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마네킹 > 너무 욕심이 앞서나 봅니다.
부모와 아이 사이 우리들사이 시리즈 1
하임 기너트 외 지음, 신홍민 옮김 / 양철북 / 200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생은 결코 만만한 것이 아닙니다. 때로는 기쁘지만 괴롭기도 합니다. 우리가 느끼는 것은 행복보다는 괴로움이 훨씬 더 많겠지요.

아이들이 힘들때 주저앉아버리기 보다는 '엄마라면 이럴땐 어떻게 했을까?'라는 생각을 해 보았으면 하는 생각이 듭니다. 부모라는 것, 어찌 보면 결혼이라는 것과 더불어 얻어지는 것이지만 진정한 능력을 갖추지 못한채 덜컥 부모가 되어버리고 아이를 키우면서 스스로 실망스러워하는 때가 많아집니다.

아이들의 행동을 아이의 모습 그대로, 그 나이땐 그런것인데 나는 어땠을까? 그리고 나의 부모님은 어떻게 나를 보아왔을까?라는 생각을 할 수 있다면 아주 좋은 부모가 될 것입니다.

아이들의 행동에 과민반응하고 바늘도둑이 소도둑된다는 말을 너무 깊이 생각하여 어른처럼 부모가 시키는 생각과 행동하기를 원하는 것은 아닌지. 내가 먼저 부모님께 사랑받고 소중한 사람이라는 것을 자녀에게 보여주는 것이 먼저일 것 같은데 그 실천은 참 힘이 듭니다.

부모가 욕심을 버리면 아니 눈높이를 조금만 낮추면 아이와 다툴일이 절반으로 줄어듭니다. 그만큼 가정의 평화와 행복이 온다는 것입니다.

부모가 자신의 어릴적 아픈 기억들을 되새기며 내 자녀는 그런 길로 접어들지 않도록 하는 것은 이해가 되지만 아이에게는 용납할 수 없는 일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부모자격증이란 말이 자주 나오는 가 봅니다. 장모는 사위를 평생 손님처럼 대하듯이 아이도 손님처럼 대하면 그런 일이 줄어들 것 같습니다. 소중한 손님으로 맞아들이고 아이는 아이입니다. 어른처럼 생각하고 대하지 마십시요. 순간적으로 착각하는 것이 부모들 입니다.  자신의 아이는 다 성장한 성인이 아니고 그냥 아이일 뿐입니다.

"부모와 아이사이"는 MBC스페셜 '내 아이를 위한 사랑의 기술'로 방영되어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화제의 도서였답니다. 아이의 자존심을 살려주고 질타보다는 격려와 칭찬으로 대해주어 아이 스스로 감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이끌어 가자는 내용이 담겨져 있습니다.

꽃으로도 때리지 마라,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 말. 다 좋은데 이 모든 것이 아이들에게 모두 맞지 않는다는데 부모들의 고민이 생기는 겁니다. 그리고 훈육을 할 때는 말을 길게 하지 마라는 저자의 말에는 공감이 가지만 잘못을 지적하고 그것을 스스로 깨달아야 다음엔 그럴 일이 줄어들텐데. 아이를 그 자리에서 모든 것을 이해시키려는 욕심이 너무 앞서는 것은 아닌지,

너무 가까워서 상처를 줄 수 있는 말을 해도 된다는 편견을 빨리 지워야 할 것입니다.

왜요?

가정의 행복을 위해서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