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마네킹 > 우리의 옛 모습 찾아보기
-
-
바이칼, 한민족의 시원을 찾아서 - 겨레 밝히는 책들 18
정재승 엮음 / 정신세계사 / 2003년 6월
평점 :
품절
오랜만에 도서관에 들렀다. 아이가 함께 가자고 떼를 쓰길래 함께갔는데 여기저기 책을 보다가 '바이칼'이라는 제목에 이끌려 책을 펼쳐 들었다. 그리고 끝까지 읽어 내려갔다. 무언가 끌렸던 모양이다.
바이칼 호수. 그 거대함에 단절되었지만 스스로의 모습을 수천년간 이어온 자원의 보고. 선착장에서의 수질검사 결과도 서울시 수돗물보다 좋다는 결과. 그리고 호수 중심부에서는 검사 비이커에 그 물이 오염된다는 맑고 청명함.
몽골, 돌궐, 인디안 등 우리 민족과 연관이 많은 곳, 수만년 전에는 지금보다 수면이 낮고 더 따뜻한 기후여서 문화가 발달된 그래서 인류의 기원과 관련된 비밀을 무척이나 많이 간직하고 있는 곳. 중국 중심적인 역사기술과 서양사 중심의 사고방식에 물들여진 우리의 모습을 바이칼 이라는 그 맑은 물에서 세척해 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절로 든다. 요즘 고구려 관련 드라마들이 방영되면서 그리고 중국의 동북공정이라는 역사왜곡의 문제가 대두되면서 좀 더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시베리아의 중심지,
바이칼 호수는 수면위에 구름이 만들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거꾸로 반사경의 역할을 해서 고기압을 형성한다고 할 정도이니 대단하다는 생각이 절로 든다. 시베리아 중심부에 위치한 바이칼 호수는 길쭉한 모습을 하고 있다. 하늘과 맞닿은 수평선이 바다를 연상시킬 만큼 장대하고 푸른 물의 모습이 태초의 신선함을 불러 일으킬 만하다. 그곳에 사는 사람의 모습은 우리의 어린 시절의 동네아이들을 보는 듯한 느낌이 든다. 그리고 개를 생활의 도구로 이용하는 것은 우리와 생활을 함께 하는 모습과도 흡사하다.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천제, 솟대는 우리의 서낭당을 떠올릴만큼 유사한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활의 모습은 대궁이라 하는 커다란 활로 우리의 국궁과도 흡사하다. 그리고 주몽이라는 뜻이 백발백중이라고도 한다니. 우리의 지금 양궁선수들도 역사와 전통을 가진 민족의 후예임을 알 수 있는 것이 아닌가?
인당수라는 지명이나 백두산과 관련된 명칭 그리고 유목민족들은 자신이 살던 지명을 그대로 가져가서 사는 곳에서 새롭게 지명을 만들어 산다는 것에서 그들과 우리의 사는 모습이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몽고는 우리와 겉모습이 너무 흡사하다. 그리고 중국에 밀려 괴롭힘을 당하고 있다는 이야기도 들었다. 그래서 우리와 가깝게 지내야 할 이웃이라는 말들이 점차 늘어가고 있다. 일부 사람들이 못된 밤문화를 먼저 퍼뜨리고 다녀 고개를 들고다니지 못할 정도로 만들고 있지만, 우리와 국가연합이라도 해야 중국이라는 거대한 주변국에서 당당하게 목소리를 낼 수 있다는 당위성도 제기되고 있다. 그것이 서로 공존발전할 기회를 만들어 준다고 믿고 싶다. 우리가 아마 시베리아라는 곳을 개발하고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지 않을까 그리고 선조들의 생활무대에서 우리가 다시 힘을 보여주는 것이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