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마네킹 > 조선 한 여인의 사부곡
-
-
능소화 - 4백 년 전에 부친 편지
조두진 지음 / 예담 / 2006년 9월
평점 :
'당신 언제나 나에게 둘이 머리 희어지도록 살다가 함께 죽자고 하셨지요.'로 시작하는 이 편지는 400여년의 긴 시간동안 썩지도 못하고 어떻게 세월을 이겨냈을까?
할머니가 들려주는 옛날 이야기처럼 한이 다 풀리지 않아서인가 아니면 그 아린 마음을 누구에겐가 살며시 보여주고픈 마음이 남아서인가?
이응태는 부모의 가습에 묻힐 사주를 갖고 태어난다. 이런 사람은 영민하여 부모에게 기쁨을 주지만 더 큰 아픔을 주기 위한 것일뿐이라는 말을 듣고 아들의 운명을 바꿔보려 한다. 성장하면서 자신의 사주에 맞는 사람을 찾았는데 그녀가 '여늬'이다.
원이엄마 '여늬'는 하늘정원에서 소화라는 꽃을 훔쳐 인간 세계로 달아나 홍여늬라는 이름을 가지고 태어난다. 천계에서는 팔목수라가 그녀를 찾아 나서고 저주를 내린다. 여늬도 죽을 고비를 맞는데 남자 종이 이를 막아주고 종이 먼저 죽게 되면서 불행이 시작된다. 사주가 좋지 않아 박색이고 못된 여자라는 소문을 내고는 문밖출입을 하지도 못하고 집안에서만 살게 된다.
능소화가 만발한 어느 날 응태가 사냥을 나갔다가 여늬를 만나게 되면서 부터 운명의 장난은 시작되었나보다. 후에 둘은 부부의 연을 맺게 되고 여늬를 찾아나섰던 팔목수라가 집안에 남겨진 한 그루의 능소화로 인해 들켜버리고 만다. 팔목수라는 응태의 목숨을 앗아가면서 여늬에게 말한다. '인간이 잊지 못할 아픔은 없다. 인간은 죽음과 함께 모든 것을 잊고 잃는다. 그러니 미련도 슬픔도 갖지 말아라'라고......
하지만 여늬는 남편에게 편지를 쓰며 자신은 결코 응태를 잊지도 않을 것이며 자신의 모습을 소화라 여기라 하면서 무덤가에 소화를 심는다. 그리고 하늘의 뜻을 능히 이겨내리라 하며 능소화라 부른다. 여기에서 작가는 죽음이라는 이별에서도 끊어지지 않는 부부의 사랑을 깊게 표현하고 있다. 후에 친정아버지와 아들을 잃어야 하는 사람으로서는 겪지말아야 할 어려운 고통과 슬픔을 여늬는 감당하게 된다.
능소화가 곱게 피던 날 만나 능소화 만발한 여름 날 응태와의 삶을 달리한 여늬의 구슬픈 이야기는 긴 세월 땅속의 어둡고 고통스러운 시기를 보내고, 소설로 만들어져 우리의 곁으로 다가오게 되면서 세상에 알려지게 된다. 이 소설을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사랑이야기로 이혼과 불륜이 뉴스에 자주 오르내리는 각박하게만 여겨지는 오늘의 우리에게 다가왔다.
가슴 아픈 이야기는 많이 있다. 하지만 이 시대에 모두가 가족과 사랑이라는 것에 다시 한 번 되새겨 볼 만한 작가의 상상력이 나의 가슴을 은근히 저며오게 한다. 그리고 드라마 다모의 대사처럼 내 가슴이 아파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