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케 -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들의 비밀
마이크 비킹 지음, 이은선 옮김 / 흐름출판 / 2019년 4월
평점 :
절판


 

  '행복을 열망하는 한국 그리고 OECD 자살율 1위 한국' 이 통계자료가 주는 의미가 무엇을 말하는 것 같은가? 나 역시 한국에서 나고 자란 한 국민으로서 행복을 추구하는 문화에 길들여져 있다. "행복해지고 싶다"는 끝없는 주문 속에서 살아가는 우리에게 도대체 '행복'은 어떤 존재인가?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들의 비밀 <리케>의 저자 마이크 비킹은 덴마크 출신으로 코펜하겐에서 행복연구소를 운영하는 대표이다. '행복은 주관적인데 도대체 어떻게 행복을 측정한다는거야?'란 질문에 "저마다 다른 것을 가리키며 행복이라고 지칭하기 때문에 과학적 접근이 어렵다. 따라서 행복이라는 개념을 여러 부분으로 나눠 해부해봐야한다"고 답한 그는 '공동체 의식', '돈', '건강', '자유', '신뢰' 그리고 '친절'의 여섯가지 항목이 행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한다.

   그 중 가장 관심을 끈 챕터가 바로 '돈'이었다. 어릴 적부터 '돈이 있어야 행복한거야'란 말을 듣고 자랐는데 당시에는 청개구리 심보가 있어서 '돈이 없어도 행복할 수 있는데. 어른들은 속물이야'라고 생각했다. 이제는 돈의 중요성을 체감한 어른이 되었고 실제로 돈이 행복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도 안다. 하지만 여전히 돈이 전부인 듯한 인생은 별로다. 돈은 생활을 더 윤택하게 만들지만 자칫하면 그 자체에 매몰되어 과시적 소비를 불러일으키도 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역시 돈은 중요하기에 이왕 열심히 버는 돈을 단순 소비가 아닌 추억이나 경험으로 연결하여 사용해 풍요로운 삶을 만들고 싶다.

가진 게 많은 사람이 아니라 원하는 게 적은 사람이 부자라고 했다. <1년 동안 돈 안 쓰고 살아보기: 나는 어떻게 씀씀이를 줄이고 더 풍요러게 살 수 있었는가>의 저자인 미셸의 도전은 지나치게 극단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행복과 경제적인 능력을 분리하는 방법을 한 번쯤 고민해 볼 만하다. 행복의 토대가 돈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달을 때 우리는 진정한 보물을 찾을 수 있다.

   책을 다 읽게되면 행복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기본적으로 파악하게 된다. 물론 행복은 주관적이라 이외에도 다양한 영향이 있겠지만 각박하고 외로운 시대에 건강한 삶을 위한 방법을 모색해본다면 지금 이 순간을 조금 더 알차게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언제나 꿈을 꾸고 실천하는 사람들은 있는 법이니까 말이다.

 

*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