서 발생한 사회적 문제가 시차를 두고 우리나라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더군요. 카드 문제라든가, 부동산 문제라든가. 미야베 미유키 여사가 화차와 이유에서 저 두 문제로 제대로 다뤘죠. 이래서 미미 여사를 마쓰모토 세이초의 장녀라는 식으로 표현하는 모양입니다.), 또 기분이 나빠져서 읽기가 싫어져요.
제로의 초점에서 등장하는 사회적 문제는 우리나라에서도 일어난 일이지만 읽는데 불편한 점은 없었습니다. 지나온 옛일이기 때문입니다.
이 작품의 사회적 배경은 50년대 말입니다.(종전 후 13년이라는 표현을 보면 1958년 정도인 듯합니다.). 50년이 넘는 세월은 사회 문제를 좀 떨어져서 바라볼 수 있게 만듭니다. 그래서 편하게 읽었습니다. 대신 낡은 느낌이 약간 듭니다.
사회적 문제는 조금 낡았어도(저는 이편이 더 좋았습니다만), 재미는 낡지 않았습니다. 사회적 문제를 빼놓고 보더라도 잘 쓴 작품이기 때문입니다.
데이코는 선을 봐서 겐이치와 결혼하는데 솔직히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상대를 잘 알지도 못하는 상태에서 데이코는 왜 결혼을 했을까요. 뭐 어쨌든 결혼을 했고 신혼여행도 무사히 마쳤습니다. 그런데 출장을 떠난 겐이치가 실종이 되어 버립니다.
데이코는 익숙하지 않은 존재인 남편을 찾기 위해서 그의 자취를 쫓아나갑니다. 그리고 사건의 진상과 마주치게 됩니다.
책 중반부에서 범죄의 배경과 범인을 알아냈습니다. 예전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유사한 스토리를 본 적이 있어서 자연스럽게 떠오르더군요.(KBS에서 추리 단막극을 간혹 만들어서 방영했는데, 꽤 재밌었어요. 의외의 스토리 전개가 어린 눈에 대단해보였거든요. 나중에 커서 보니 외국의 추리소설을 베낀 경우가 많더군요.).
마지막으로 결말과 관련해서 잠깐 언급하겠습니다. 사회파든 본격이든 일본 추리 작가들은 **의 **로(스포일러 방지 차원에서) 결말을 짓는 경우가 많은데 영미 미스터리 쪽에서는 저런 경우를 본 적이 거의 없는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