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바라기를 손에 쥔 가영을 보며 당차고 올곧은꽃말을 되새겼다. 모자라지도 과하지도 않게 물과 햇빛을 주면서 일로 만나는 사이를 가꿔 나가려 한다. 우리는 어떤 열매를 맺고 또 어떤 씨앗을 남기려나. - P58

엄마처럼 살기 싫다는 문장은 오래전에 폐기했다. 아무리 노력한다 해도 나는 엄마만큼도 살 수 없을게 분명했다. - P65

우선 조언대로 내비게이션을 켜는 상상부터 해야겠다. 잘 늙는 것만큼이나 계속 가는 것이 중요하니까. - P74

성소수자의 존재는 찬성과 반대를 나누는 영역이 아니므로, 두 글은 애초 주장에 심각한 오류가 있을 뿐 아니라 논리도 빈약했다. - P81

무엇보다 이해와 오해를 반복하며 다 된 영화에함께 글을 얹을 다음 사람이 기다려진다. - P85

보고조금 아까 불이야 하고 소란을 피운 건무지개였습니다벌써 한 시간도 넘게 늠름히 떠 있네요-미야자와 겐지, 봄과 아수라 - P89

왠지 허기져서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빵집에 들렀다. 푹신하고 싱거운 것으로골랐다. 이것이 여름의 일이다. - P97

나는 잘못 자고 잘 못 잔다. 회복과 재생, 밝은 미래와 간절한 사랑을 후순위로 미루고 배수구나 지켜본다. 나무젓가락으로 구멍을 후벼 작은 돌과 꽁초를 건져 올리면서 안도하고, 무알콜 맥주에 취한 채 허리를 두드린다. - P103

맥락 없는 두려움에 휩싸이면 "결국 나 때문에다 망쳐버릴 거야"라거나 "아무도 모르는 곳에서 새로 시작하고 싶어 "처럼 자의식 과잉의 대사를 중얼거리게 되는데, 그냥 그쯤에서 ‘방금좀 과했지?‘라며 시동을 끄는 것이다. 스스로 죄를 사할 수 없으니 여기까지만 하자고 다짐한다. - P105

곧 새해다. 모든 소란을 무지개라고 바꿔 적는다. 보고 끝. - P110

하지만 감탄과 실망 사이를 왕복하며 많고 많은 영화 속에서 허우적대다 보면, 나도 모르게 중얼거리는 순간을 맞이한다. - P115

학교를 졸업하고 영화 일에 뛰어들었다. 돌이켜보면 당시 내게 독립영화란 나와 내 친구의 얼굴을 보여주는, 신기하고 드문 공간이었다. - P117

그러니까 누군가는 독립영화와 상업영화를 동시에 만들고, 장편을 내놓은 후에도 단편을 제작한다. 중요한 것은 그 영화에 맞는 가장 적절한 형식을 찾아내는 일이다. 돈이 부족해서 발생하는 제약을 허들로 여기는 대신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길어 올리는 우물처럼 활용하는창작자도 있다. - P121

. ‘갓생‘을 꿈꾸지는 않았다. 그저 청소하는 대여섯 시간이 하루 전체를 쥐고 흔들지는않기를 바랐다. - P13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그림을 그릴 때 현미경을 자주 이용한다. 식물을 그리려면 내 두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꽃받침의 털, 꽃밥의 형태와 같은것들을 관찰해야 하기에 그럴 때는 현미경 렌즈의 힘을 빌린다. - P222

빨판과 갈고리를 이용하는 식물도 있다. 덩굴장미와 나무딸기는 갈고리를 나뭇가지에 걸어 이를 지지대 삼아 오르고, 담쟁이덩굴의 덩굴손 끝부분에는 빨판이 있는데 그 덕분에 자신보다250배 무거운 무게를 지탱할 수 있다. - P217

타피오카의 원료인 카야마는 시안화물을 함유하고있어 끝에 가려한 후 사용한다. - P195

식물을 관찰하고 그림으로 그리는 과정에서 손으로 식물을만질 일이 많기에, 나도 모르게 관찰 중간중간 손을 깨끗이 씻는버릇이 생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하, 라벤더와 같이 향이 아주 짙은 허브 식물은 특유의 향이 며칠이고 손에 남아 있던 적도있다. - P204

평소 특별히 좋아하는 꽃이 무엇이냐는 질문을 자주 받는다.
식물을 객관적으로 기록해야 하는 나로서는 모든 식물을 평등하게 대해야 하기 때문에 마음속에 특별히 좋아하는 꽃을 두려고 하지 않는 편이지만, 그중에서도 유난히 기록하고 싶은 꽃, 사람들에게 이야기를 전하고 싶은 꽃은 있다. - P2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그림을 그릴 때 현미경을 자주 이용한다. 식물을 그리려면 내 두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꽃받침의 털, 꽃밥의 형태와 같은것들을 관찰해야 하기에 그럴 때는 현미경 렌즈의 힘을 빌린다. - P222

빨판과 갈고리를 이용하는 식물도 있다. 덩굴장미와 나무딸기는 갈고리를 나뭇가지에 걸어 이를 지지대 삼아 오르고, 담쟁이덩굴의 덩굴손 끝부분에는 빨판이 있는데 그 덕분에 자신보다250배 무거운 무게를 지탱할 수 있다. - P217

타피오카의 원료인 카야마는 시안화물을 함유하고있어 끝에 가려한 후 사용한다. - P195

식물을 관찰하고 그림으로 그리는 과정에서 손으로 식물을만질 일이 많기에, 나도 모르게 관찰 중간중간 손을 깨끗이 씻는버릇이 생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하, 라벤더와 같이 향이 아주 짙은 허브 식물은 특유의 향이 며칠이고 손에 남아 있던 적도있다. - P204

평소 특별히 좋아하는 꽃이 무엇이냐는 질문을 자주 받는다.
식물을 객관적으로 기록해야 하는 나로서는 모든 식물을 평등하게 대해야 하기 때문에 마음속에 특별히 좋아하는 꽃을 두려고 하지 않는 편이지만, 그중에서도 유난히 기록하고 싶은 꽃, 사람들에게 이야기를 전하고 싶은 꽃은 있다. - P2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커피를 내리고, 뉴스를 보고, 향을 피우고, 청소하고, 샤워하고, ‘해야 할 일‘ 리스트를만들고, 음악을 듣고, 넷플릭스 왓챠 디즈니플러스 티빙 웨이브를 순회하고, 유튜브를 헤매고,
SNS를 업데이트하고, 산책하러 나선다. 산책을마치면 곧장 글을 써야 한다. - P146

무엇보다 SNS는 착각을 안겨준다. 쓰고 있다는, 단어를 조합하고 문장을 배열해서 뭔가를 완성한다는 착각. - P147

애정과 용기와 기억 같은 단어를 쓰려면이면을 들여다봐야 했다. 그것이 내 현실에 침범하는 한 혐오와 기만과 망각도 겪어야 했다. - P1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895년 12월 30일 고종 황제가 단발령을 내렸을 때조선은 그야말로 혼비백산했다. "신체발부 수지부모 불감훼상 효지시야" 身體髮膚受之父母 不敢毁傷孝之始也는
‘신체와 터럭과 살갗은 부모에게서 받은 것이니,
이것을 감히 손상하지 않는 것이 효의 시작이다‘는 뜻으로「효경』에 실려 있다. 이는 조선을 지배하던 유교적효 사상의 핵심 문구였기에 조선인에게 머리카락을 자르는것은 시대사조에 순응해야 하는 운명인 동시에 영혼을자르는 일과 같았다. 그러니까, 장발의 준일이가머리카락을 자른 것은 졸업하기 2개월 전쯤이었다. - P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