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들에 관한 짧은 철학
필리프 J. 뒤부아 외 지음, 맹슬기 옮김 / 다른 / 2019년 4월
평점 :
절판


새의 지저귐을 좋아한다. 특별히 햇빛이 반짝이는 아침에 지저귀는 새의 노래는 기분 좋은 설렘을 가져다준다. 거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비둘기와 참새 이외에도 우리 일상에는 다양한 새들이 존재한다. 가끔 하늘을 올려다보면 부리가 긴 새, 날개가 큰 새, 아주 작고 빠른 새 등 흔하지 않아 더 눈길이 가는 새들이 있다. 사실 새에 관심이 깊은 것은 아니지만 가볍게 날아오르는 날개짓과 아름다운 지저귐에 베시시 기분이 좋아지곤 한다. <새들에 관한 짧은 철학>은 나를 미소짓게 만드는 새들의 매력에 더욱 흠뻑 빠지게 만들었다. 그 뿐일까. 서로 다른 방식으로 생존을 터득한 새들의 삶에서 인간의 삶을 고민해보는 계기도 되었다.

사람들의 가치관에 따라 생활방식이 다르듯 새들 역시 삶의 방식에 큰 차이가 있다. 오로지 육아를 암컷 혼자 떠맡는 오리가 있는가하면 부부가 완전한 균형을 이루어 육아를 하는 멧비둘기도 있다. 이렇듯 새들은 진화과정에서 번식을 위한 최고의 방안을 선택한다. <새들에 관한 짧은 철학>을 읽으며 느꼈던 큰 맥락하나는 인간처럼 가면을 쓰지도 복잡한 심리전을 펼치지도 않는 새들은 그저 하루하루를 성실하게 살아간다는 것이다.

새는 그렇게 살아있다. 성실하게, 다급하게, 무언가를 찾고, 파헤치고, 끊임없이 움직이며. 하지만 그러고나면 몇 시간이고 나무 아래에서 가만히 쉴 줄도 안다. 그저 매 순간에 존재할 뿐이다. 그리고 우리에게 말하고 있다. "카르페디엠"

새장의 새라고 하면 노란색의 예쁜 카나리아가 생각난다. 오랫동안 새장 안에 살았던 카나리아가 새장의 문을 열어줬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새장으로 돌아왔다는 이야기는 인간에게 주어진 갑작스러운 자유가 때로는 불안의 원인이 된다는 이야기를 내포한다. 이 챕터를 읽으며 마음의 동요가 일었는데 자유를 온전히 누리기 위해서 우리는 그것을 연습해야 하는지 모른다는 생각에서였다. 하지만 때론 새장의 안전함이 절실히 필요할 때도 있는 법이니까 적당히 그 둘 사이를 오고가는 것이 역시 가장 이상적인 것일까?

자유롭다고 해서 반드시 집을 완전히 떠나야 하는 것은 아니다. 만약 집이 좋은 곳이라면 우리는 언제나 떠난 뒤에 집으로 돌아가기 마련이다. 그러니 누군가를 보호하거나 어딘가에 머무르게 하고 싶다면, 가장 좋은 방법은 포근한 새 둥지와 같은 안식처를 만드는 것이다. 스스로 그곳으로 돌아오게끔.... 우리에게 필요한 건 바로 이것이 아닐까? 자유와 길듦의 조화로운 균형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