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터 댄서
타네히시 코츠 지음, 강동혁 옮김 / 다산책방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판타지스러운 표지와 제목과는 사뭇 다른 미국의 노예제도가 첫 장부터 적나라하게 펼쳐졌다. 미국 남부 버지니아 라클리스에는 노예제도가 존재했고 사람을 소유하며 사고 파는 것도 가능했다. 상류층 백인의 지위는 절대적이었고 하류층 백인들은 그 지위에 주눅이 들 때면 흑인들에게 분풀이를 하였다. 흑인 모두가 노예는 아니었다. 풍족한 라클리스 시대에는 자신의 몸값을 지불하고 자유인이 되기도 했지만 쇠퇴해져가는 라클리스에서 노예는 그저 주인의 한 마디면 어디로든 팔려갈 수 있는 존재였다. 자유인이 되었다고 안심할 수 있는 처지도 아니었다. 그들의 몸에 흠집을 내도 자신의 재산을 건드렸다며 화를 낼 주인이 없기에 또 다른 위험은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었다.

'하이람'은 명문가 백인남성과 노예 흑인여성의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였다. 당시 여성 노예는 백인남성의 악세사리로도 여겨졌기에 원치 않는 임신을 하는 흑인여성들이 다수 있었던 것 같다. '하이람' 역시 사랑으로 잉태된 아이는 아니었다. 하지만 그는 특별했다. 뛰어난 기억력과 분별력으로 자신의 아버지가 사는 저택에 입성할 수 있었다. 여전히 노예의 신분이었지만, 그 능력으로 배움을 얻고 이복형의 하인 노릇을 하게된다. 그러던 어느 날, 마차를 타고 다리가 무너져 강에 휩쓸리는 바람에 본인만 살아남게 되면서 '하이람'의 인생은 달라진다.

노예제도는 익히 알고 있지만, 누군가의 생애로 바라본 적은 드물기에 흑인들이 겪었던 상실감과 무력감을 떠올려보며 괴로운 마음이 들었다. 노예제도가 없어진 지금, 이제 흑인들은 자유로운가? 의구심이 든다. "자유로워지는 건 시작일 뿐이야. 자유롭게 사는 건 완전히 다른 문제지."란 본문 대화가 있다. 더 이상 계급을 가르는 사회는 줄어들고 있지만 왜 계속 의구심이 드는걸까. 우리는 어쩌면 자유롭게 살아가는 문제를 앞에 두고 있는지 모른다.


*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