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과 노니는 집 - 제9회 문학동네어린이문학상 대상 수상작 ㅣ 보름달문고 30
이영서 지음, 김동성 그림 / 문학동네 / 2009년 1월
평점 :
문학동네 어린이문학상 대상 수상작으로, 세책방과 필사쟁이, 전기수가 활동했던 조선 중기 이후를 배경으로 작가 이영서의 상상이 빚어낸 멋진 동화다. 게다가 김동성 화가의 정성이 가득 담긴 예쁜 그림이라 소장가치도 충분하다. 영화 천년학에서 보았음직한 정자는 마음에 오래 담아두고 싶은 풍경이다.
필사쟁이 아버지 덕에 글을 깨친 장이(이름이 '문장')가 아버지와 같은 길을 가며, 천주학 책을 필사했다는 죄를 쓰고 태형으로 죽은 아버지를 대신해 세책방의 꿈을 이루는 것으로 마무리 된다. 장이 아버지의 침묵으로 살아남은 세책방 최서쾌는 장이를 거두고 홍교리는 장이에게 필사를 맡긴다. 언문 필사는 곧잘 하지만 한문 필사는 아직 멀었다고 깨닫는 장이는 언문보다 한문을 높이 생각한다. 그러나 홍교리는 언문의 우수성과 효용성을 알려준다. 한문으로 된 글을 읽으면 재밌느냐는 장이의 물음에 '나도 어렵고 재미없다, 재미는 없어도 곱씹고 새겨들을 말은 있지' 라고 대답한 홍교리의 서재는 서유당(책과 노니는 집)이다. 후반 천주교 박해를 그리는 장면의 긴장감과 반전은 압권이다.
코허리가 죽은 순 토종 얼굴, 장이와 낙심이다. 두 어린이가 만나는 장면은 내 마음을 빼앗기에 충분했다. 어쩜 요렇게 예쁜지... 내리 딸만 낳아 넷째로 태어나 '낙심'이라 이름 짓고, 그 다음 태어난 아들의 백일상을 차린다고 돈 몇 푼에 낙심이를 팔아버린 아버지. 어린 마음에 얼마나 상처가 되었을지 내 마음이 다 아팠다. 그래도 기생아씨에게 응석도 부리고 사랑을 받으며 자라니 다행이다. 당차고 야무진 낙심이 덕에 장이가 겪는 어려움도 단번에 해결된다. 장이가 오빠 역에 어울리는 녀석이라면 낙심이는 깜찍하고 사랑스런 캐릭터로 독자를 사로잡는다.^^ 마지막에 낙심이의 손을 잡고 '책과 노니는 집'이란 현판을 가져 오신 홍교리는 둘의 새로운 인연을 열어가기 바라는 듯...
어린이 시선과 눈높이로 이야기를 끌어가기에 천주교 박해를 깊이 있게 다루진 않지만, 책을 읽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지 그 가치를 새기기엔 부족하지 않다. 조선 중기 천주교 박해의 역사를 아는 고학년이 읽으면 충분히 공감될 상황이다. 홍교리가 비록 낡은 옷을 입을지언정 책을 사들이기에 아끼지 않는 것을 보며 공감할 알라디너가 많겠다. 더구나 홍교리의 이 말씀은 공감의 쓰나미에 쓰러지지 않을까? ^^
|
|
|
|
책은 읽는 재미도 좋지만, 모아 두고 아껴 두는 재미도 그만이다. 재미있다. 유익하다 주변에서 권해 주는 책을 한 권, 두 권 사 모아서 서가에 꽂아 놓으면 드나들 때마다 그 책들이 안부라도 건네는 양 눈에 들어오기 마련이지. 어느 책을 먼저 읽을까 고민하는 것도 설레고, 이 책을 읽으면서도 저 책이 궁금해 자꾸 마음이 그리 가는 것도 난 좋다. 다람쥐가 겨우내 먹을 도토리를 가을부터 준비하듯 나도 책을 차곡차곡 모아 놓으면 당장 다 읽을 수는 없어도 겨울 양식이라도 마련해 놓은 양 뿌듯하고 행복하다.(78쪽) |
|
|
|
|
멋진 도리원에서 전기수가 읽어주는 이야기를 들으러 모인 봄밤의 연회는, 만발한 꽃과 어우러져 아름다운 풍경을 연출한다. 낙심이가 무심히 던지는 말 속에 다음에 전개될 상황을 암시하는 복선이 깔려 있다. 순진한 낙심이가 뾰로통한 심사로 뱉는 말을 허투루 흘리지 않으면 긴장감은 배가 된다. 미적아씨방에 이야기를 들으러 온 서대감댁 마님의 정체는 놀랍다. 하늘 아래 낮고 천함이 없이 모두가 귀하다는 천주교의 교리는, 자신의 신분이 원망스럽고 한스러운 사람들이 자존감을 회복하기에 좋았을 듯하다. 불쌍하다고 거두어준 허궁제비의 고발로 봄밤의 연회가 천주교들의 집회였음이 드러난다. 서대감댁 마님의 허여멀건 얼굴이 실체를 드러내는 긴박한 상황은 손에 땀을 쥐게 한다.
천주교 책을 많이 가지고 있는 홍교리의 위험을 감지한 장이는, 홍교리가 서학 책을 어디에 두었을지 찾아내어 불태운다. 관군이 홍교리 집에 들이닥치기 전에 천주교 책을 찾아내야 하는 긴박한 순간, 서학과 연결지어 서가 위치를 감지한 장이의 지혜로움은 역시 책 읽는 사람이라는 감탄을 자아내기에 충분했다.
아버지에 버금가는 필사쟁이가 되었을 장이가 '책과 노니는 집'이란 현판을 받고 아버지가 꿈꾸던 그 집을 사서 세책방을 열었을 거라 짐작되는 마무리에 즐겁게 책을 덮었다. 홍교리가 전한 장이와 아버지의 인연에 뭉클 눈시울이 젖었다. 멋진 그림과 펼쳐지는 장이와 낙심이를 만나러 빠져 들어도 좋을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