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마네킹 > 떠나고 싶은 마음은 간절한데
바람의 딸, 우리 땅에 서다 - 개정판
한비야 지음 / 푸른숲 / 200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비야의 책을 몇 권 읽은 기억이 납니다. 바람의 딸 걸어서 지구 세바퀴반, 지도밖으로 행군하라,

요즘 누구나 차를 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가고 싶으면 그냥 차를 몰고 그곳에 달려갑니다. 달어려서 강원도 산골에 살던 기억이 지금도 머릿속에서는 아주 커다란 역할을 하고 있나 봅니다. 산과 들을 걸으며 마주치는 야생화와 들꽃들의 이름이 하나 둘 기억해 내고 있노라면 그런 것 들을 어떻게 알고 있느냐며 부러워하는 사람들이 있답니다. 우리의 인정이 묻어나오는 이야기가 책의 여기저기에 담겨 있습니다.

차량으로 다녀도 무척 오래 걸릴텐데 그것도 여자의 몸으로(이 때는 여자는 약하다는 편견이 남아 있는 겁니다) 실천에 옮기고 몇 달의 기간에 걸쳐 이루어 낼 때에는 과연 한국의 여자(세상에서 강한 것은 어머니입니다 하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구나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아이들과 그 여정을 걸어서 흉내 낸다는 마음은 먹지 못하고 차를 타고 비슷하게나마 한 번 따라해 보았으면 하는 마음만 가져 봅니다. 지난여름에 알고 있는 학생 하나가 전주에서 할머니 댁이 있는 순창까지 여름 방학을 이용해 걸어갔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하루 종일 걸으면서 부모님에 대한 생각, 그리고 자신의 한 학기 동안의 모습을 반성을 많이 했는지 2학기 들어서는 아주 많이 변한 모습을 보였다는 이야기였습니다. 하루 동안 걷는 것이 한비야씨의 대장정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었겠지만 그런 마음을 먹고 실천했다는 그 자체가 감동이었습니다. 그리고 그 하루가 그 학생에게는 아주 큰 감동을 가져왔나봅니다. 다른 사람의 해병대 극기캠프 며칠보다 더 마음에 남아 생각과 행동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니까요.

부러운 학생입니다.  


옛날엔 무전여행이란 것이 있던 시대도 있었습니다. 아마 그 시절을 기억하며 실천에 옮겼는지도 모르지요. 일상을 탈출해 자신만의 세계를 만들어 가는 것을 추구하는 유전자가 독특하게 한비야씨에게 남아서 꿈틀거리나 봅니다. 인간에게는 방랑의 욕구가 있나봅니다. 유목민의 습성이 그분에게만 더 남아있는 것은 아닌지(?)


세계여행을 걸어다니며 마무리지은 작은 거인이라 불리는 한비야.

해남 땅끝마을에서 시작하여 고성에 다다라 마무리 지을 때까지. 그의 모습을 알아본 사람들의 도움도 받을 수 있어 무사히 끝마쳤지만 국토에 대한 순수한 마음가짐을 하나 씩 느낄 수 있을 때에는 그 위대함에 감동을 받지 않을 수 없다. 도시의 모습에 찌든 우리에게 잃어버린 옛 모습을 한올한올 되살리는 듯한 시골사람들의 모습들.

전문작가는 아니지만 자연을 본 그대로 생생하게 묘사하는 부분은 수많은 여행을 통해 얻은 경험에서 묻어나는 표현이었으리라. 

 

늦은 나이에 제 2의 인생을 설계하시는 분들도 많이 계십니다. 그들도 아마 한비야의 책들을 읽고나서 힘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그리고 일상에서 지치고 힘든 분들에게 마음의 힘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좋은 책이라 생각하고 한 번 읽어보시라는 추천을 해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