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태웅의 AI 강의 2025 - 인공지능의 출현부터 일상으로의 침투까지 우리와 미래를 함께할 새로운 지능의 모든 것
박태웅 지음 / 한빛비즈 / 2024년 9월
평점 :
인공지능(AI)은 이제 우리 생활의 모든 면에 스며들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에서 음성으로 일정을 관리하고, 온라인 쇼핑몰에서 개인화된 상품 추천을 받으며, 자율주행 기술로 더 안전한 이동을 경험하는 등 AI는 이미 우리 일상의 변화를 불러 일으키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에서도 AI는 생산성을 높이고,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지원하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기술혁신을 넘어 우리 사회와 경제 구조를 근본적으로 재편하는 'AI 대전환 시대'의 도래를 알리고 있습니다.
이러한 대전환 시대를 제대로 이해하고 대비하는 것은 이제 우리 모두의 숙제가 되었습니다. AI가 가져올 변화의 본질과 파급력을 정확히 파악해야만 개인과 사회가 이러한 새로운 시대에 적응하고 번영할 수 있습니다.
또한 AI는 무한한 가능성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윤리적, 사회적 도전 과제 또한 안겨준다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오늘 소개해 드리는 <박태웅의 AI 강의 2025>는 이러한 AI기술의 급격한 발전 속도와 그 영향력을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저자는 AI 분야의 변화 속도가 '한 달 만에 몇 년 치 시간이 흐른 느낌'이라 표현하며, 이러한 급변하는 AI 트렌드를 여섯가지 핵심 키워드로 정리하며, 다가오는 2025년의 풍경을 완전히 바꿀 것이라 예상합니다.
- AI가 운영체제(OS)처럼 모든 소프트웨어의 기반이 될 것 : 'AI as OS'
- 맥락을 이해하는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등장 : 'Contextual Interface'
- 인간의 필수적인 파트너가 될 AI : 'AI as a Partner'
-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하는 AI의 능력 : 'Multimodal'
- 소형화, 대중화되고 있는 AI 기술 : 'Cheaper, Faster, Smaller'
- 인간형 AI 로봇의 부상 : 'Humanoid'
이러한 트렌드들은 단순한 미래 전망이 아닌, 이미 현실화되고 있는 현상들입니다. 저자는 이를 통해 2025년에는 AI가 우리 삶을 더욱 급격히 변화시킬 것이며, 이에 대한 준비와 이해가 절실히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답니다.
이를 위해 AI 기술의 발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면서, 특히 최근 주목받고 있는 '생성형AI'와 대규모 언어모델(LLM)의 작동 원리와 그 잠재력을 깊이있게 분석합니다.
이와 더불어 챗GPT로 대표되는 이러한 기술들이 어떻게 우리 일상과 업무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에 대한 통찰력있는 예측을 제시합니다.
책은 또한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이 초래할 수 있는 위험과 도전 과제들도 균형있게 다룹니다. 데이터 편향, 개인정보 침해, 알고리즘의 불투명성 등 AI가 야기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들을 짚어내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들을 소개합니다.
특히 유럽연합(EU)의 'AI 규제 법안'이나 미국의 '알고리듬 책무법안' 등 주요국의 정책 동향을 분석하여 독자들에게 AI 거버넌스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있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본서의 특징 중 하나는 AI 기술의 미래 전망을 제시하는데 그치지 않고, 한국 사회가 AI시대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 지에 대한 구체적인 제언을 담고 있다는 점입니다. 저자는 한국이 AI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적, 교육적 과제들을 제시하며 특히, 기초 과학 육성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저자의 풍부한 IT 업계 경험과 깊이있는 통찰이 어우러져 복잡한 AI 개념을 일반 독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망하고 있는 AI 시대의 종합 안내서로 평가하고 싶습니다.
AI에 관심있는 일반 독자 뿐 아니라, 기업 의사결정자, 정책 입안자, 그리고 미래를 준비하는 학생들에게도 유용한 지침서가 되리라 봅니다. AI가 가져올 변화의 큰 물결 속에서 우리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데 중요한 안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