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래의 속도 - 산업혁명보다 10배 더 빠르고, 300배 더 크고, 3,000배 더 강하다!
리처드 돕스.제임스 매니카.조나단 워첼 지음, 고영태 옮김, 맥킨지 한국사무소 감수 / 청림출판 / 2016년 11월
평점 :
절판

미래의 속도란 미래가 능동적으로 다가오는 속도인가, 아니면 우리가 수동적으로
미래로 끌려가는 속도일까?
No Ordinary Disruption 이라는 영문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다가올 미래는
더 이상 지난 한 세기 동안의 진부한, 그리고 느려터진 변화를 의미하지 않는다.
어느 누구도 일찌기 겪어 보지 못한 혹은 예측도 하지 못한 그러한 기하급수적
혁신과 변화를 가져오는 미래는 어떤 형태로 존재할 것이며, 이를 이끄는 동인은
무엇이며, 이러한 미래에 대처하여 우리가 어떻게 생존해야 하는가를 제시해
주는 새로운 미래전략서라고 할 수 있다.
맥킨지라는 글로벌 경제 및 경영 분석연구기관의 25년간의 방대한 자료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저자들이 우리에게 제시하는 4가지 파괴적 혁신의
아이콘은 아래와 같다.
신흥국의 도시화, 기하급수적인 기술의 성장속도, 인구의 노령화 마지막으로
글로벌컨넥션의 확대...
이러한 거대한 메가 트렌드가 독립적으로 혹은 서로 얽혀 상호작용을 통해
산업혁명보다 10배 더 빠르고, 300배 더크고, 3,000배 더 강한 미래의 속도를 이끌어 간다는 것이다.
다양한 미래의 변화 특히 비즈니스 세계에서의 사업의 존폐 여부는 파괴적
혁신을 거듭하는 이러한 미래의 속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달려있다.
근 100년간 아날로그 필름의 대명사가 된 코닥의 몰락(코닥모멘텀)과 한때
모바일시장 1위를 구가했던 노키아의 쇠퇴를 보면서 기업조직의 미래예측과
능동적 대처능력이야말로 한 치앞도 볼 수 없는 미래라는 파도에 올라타 생존을 이어가는 유일한 길임을 확신하고 있다.
따라서 미래를 뒤바꿀 근본적인 변화를 예측하고 대응할 인재와 기술을 준비해야 한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지금까지의 지식과 정보만으로는 미래에 대응할 수 없다는 점이며, 위의 4가지 메가트렌드를 직시하고, 이를 통찰하는 지식과 전문가적 직관을 새로이 정립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한 과제이다.
작금의 영국의 브렉시트, 미국의 트럼프대통령 당선 그리고 우리나라의 불안한 정치, 경제적 현실을 보면서, 이제 역사는 혁신적 붕괴를 통해 새로운 미래를 지향하는 것이 아닐까라는 의문을 가져본다.
특히 선진국이라 일컬어지는 서구사회는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변곡점을
지나 그들만의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고 있음을 여러 매체를 통해 확인하고 있다.
도시화와 그에 따른 소비, 기술과 경쟁, 고령화와 노동력처럼 모든 변화가
서로 연관되어 있고,각 요소들이 상호 증폭을 통해 그 영향력이 갈수록 막강해
지고 있는 이 때, 우리는 무엇을 보고, 무엇을 생각하고 있는가?
다가올 미래의 변화가 던져줄 새로운 형태의 도전에 맞서고자 하는 이들의 일독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