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 있게 나이 드는 법 - 죽을 때까지 삶에서 놓지 말아야 할 것들
전혜성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1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전혜성 박사의 책을 몇 권 읽어보았지만 고경주, 고홍주 등 미국 내에서 성공한 한인의 부모 역할 모델로서 자녀 교육에 대한 이야기가 대부분이었다. 그것이 아니면 스스로 미국에서 성공한 여성 비교문화학자로서 자신의 삶에 대한 이야기가 담긴 내용이었는데, 이번에 낸 책 속에서는 남편이었던 고광림 박사 이야기와 자신이 현재 거주하고 있는 예일대 근처의 은퇴한 노인들을 위한 복지시설인 휘트니 센터에 대한 이야기가 대부분이다. 사실 전혜성 박사의 남편이었던 고광림 박사에 대해서는 그다지 많은 것을 알지 못했고, 기껏해야 1960년대 한국에 군사정권이 들어서자 미국에 망명했다는 정도만 알고 있었다.

그래서인지 이 책에서 많이 언급되고 있는 고광림 박사에 대한 이력도 인터넷을 통해 찾아보게 되었고, 전혜성 박사가 고광림 박사와 미국에서 어떻게 살아왔는지에 대한 이야기 역시 상세하게 알 수 있었다. 어쨌든 이 책은 이제 여든을 넘은 전혜성 박사가 스스로의 삶을 돌아보며 쓴 자전적인 성격이 가미된 책이라 할 수 있다. 사실 스스로 나이 들어감을 이야기할만한 시기가 된 것이다. 저자는 이 책 서문에서 나이 들어가면서 자신의 삶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이야 말로 노인들이 겪을 수 있는 가장 큰 안타까움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그래서 늘 가치 있는 삶이 중요하긴 하지만 그래도 그 마음과 행동을 죽음을 맞이할 때까지 계속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혜성 박사 역시 스스로 자신이 추구한 가치 있는 삶이란 결국 자신이 할 수 있는 아주 사소한 일이라도 그것이 자신만을 위한 것이 아닌, 앞으로 자신과 같은 이상을 추구해 가는 누군가에 도움이 되는 삶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러면서 이러한 삶을 추구하기 위해 가져야할 마음의 자세와 실천 행동에 대해 말하고 있다. 그것은 죽을 때까지 공부하라, 세상을 위해 작은 일부터 실천하라, 가장 가까운 사람부터 사랑하라, 함께하는 것보다 소통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사명감을 가지고 일하라는 것 등이다. 또한 늘 전혜성 박사가 강조하는 덕승재(德勝才), 즉 사람은 절대 재주가 덕을 앞서면 안 된다는 것도 언급하고 있다.

이 책의 절반 가까이는 휘트니 센터에 대한 이야기로 채워져 있다. 사회에서는 은퇴했지만 삶에서는 은퇴하지 않는 노인들이 사는 곳, 자기 스스로를 돌보며 남을 돌보는 삶을 실천하는 노인들이 사는 곳으로 묘사하고 있는 이곳과 같은 사회복지 기관이 한국에도 도입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표현하고 있기도 하다. 전체적으로 이 책은 거의 한 평생을 가치 있는 삶을 위해 살아온 전혜성 박사의 삶을 돌아보게 만드는 책이기도 하다. 그리고 휘트니 센터에 살고 있는 노인들처럼 사회를 위해 마지막까지 봉사하는 정신이야 말로 자신의 삶의 가치를 더할 수 있을 거라는 메시지를 남기고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블루 오션 전략
김위찬 외 지음, 강혜구 옮김 / 교보문고(단행본)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BOS(Blue Ocean Strategy)라는 이름으로 HBR(Harvard Business Review)나 경영 컨설턴트 잡지 등에 간간히 소개되었던 바 있지만, 아마 이 책이 일반 대중의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현재 정보통신부 장관인 진대제 장관이 외국여행길에 이 책의 원서를 사 들고 와서 정보통신부 직원들에게 읽으라고 권장한 것이 기사화되었을때부터 일 듯하다. 이 책이 한국어판으로 출간된게 아직 채 한달이 안 되었지만 경제/경영서적 베스트셀러 순위에 올라있는것을 보니 이 책의 인기를 실감할 수 있을듯하다.

유럽쪽에서 가장 명망있는 경영대학원인 INSEAD에서 가치혁신에 대한 연구를 진행중인 한국인 김위찬 교수의 명성도 그렇거니와 그가 주장하는 가치혁신은 지난세기를 풍미했던 경영혁신과는 다른 차원에서 접근한것이 그 자신도 블루오션으로 나아간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어쨌든 변화와 혁신이 일상화되어가고 있는 기업환경에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큰 이윤을 만들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해준 식견에 경의를 표할 뿐이다.

이 책을 들고 다니면서 주위사람들에게 가장 먼저 질문을 받은것은 바로 "블루 오션"이 뭐냐는거였다. 한국어판 책에는 단지 "블루오션전략"이라는 책 제목만 보이지만, 원서에는 "Uncontested Market Space and Make Competition Irrelevant"라는 부제가 붙어있다. 바로 "Uncontested Market Space"가 블루오션이고, "Make Competition Irrelevant"가 바로 전략의 요점이다.  즉 비경쟁시장, 새로 창출된 시장이 바로 블루오션이라 비유되는 것이고, 경쟁시장이 레드오션으로 비유되는 것이다.

이 책이 주장하는 바는 바로 한정된 시장공간에서 서로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상대방의 먹이를 빼앗아오는 제로섬 게임을 하지 말고, 아무도 발을 들여놓지 않는 블루오션, 즉 비경쟁시장, 새로운 공간으로 나가야 기업과 산업이 영속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프레임워크와 방법이 담겨있다. 어찌보면 치열한 경쟁속에서 이런 생각을 하는것은 당연하지만 블루오션을 창출하기 위한 사례, 방법을 찾기란 쉽지않다. 책에서도 언급한바 있지만 우리는 여전히 경영 전략의 대가인 마이클 포터가 제시한 아주 훌륭한 경쟁론이 제시하는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기업의 전략을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인거 같다.

어쨌든 이 책은 아주 훌륭한 경영전략 지침서이다. 기업 현장에서 누구나 느끼고 있는 사실을 학문적으로 또 방법론적으로 자세히 저술한 저자의 탁월한 능력에 찬사를 보낸다. 나날히 치열해져가는 경쟁사회에서 새로운 사고와 안목을 가지고자 하는 모든이들에게 이 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협상의 법칙 2 - 양장본
허브 코헨 지음, 안진환 옮김 / 청년정신 / 2004년 9월
평점 :
절판


허브 코헨의 "협상의 법칙"이란 책이 몇 년전에 시중 서점에 나오기 시작할 때, 그리고 베스트셀러가 되고 있을 때 그리 많은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설득과 화술, 세일즈, 마케팅 등의 분야에서 쏟아져 나오는 수 많은 책들 중에 하나일거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작년에 서점에서 책을 고르던 중 두꺼운 하드커버본으로 "협상의 법칙 II"라는 제목의 책을 발견했을 때 호기심이 생겼다. 그래서 400여 페이지가 넘는 두께에도 불구하고 책을 사서 읽기 시작했다.

이 책은 2003년에 나온 동일 제목의 책의 개정본이라고 한다. 사실 그래서 더 책에 끌렸던거 같다. 책 내용 자체는 그렇게 감명깊게 와 닿지는 않았다. 허브 코헨은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협상의 대가라고 하던데, 말 그대로 그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많은 일화를 중심으로 짧막 짧막하게 이야기가 전개되고 있다. 일단 방대한 분량 치고는 내용이 논리적이고 순서 있게 전개되지 않는게 좀 아쉬웠다.

그래도 책 맨 뒷쪽에 협상의 기법들을 자녀양육에 적용하는 사례와 에필로그에 담긴 훌륭한 메세지는 책을 덮으면서까지 감동하게 만들었다. 독자에게 기나긴 독서의 여정을 끝내면서 좋은 선물을 안겨주는 효과를 노린것 같았다. 어쨌든 협상은 특별한 법칙이 있는 것이 아니다. 상황에 따라 그 때 그 때 다르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0년 후, 한국
공병호 지음 / 해냄 / 200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에 이 책을 산 뒤 앞부분 3분의 1쯤을 읽다가 그냥 덮어버렸다. 별 내용도 없고, 대안도 없고, 비젼도 없어 보이는, 그래서 책 읽는 재미가 없는 그런 종류의 독서가 되어버렸기 때문이다. 그래서 다른 책들을 먼저 다 읽고 난 뒤 마지막으로 이 책을 구정 연휴 중 몇 시간만에 독파해 버렸다.  

나름대로 미래를 예언한 책들, 시대의 흐름을 읽는 책들을 많이 보았지만 이 책은 그런 종류의 책은 아닌것 같다. 공병호씨가 바라보는 미래를 한마디로 이야기 하자면, "10년뒤 한국은 지금 한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가 지속될 것이다." 라는 것이다. 그런 이야기는 누구나 할 수 있다. 날카로운 예지력과 통찰력, 그리고 다양한 삶의 경험을 가지지 않더라도 현 시대를 살아가는 누구나 할 수 있는 이야기를 책으로 만든 것이다.

굳이 많은 이들의 글이나 문헌을 다시 재 인용하면서 만든 책 속에는 나름대로 공병호씨가 주장하는 바가 있다. 즉 이건 단지 미래 예측서가 아니라 공병호씨 자신의 주장을 펼치기 위한 수단일 뿐이란 것이다. 그 주장은 바로 "보수로의 회귀"인 것이다. 책 속에서 그는 모든 상황을 보수 대 진보로 보는 시각을 지속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좌향좌는 안된다는 보수 논리를 펼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책을 다 읽고 무척 혼란스러웠다. "So what?" 그래서 어쨌다는것인가?

그리고 모든 것을 보수와 진보, 성장과 분배와 같은 이분법적 논리를 따라 전개해버리고, 제3의 길은 망상이라고 주장하는 것을 보면서 정말 혼란스러웠다. 과연 무엇이 옳은 길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인들의 발자국 - 무엇이 리더를 리더 되게 하는가
한홍 지음 / 비전과리더십 / 200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온누리 교회 수석 목사로 널리 알려진 한 홍 목사님의 이 책을 오래전부터 읽고 싶었다. 신문 칼럼에 연재되는 글들을 통해서 그 분의 리더십 이론이 정말로 이 시대에 적합하다고 생각을 했었기에 리더십에 대한 그 분의 책에 당연히 관심을 가지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책을 읽어가면서 그다지 흥미롭지 못했던 것은 이미 여러 사람들이 언급했었던 리더십에 대한 이야기들과 그 일화들이 진부하게 보일 정도로 나열되어 있었던 것이다.

저자 서문을 보면 이해할 수 있지만, 이 책은 일반 신도들을 대상으로 강연한 내용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것이라 그런지 평이한 문체에 리더십이나 사회 현상들에 대해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 만한 이야기들 위주로 글이 전개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원리를 밝히거나 주체적인 의견을 피력하는 것을 기대하기에 무리라는 것이다.

책의 근간에는 당연히 예수님의 리더십에 대한 경배와 찬양이 깔려있다. 누구나 그렇게 생각하겠지만 예수님의 리더십이야 말로 우리가 추구하는 가장 완벽한 리더십이 아닐런지? 한 홍 목사님의 생각과 그 분의 비전이 책 곳곳에 녹아있다. 특히 리더뿐만 아니라 따르는 팔로워에 대한 언급이 인상적이다. 기독교인들이라면 한번쯤 읽어볼만한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