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마존 뱅크가 온다 - 2025 미래 금융 시나리오
다나카 미치아키 지음, 류두진 옮김 / 21세기북스 / 2020년 2월
평점 :

인공지능(AI), 핀테크(Fintech) 등의 기술 발전과 금융-비금융 간 서비스 융합으로 금융산업에서도 4차 산업혁명이 가속화되는 모양새입니다. 금융산업의 기능별 분해, 가치 사슬의 재구조화, 진입 장벽의 약화 현상이 나타남에 따라 전통적인 금융시스템이 급변하고 있습니다.
특히, 혁신 기술로 무장한 IT 기업들(Techfin)들의 공세와 이에 맞선 기존 금융 기업들(Fintech) 간의 금융 플랫폼 구축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으며, 송금, 지급, 자산관리, 대출 중개 부문에서의 IT 기업들의 진출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과거 금융서비스는 금융기관을 통해 대변으로 전달되었다면, 이제 '온라인 비대면 플랫폼'을 통해 금융서비스를 전달하는 새로운 국면에 처하게 되었으며, 핵심 Key Player 는 아마존, 구글, 애플, 알리바바, 네이버, 카카오, 토스 등과 같은 IT 기술 기업 들이라는 점입니다.
금융기업 IT 기술을 도입해 비대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력을 '핀테크(Fintech) 트렌드'라 한다면, IT 기업들이 그들의 플랫폼 기술을 활용해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노력을 '테크핀(techfin) 트렌드'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테크핀 기업의 선두에는 온라인 전자상거래와 클라우드 서비스의 세계 1위를 달리고 있는 '아마존(Amazon)'이 있습니다.
오늘 소개해 드리는 <아마존 뱅크가 온다 : 2025년 미래 금융 시나리오>에서는 2025년 즈음, 세계 최대의 종합 온라인 쇼핑몰인 '아마존'이 온라인 은행을 설립한다는 가정하에 기존의 금융 산업이 와해되는 상황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아마존을 포함해 미래 금융을 주도해나갈 '금융 디스럽터'들 (알리바바, 텐센트, 라인, 야후재팬 등)의 기술과 전략 그리고 이에 맞선 기존 금융권(싱가포르 DBS 은행, 골드만삭스, JP모건)의 반격과 차세대 금융 산업의 조건이라할 '금융 4.0'의 개념에 대해 자세히 논의하고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차세대 금융 산업을 전통 금융 기업들과 금융 디스럽터를 둘러싼 대립 구도는 아래 3가지 국면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테크놀리지 기업 VS 기존 금융 기업과의 대결
2. 고객 접점, 고객 경험, 고객과의 양호한 지속적 관계성을 둘러싼 대결
3. 모든 산업의 질서와 영역을 재정의하는 대결
테크놀로지 기업이 기존 금융 기관 보다 뛰어난 점은 바로 고객 접점과 고객 경험의 중시를 통해 고객과의 관계를 공고히 하는 데 있습니다. 기존 금융 산업에 부족했던 '편리함'과 '간편함'이라는 고객 가치를 테크놀로지 기업들은 그들의 혁신 기술(빅데이터, 인공지능, IoT, 로봇 기술 등)을 통해 해소해 나가고 있기 때문이죠.
금융은 모든 소비재와 서비스에 얽히고 설킨 형태로 모든 산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당연히 기술을 바탕으로한 차세대 금융 산업의 등장이 모든 산업의 질서와 영역을 재정의하는 것은 당연한 일일겁니다.

본서에서는 '아마존페이', '아마존캐시' 그리고 '아마존 렌딩' 등으로 대변되는 아마존의 금융업 진출을 통해 바라본 '미래 금융의 새로운 트렌드'와 중국을 세계 최대 최첨단의 핀테크 대국으로 이끌고 있는 알리바바와 텐센트의 사례를 통해 기존 금융 기관이 놓친 '금융의 본질'을 IT 기술을 통해 해소해나가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업계의 울타리를 넘어 금융이라는 새로운 영역으로 진출하고 있는 아마존을 통해 '핀테크'나 '캐시리스(Cashless)화'로 대변되는 차세대 금융 시나리오에 대한 예측과 함께 세계 제일의 디지털 은행으로 전환한 싱가포르의 DBS 은행의 사례가 흥미롭습니다.
'금융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Financial Digital Transformation)의 현 주소를 생생하게 묘사하는 1권으로 추천합니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