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티시 - 광신의 언어학
어맨다 몬텔 지음, 김다봄.이민경 옮김 / arte(아르테)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어’가 지닌 파급력을 체감한 적이 있다. 이전에 시민단체에서 활동을 하였는데 ‘봉사활동’을 ‘자원활동’으로, ‘봉사자’를 ‘자원활동가’라고 불렀다. 그 의미가 매우 강조되었는데 사람은 부르는대로 사고하기 마련이라 ‘봉사’란 단어가 지닌 시혜적이고 수동적인 이미지를 탈피하고자 함이었다. 이는 봉사를 받는 대상은 불쌍한 자가 되고, 하는 대상은 착한 자가 되는 기존의 일방적 ‘봉사’ 패러다임을 바꾸기 위한 노력 중 하나였다. 나는 당시 언어가 지닌 힘을 느꼈고 그 의미에 매우 몰입되었다.

▪️언어가 지닌 힘은 여러 분야에서 드러난다. 일상생활부터 조직생활을 하는 학교, 회사, 정치, 종교 그리고 범죄에 이르기까지 그 파급력은 강하다. <컬티쉬>는 광신의 언어학, 즉 특정 인물이나 사물에 대한 예찬, 열광적인 숭배의 집단, 주교적 종교단체를 뜻하는 ‘컬트’ 집단의 언어적 영향력을 얘기한다. 미국에서의 컬트(cult)는 꽤 중요하게 다뤄지는데 광신의 언어가 사람들을 어떻게 장악하는지 그 과정이 참 흥미롭다.

📌공동체와 연대감을 조성하고, ‘우리’와 ‘저들’을 구분하고, 공동의 가치를 확립하고, 의심스러운 행동을 정당화하고, 이데올로기와 두려움을 유발함으로써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이한 방식은 컬트적으로 흡사하다.

📌언어는 단순히 우리가 어떤 사람인지 묘사하거나 반영하기만 하는 게 아니라 우리 존재를 형성한다. 말 자체에 행동을 완성하는 능력이 있어서 어느 정도 내재적 힘을 지니기 때문이다.

▪️언어학자인 ‘컬티시’의 저자 ‘어맨다 몬텔’은 아버지의 영향으로 컬트에 관심을 갖게된다. 그녀의 아버지는 ‘시나논’이라는 컬트 공동체에 속해 있었는데 그들의 사회 통제 방식을 언어에서 찾았다.

▪️’컬트’의 옛 이야기부터 현재의 ‘컬트’가 가지는 의미까지 흥미롭게 읽었다. 한 사람이 어떤 집단에 소속되어 빠져들기까지 개인의 문제로 규정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나약한 정신 혹은 세뇌, 가스라이팅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왕국을 이루는 집단 및 언어적 힘이 가지는 영향을 고려해본다면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