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다의 기별
김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바다의 기별'을 읽은지가 벌써 일주일이 넘어서니 가물거리지만, 내 딴에는 읽은 감동을 숙성시켰다고나 할까! 그의 책을 읽고 어줍잖은 몇 마디로 리뷰를 쓴다는 게 송구할 뿐이다. 그의 문장에 감탄하며 압도되듯 밑줄을 좌악 그었고, 무엇보다 그를 알아가는 즐거움이 좋았다. 에세이는 저자의 삶이 담겨 있기에 나와 같이 숨쉬는 김훈을 만난다는 것, 그의 살내음을 맡는다는 것이 좋았다. 내가 이 책에서 발견한 것은, 카리스마의 그도 따듯한 인간애가 물씬 풍기는 아버지라는 것!
허클베리핀의 아버지 같았다는 그의 아버지. 광야를 달리는 말이었지만 달릴 광야가 없었던 시대에, 그의 아버지는 기자였고 무협소설도 썼다니 그의 글발은 아버지로부터 유전이구나 짐작해본다. 그의 아버지 이야기는 짠하게 가슴을 파고 든다. 병석에 계신 아버지의 아랫도리를 살필 때, 아버지도 울고 자신도 울었다는 이야기는 내 아버지가 생각나 눈물을 떨구었다. 고등학교 때 아버지 파이프를 훔쳐내 담배를 태우다 뺏겼을 때, 학교에서 찾아 아들에게 건네며 한마디 하셨다. 청소년들은 이런 아버지가 부러울까?^^
"너 가져라, 학교에는 가져가지 마라. 너, 담배 줄여."
그는 딸이 취직해서 첫 월급으로 사온 핸드폰과 용돈 15만원을 즐거이 받는 아버지다. 일상에 자지러지는 행복이나 기쁨이 없더라도, 무사한 순환이 계속되는 걸 행복으로 삼는 평범한 아버지다. 그는 귀가가 늦어지는 딸에게 전화해서, "운전 조심해라." 말하는 우리들의 아버지와 다르지 않다.
'1975년 2월 15일의 박경리'라는 글에서, 긴급조치 4호 위반, 국가보안법 위반, 형법 상의 내란죄로 사형선고를 받고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던 사위 김지하가 형집행정지로 영등포 교도소에서 출감하던 날, 10개월 된 손자를 업고 마중 나온 박경리선생을 관찰했던 이야기를 풀어냈는데 기어이 나를 울렸다.
![](http://blog.ala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start.gif) |
|
|
|
"나는 아무것도 생각할 수가 없었다. 나는 다만, 그 여인네의 등에 매달린 아이가 발이 시려우면 안 될 텐데. 그런 걱정만을 했다. 지방판 마감이고 뭐고 간에 어서 빨리 저 여인네의 용무가 끝나서 그 아이가 할머니와 함께 집으로 돌아가 이 추운 언덕의 바람을 피해야 한다는 생각만을 했다. 그러자 내 마음속에서, 나에게 없었던 따듯한 것들, 정체를 알 수 없는 어떤 울음에 가까운 따듯한 것들이 돋아나고 있음을 느꼈다. 그것이 무엇이었던가, 나는 지금 그 20년 전의 따스함의 정체를 겨우 입을 벌려 말할 수 있을 것도 같다. 그것은 나에게 감염된 그 여인네의 모성이었으며 허름하고 남루한, 그 풀포기와도 같은 무력과 무명의 모습이야말로 그 여인네의 힘의 모든 원천이었음을."(89~90쪽)
|
|
|
|
![](http://blog.ala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end.gif) |
스물두 살 영문과 학생이었던 그가 만난 '난중일기'는 그의 인생을 통째로 흔들어버렸다. 낭만과 이상을 꿈꾸는 문학이 현실을 말하기엔 얼마나 빈약한지 깨닫고 학교를 접고 군대를 갔고, 제대해선 내 밥을 벌어먹으려고 신문사에 들어갔단다. 난중일기를 만난지 27년이 지나 '나의 언어를 완전히 장악할 수 있는 날, 난중일기와 이순신이 처한 절망에 대해 무언가를 쓸 수 있겠구나' 생각했고, 37년이 지나서 두 달만에 엄밀히 말하면 40일만에 '칼의 노래'를 써버렸단다. 일체의 수사 없이 사실만을 기록한 난중일기에서 글쓰기의 진수를 발견했고, 언론과 담론이 '의견을 사실처럼 말하고 사실은 의견처럼 말해버리는' 오늘의 현실이 안타깝다 말한다.
자신이 글을 쓰는 사람으로 사명이 있다면, 그것은 인간의 아름다움과 인간의 고귀함을 언어로써 증명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 책의 말미엔 부록으로 그의 소설과 소설집 서문과 에세이집 서문, 문학상 수상소감이 수록되어 그의 작품과 그를 알아가는데 도움이 된다. 바다의 기별은 작가이며 아들이고, 아버지이며 시민인 김훈이 말하는 사랑을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