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각 깨우기 ㅣ 이어령의 춤추는 생각학교 1
이어령 지음, 노인경 그림 / 푸른숲주니어 / 2009년 1월
평점 :
우리시대 최고의 지성이라 불리는 이어령 선생님이 어린이를 위해 쓴 '춤추는 생각학교 시리즈'로 예전에 웅진에서 출판됐던 책이다. 막내가 초등학교 4학년이던 2005년 겨울방학에 동사무소 도서실에서 빌려보고 신선한 충격을 받았었는데, 아이는 재밌고 좋은 책이지만 너무 꽉 차서 질린다고 즐겨 읽지 않았다. 그래서 시리즈를 구매하려다 말았던 아쉬운 책인데, 푸른숲 개정판을 보니 편집도 널널하고 삽화도 재밌어 아이들이 좋아하게 만들었다. 아무리 내용이 좋아도 독자가 호감을 갖지 않으면 읽히기 어려운데, 이 책은 읽고 싶은 마음이 들도록 잘 만들어 별 다섯이다.
생각을 깨우고 생각을 춤추게 하라는 저자의 말씀처럼 차례부터 보통 책과 달라서, 차례만 봐도 생각이 신나게 춤출 것처럼 보인다.^^ 앞 뒷마당과 여덟 개의 본 마당을 두어, 생각을 키우는 훈련과정을 보여 준다.
할아버지가 손주를 데리고 조곤조곤 일러주듯, 쉽고 재밌는 지식이 많이 담긴 보물책이다. 책에서 들려주는 이야기만 들어도 똑똑해지고 생각을 자유롭게 펼치는 어린이가 될 것 같다. 생각의 생각에 꼬리를 물고 나오는 글을 읽다 보면 '아, 생각은 이렇게 하는 것이구나!' 저절로 깨닫게 된다. 학교에서 뭘 질문했는지 확인하는 유대인 부모는, 그냥이 아니라 '왜'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갖게 한다. '왜, 어떻게?'라는 호기심을 쑥쑥 키워 세상을 바꾸는 생각을 깨우자.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14960143494928.jpg)
'다르게 생각하고 싶다면 다르게 보기부터' 하라고 말한다. 다윈은 꼼꼼히 관찰하고 분류해서 진화론을 주장한 '종의 기원'을 세상에 내놓았고, 모두가 중국의 그림을 흉내낼 때 살아 움직이는 세상을 그린 김홍도 역시 관찰의 결과였다. 생각을 이미지로 만드는 것을 배운 헬렌켈러는 보이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는 힘과 마음을 가졌다. 사실을 바탕으로 한 추리력은 생각의 틀을 깨고, 콜럼버스의 달걀처럼 고정관념을 바꿀 수 있다. 우리 조상들이 병풍에 그렸던 삼어(三漁)를 삼여(三餘)로 해석해, 하루의 마지막 밤과 겨울, 비오는 날처럼 여유가 있는 시간에도 학문하는 선비는 공부했다고 한다. 말보다 행동이 앞서는 사람은 꿈을 이룰 수 있다. 손과 발과 몸이 생각의 힘을 키우는 바탕으로 그 생각을 실천해야 된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14960143494936.jpg)
마지막엔 '나의 생각사전'이란 책 속의 책에서 창조성을 깨우는 생각도구로 호기심, 관찰, 형상화, 추리, 고정관념 벗어나기, 숨은 뜻 찾기, 실천의 일곱 가지를 소개했다. 이 책을 읽고 고정관념에 갇힌 내 생각도 벌떡 깨어나서 마음껏 훨훨 날면 좋겠다.^^ 아이들은 고정관념이 덜하니까 훨씬 생각을 깨우기가 쉬울 것 같아 다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