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자 신데렐라
리베카 솔닛 지음, 아서 래컴 그림, 홍한별 옮김 / 반비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겨우 한 권 읽은 작가인데 이상하게 이름이 각인된 작가다. 이번 책까지 포함해서 두 권째 읽었다. 개인적으로 <걷기의 인문학>이란 제목에 혹했던 기억이 나는데 읽지는 않았다. 이름도 비교적 쉬운 편이라 기억하는 것 같다. 이런 인문학자가 쓴 동화란 점이 시선을 끌었다. 대중적으로 아주 유명한 동화인 신데렐라다. 최근에 동화를 다시 쓰기 하는 것을 보았는데 이 동화 역시 그 연장선 상에 있다. 너무 유명하고 디즈니 덕분에 하나의 이미지가 각인되다시피 한 작품인데 과연 어떤 식으로 이야기를 풀어내었을까 궁금했다. 결론부터 말하면 기대한 대로이고, 어떤 부분에서는 기대 이상이었다.


동화를 참 좋아했다. 어릴 때 열심히 동화를 찾아 읽었던 기억이 있다. 점점 자라면서 누구나 가지는 의문 중 하나인 ‘행복하게 살았다’는 마무리 이후의 생활이 궁금했었다. 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많았는지 후속편처럼 이야기들이 나왔다. 이럴 때 나온 이야기는 동화가 아닌 현실이 된다. 한때는 잔혹동화가 유행한 적도 있었다. 하나의 동화가 다양한 작가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되고, 변주되면서 이야기가 만들어진 것이다. 이번 <해방자 신데렐라>도 기존의 <신데렐라>의 변주이자 새로운 해석이다. 기본 줄거리에서도 변주가 일어나지만 세부적인 상황이나 묘사에서 가장 큰 차이가 난다. 정치적으로 올바른 다시 쓰기 동화다.


재투성이 신데렐라가 새어머니에게 구박을 당하고, 하녀처럼 일하고, 왕자의 파티에 가게 되는 과정은 같다. 하지만 그녀가 대모 요정의 도움을 받는 장면에서, 미모에 대한 설명에서, 파티 이후에 일어난 일들에서 차이가 나기 시작한다. 유리 구두를 가지고 찾아온 사람도 시종이 아닌 왕자다. 파티에서 돌아온 이후 그녀가 타고 간 마차나 말들이나 시종들에게 대모 요정이 앞으로의 삶에 대한 선택권을 주는 장면은 낯설지만 재밌다. 원작과 가장 큰 차이라면 왕자와 신데렐라가 결혼해서 행복하게 산다는 결말이 아니라 두 사람이 자신들이 바라는 삶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왕자는 농부를, 신데렐라는 케이크 가게를. 여기에 두 언니마저도 나쁜 일로 처벌 받는 설정이 아니라 자신들이 원하는 일을 하게 된다고 한다. 신선한 해석이다.


이 동화는 아서 래컴의 그림에 대해서도 말해야 한다. 실루엣을 이용해 동화의 내용을 표현했다. 이 때문에 인종에 대한 구분이 없어졌다. 의복의 색상도 사라졌다. 화려함에 대한 묘사도 생략될 수밖에 없다. 한 가지 흠을 잡는다면 이 실루엣들이 모두 날씬한 사람들이란 점이다. 현실에서는 다양한 외형의 사람들이 존재하는데 이 작품 속 사람들은 모두 그런 부분이 없다. 인종을 구별할 수 없다는 점도 이 그림을 선택한 이유 중 하나라는 부분에 공감한다. 마지막으로 진짜 마법에 대해 “모두가 자유롭고 가장 자기다운 모습이 될 수 있게 돕는 것”이라고 대모 요정의 말을 들려주고 싶다. 현재 우리들이 가장 못하는 것들이다. 얇고 낯익은 이야기이지만 읽으면서, 읽고 난 후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