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는 게 힘드냐고 니체가 물었다 - 피할 수 없는 내 운명을 사랑하는 법
박찬국 지음 / 21세기북스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의 책답게 주인공인 니체 외에도 헤겔, 하이데거, 마르크스, 부처와 예수까지 다수의 철학자들이 등장한다. 인생의 의미를 찾는데 철학이 도움이 된다고 이야기하지만 그것을 깨닫기에 철학은 늘 어려웠다. <사는 게 힘드냐고 니체가 물었다>는 철학자뿐 아니라 듣도보도 못한 철학용어도 꽤 등장하지만 피할 수 없는 내 운명을 사랑하는 법을 알기에는 전혀 지장이 없었다. 본문에 인용된 니체의 글 대부분을 저자가 직접 번역하여 신뢰도가 꽤 높았을 뿐 아니라 어려운 이야기는 저자 본인의 흔적들을 가지고 와서 그 뜻을 좀 더 쉽게 설명해주기 때문이다. 

 

  대학생때부터 어떤 선택 및 행위를 할 때마다 의미를 부여하는 편이었다. 의미가 없다고 생각되면 무가치하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이런 나의 습관성 의미찾기에 큰 타격을 주었던 글이 있었다. '의미를 찾지 않을 때 의미 있는 삶이 된다' 지금까지 살아 온 인생이 거부당하는 느낌을 받을 정도로 충격적인 글이었다. 인내와 순종의 대명사인 낙타를 지나 냉소적인 분노하는 사자가 되어 니힐리즘에 빠지다가 새로운 활력을 회복하며 아이의 단계로 발전해간다고 본 니체는 염세주의의 극적인 형태의 니힐리즘의 출현이 가장 본질적인 성장, 새로운 존재 상태로의 이행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자는 '아이의 정신'의 의미를 이야기하며 '우리가 삶의 의미를 묻게 되는 것은 삶이 더 이상 재미있는 놀이가 아니라 그저 자신이 짊어져야 할 무거운 짐으로 느껴질 때'라며 때론 '인생의 의미'가 제기될 필요도 없이 삶을 유희처럼 살아가면 무거운 짐 같은 마음이 자연스레 해소될 것이라 말한다. 

 

  삶을 사는데 정답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때론 새로운 자극을 받으며 그 동안 굳건하게 지켜왔던 신념들을 의심하고 깨보는 것도 한 단계 성장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다. <사는 게 힘드냐고 니체가 물었다>에서의 10가지 질문문에 대한 이야기들은 인생을 살아가는데 꼭 들어볼법한 수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