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성의 부름 문예출판사 세계문학 (문예 세계문학선) 77
잭 런던 지음, 임종기 옮김 / 문예출판사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야성의 부름>의 주인공은 덩치가 큰 아버지 세인트버나드와 어머니 스코틀랜드 셰퍼트 사이에서 태어난 "벅"이란 개다. 200쪽이 채 안되는 짧은 소설이지만 야성을 찾아가는 "벅"의 이야기에 사로잡혀 꽤 긴 여운이 남는다. 덕분에 영화 <콜 오브 와일드>도 보았는데 좀 실망했다. 생존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며 야성의 부름으로 점점 변해가는 "벅"의 투지와 날카로움을 전혀 표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가족들과 보기에 적절한 영화로 만들기 위해 미화를 많이 했다. 사실 <야성의 부름>을 제대로 영화화하려면 청소년관람불가가 맞을 것 같다. 따뜻한 남쪽나라의 판사 집안에서 여유롭고 안락한 하루하루를 보냈던 "벅"에게 하얀 눈이 오는 얼어붙은 대지의 북쪽나라에서 여유와 안락은 없었다. 사람들의 상냥함은 찾아볼 수 없었고 생존을 위해 빠르게 적응하는 수밖에 없었다.


  <야성의 부름>에서의 주인공이 사람은 아니지만, 사람 역시 환경이 변화하면 전혀 다른 사람이 된다. 고도로 문명화된 사회에서 사람들은 이성적인 사고로 점잖고 느긋하게 행동하지만 아주 먼 우리들의 조상들은 어땠을까. 까마득하게 먼 그 시대, 자연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사람들은 무엇이든 했을 것이다. 동물들 역시 마찬가지다. 잔인하고 야만적인 행위를 하며 살아가는 그들을 우리는 짐승이라고 부른다. 미개한 사회라고도 부르며눈살을 찌푸린다. "벅"이 남쪽 땅의 여유로운 애완견에서 북쪽 땅의 혹독함에 적응하고 살아남기까지 주요한 깨달음을 준 것은 '몽둥이와 엄니'의 법칙이었다. 힘과 권력에서 오는 우위와 굴복을 "벅"은 절실히 깨달았던 것이다. 확실히 동물의 세계는 잔혹하다. 하지만 인간이 만들어 낸 잔혹함은 더 무섭고 잔인하다. "벅"이 야성의 부름을 받기까지 인간의 잔혹함은 계속되었다. 그의 생은 인간의 필요성에 의해 만들어진 운명이었다. 


  여러 군상의 사람들을 거친 "벅"의 지친 삶에서 마지막 인간, "손톤"이 등장한다. 그는 친절하고 관대한 사람이었고 그와 함께하면서 "벅"은 진실하고 열정적인 사랑을 처음으로 맛보았다. 그와의 생활은 행복했지만 "벅"은 야성의 부름에 끌리기도 했다. 왠지 더 이상의 글은 스포가 될 것 같아 이만 줄이겠지만 마지막 장면이 계속해서 맴돈다. 책과 마찬가지로 영화에서의 마지막 연출도 참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