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노래의 숲을 거닐다 - 향가 고려가요 시조 가사 민요 등으로 만나는 우리의 고전 시가
김용찬 지음 / 리더스가이드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5년 전 <조선의 영혼을 훔친 노래들>이란 책으로 저자를 처음 만났다. 이 책을 다 읽은 지금 옛 서평을 찾아보니 지금 느낀 기분과 비슷한 문장이 많이 보인다. 그것은 아마도 학창 시절을 제외하면 옛 노래를 일상생활에서 거의 만날 일이 없기 때문일 것이다. 책을 읽으면서 낯익은 시조나 가사가 나오면 소리 내어 읽어보지만 기억 속에 자리 잡고 있는 것과 다른 느낌으로 다가온다. 낯익고 반가운 반복 어구는 흥겹고 재미있지만 조금만 깊이 들어가면 낯설기만 하다. 그 때문인지 저자의 글을 따라 가면서 자주 학생 때 기억을 자꾸 되살리려고 한다. 대부분 부정확하고 희미하지만 시험을 위해 읽었고 외웠던 시가 등이 아련하게 떠오른다.

 

모두 네 꼭지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우리의 옛 노래가 어떻게 발전했는지 보여주고, 그 다음 꼭지부터는 삶의 애환, 사랑, 충성과 자연을 부르는 노래에 대해 설명해준다. 개인적으로 가장 많은 것을 배웠던 것은 역시 첫 꼭지다. 향가, 고려가요, 경기체가, 시조, 가사, 사설시조 등으로 발전해온 우리 옛 노래에 대한 저자의 잘 정리된 설명은 잘 읽혔다. 그리고 학창시절에 건성으로 흘려들었거나 그 시대 해석에 매여 있던 지식을 현재 학설이나 분석으로 풀어내주었을 때 그 사이 조금 자란 나의 지식과 함께 반가움과 즐거움을 전해주었다. 반면에 경기체가에 대한 낯설음은 그 설명 끝 무렵이나 제목 때문에 겨우 넘어설 수 있었다.

 

사실 이 책에 실린 수많은 옛 노래들이 학창시절 한 번 정도는 읽은 것들이다. 물론 낯선 것도 있다. 하지만 왠지 모르게 소리 내어 읽을 때면 나도 모르게 엉터리 운율을 타게 된다. 아마 이런 경우는 아주 낯익은 노래이거나 소리 내었을 때 더 잘 읽혔기 때문일 것이다. 물론 이것이 끝까지 이어지는 경우는 없다. 중간에 그 흐름이 끊어진다. 그리고 옛글을 읽을 때면 그 낯섦 때문에 정확한 발음과 번역의 어려움을 느낀다. 번역이야 저자가 다시 표기해주니 상관없지만 읽기는 기억 속에서 대부분 사라졌다. 개인적으로 이 부분이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아쉬운 부분이다. 학창시절 고문에 대한 공부를 더 철저히 했다면 조금은 달라지지 않았을까, 하고.

 

언제나 문학과 노래는 그 시대상을 반영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후대에 오게 되면 권력집단의 필요에 의해 생생했던 노래나 문학이 왜곡되거나 삭제되어진다. 이것은 문화재와 서적 파괴로 이어진 역사가 증명한다. 그래서 수많은 연구가가 아쉬워하고 제대로 된 번역과 해석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얼마 남지 않은 향가나 고려가요 등은 아주 흥미롭고 그 시대를 상상하는데 도움을 준다. 연구자에 따라 다른 해석이 나올 때면 그럴 수도 있지! 하고 감탄한다. 아마 이런 정보가 쌓이면서 현대 문학이나 역사를 보는 나의 시선도 조금 성장한다.

 

시조나 가사를 읊조리다보면 나도 모르게 소리를 내고 여유를 가진다. 눈으로 글을 따라가는 것과 달리 그 의미가 더 분명하게 다가오는 경우도 많다. 물론 시대에 따라 쓰임새가 다른 단어의 경우는 어쩔 수 없다. 영화나 사극 드라마에서 노래로 불리는 것을 가끔 듣지만 그 리듬 등은 너무 쉽게 사라진다. 요즘 가요 듣는 것의 100분의 1도 제대로 듣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니 글을 읽으면서 소리를 제대로 내지 못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우리가 일상에서 가요나 팝송이나 자기 자신이 지은 노래등을 웅얼거리는 것을 보면 삶 속에 노래가 자리하고 있다. 지금도 청산리 벽계수야~ 로 이어지는 이 대목이 머릿속을 스쳐지나간다. 옛 노래의 숲을 거닐며 자연스레 몸을 흔들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