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만 알고 나는 몰랐던 자산관리법
김춘호 외 지음 / 황매(푸른바람) / 2006년 10월
평점 :
품절


돈이란 것은 돌고돌아서 돈이라 했던가. 잡으려 하면 달아나는 것이 서민들의 돈이다. 그런데 부자에게는 그것이 가다 멈추나 보다. 돈이면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세상이 되어버렸다.

 

사람들 모두가 돈을 바라보며 로또를 사고 부동산 투기에 나선다. 세금이 많다거나 그것도 배부른 사람의 투정이라며 이러쿵저러쿵 하고 있다. 세상 모두가 돈 때문에 돌아버린 것 같다. 돈이야 말로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보도(寶刀)가 되어버린 세상. 부자는 어떤 사람이 되고 어떻게 그 부를 유지하는가?에 중점을 둔 책이다. 적을 알아야 백전백승(百戰百勝)이라 했던가?

부자가 되려하는 사람은 이들의 습성과 특징을 알아야 하고 배워야 한다.  일부 대학생들도 재테크 동아리를 만들어 종자돈을 만드는 법을 배우고 있다. 참 빠르게 인생을 준비하고 있다.  직장을 장만하고 나서는 결혼 준비를 하고 아이 육아에 교육에 정신을 놓다보면 저축이라는 것도 남의 나라 일처럼 되어버리기 쉬운 서민들. 그들도 미래를 위해 보다 더 나은 삶을 위해 투자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재테크는 의무가 아니다, 하지만 자산관리는 가족의 미래가 담겨 있다. 단순히 ‘재테크라는 것이 이런 것이다’라는 내용이 아니었다. 정초에 일년 계획을 세우는 것처럼 자신이 버는 것을 잘 관리를 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돈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돈을 은행에 맡기고 찾아 쓰던 시대가 있었다. 그 당시는 계라는 것이 있어 많이 떼이고 하는 것이 무서운 사람들이 적금이라는 것을 들었다. 그것이 부를 축적해가는 지름길이었다. 그런데 은행 이자율이 낮아지면서 사람들은 대출이라는 것을 받아 투기란 것을 하고 돈을 벌어들이고 있다. 돈이 인생의 목적이 되어버린 것이다.


재무설계란 무엇인가?

거창한 말 같지만 회사처럼 커다란 집단에서나 씀직한 단어를 우리 가정에도 도입을 해야 하는가보다. 먼저 자신의 재산상태를 점검하고 분석하는 것인데 체크리스트를 이용할 수 있게 해 놓았다. 단순히 읽어내려가는 책이 아니라는 것이다. 학창시절 밑줄 긋고 공부하던 그 시절마냥 책을 넘겨가게 구성이 되어 있다. 나이에 따른 비용의 증가분을 미리 알려주어 사회초년시절부터 준비할 수 있게 하고 있어 좋다. 지금 장년층이 해야 하는 일들을 미리 시작해야한다는 필연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계획이 마무리되면 실천하라?

계획을 세우고 나면 반드시 그것을 실천에 옮겨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작심삼일이라는 것이 되어버린다. 차분히 종자돈을 마련하고 투자를 해야 한다. 20대의 100만원은 40대의 1000만원보다 더 큰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기간이라는 것도 무시할 수 없는 것이다. 삼성전자 주가가 3만원 정도 하던 시절이 있었다. 아주 젊었을 시절이었지만 그것을 산다는 것은 무척 어리석은 일로 치부되던 시절이었으니까. 하지만 지금은 어떤가? 그것이 기간의 매력이라는 것이다. 지금은 그것이 안되니까 펀드를 하라는 것이다. 장기펀드, 해외펀드 등


이 책은 읽은 이로 하여금 새로운 지식을 얻게 하고 그것을 실천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주고 있다. ‘이렇게 했더니 성공했다가 아니라 성공할 수 있다’라는 미래지향적인 방향을 제시해주고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