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시장 - 일상다반사, 소소함의 미학, 시장 엿보기
기분좋은 QX 엮음 / 시드페이퍼 / 201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역사서와 철학서를 동시에 들고 들락날락. 쉬이 진도가 나가지 않습니다. 원래도 동시 다발적인 독서를 좋아해 연애가 이랬음 얼마나 좋아~뭐 이런 생각까지 하면서, 인문 교양남들의 유익함과 도덕성에 쉽게 퇴자놓지 못하는 중입니다. 그렇다면 남은 방법은 하나, 외도죠. 간통에 대한 헌제의 판결이 어떻게 내려졌는지 몰라도 법이 이불속까지 들어올 수 없다는 주장처럼 독서의 유희에 누가 손가락질을 하겠습니까. 

유희라면 단연 '볼거리'입니다. 각잡힌 주장에 진땀이 난다면, 한 줄은 오해하고 한 줄은 포기해야 한다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사랑해야 할 책이라면, 우회하여 꽂히는 화살처럼 그대에게 달려갑니다. 오늘의 우회로는 <한국의 시장>. 


제목만으론 싱싱한 젊음의 유혹도, 독특한 내면도 읽을 수 없을 지언정. 소탈하고 다감하게 다가오는 색색의 '시장사진'들에 팔도를 눈요기로 돌아본 소감이 결코 서운하지 않더라는 말씀. 

제주를 시작으로 서울까지 상경하며 장을 체험하고 온 그녀들이 바리바리 보따리를 한아름씩 풀어놓습니다. 상품보다 사람보다 생생한 사진이 말그대로 시장을 재발견 하고 있군요. 저도 여행가면 '시장 구경'을 빠뜨리지 않는지라 시장통의 진귀한 지역색이 모둠으로 펼쳐지자, 명산, 고승지, 맛집을 소개받은 것마냥 몸이 근질거립니다. 


몇년 전 제주 민속5일장에 갔을 때, 왜 제주녀들의 화려한 작업복이 눈에 띄지 않았을까요. 왜 빙떡이나 화산석 돌구이판 같은 건 보지 못했을까요. 그림만 아는만큼 보이는게 아닌가 봅니다. 워낙 전국적으로 공급용 채소와 과일들을 먹는, 이 무한 산업화 시스템이 시장의 지역색도 많이 흐릿하게 했음은 거부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그래서 정말 '장'이 서서 로컬푸드운동의 시초에 감명받는게 아니라면 시장은 변함없이 활기가 넘치면서도 도진개진의 매력만을 발산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런 와중에도 이 책은 지역만의 개성을 부각시키는데 애씁니다. 맞습니다. 애쓰지 않아도 아마존이 아마존으로 남는 세상은 갔습니다. 저는 보려고 애씁니다. 제주의 미깡을, 벌교의 꼬막을, 병천아우내장터의 충남집을, 동해북평장의 딸기떡을, 주문진 수산시장의 예술달력을. 그들은 더더욱 애씁니다. 지역에 덧칠할 확실한 지역색을 고르기 위해.

'컴퓨터 도장은 위조와 사기를 당할 수 있습니다' 병천아우내장터의 수제 도장 좌판의 안내판입니다. '답답한 마음 다 풀어내고 가' 동해북평장의 장터 점집입니다. '당시 시장으로 흘러들어온 대부분의 미군 물품이 통조림' 부산 깡통시장의 내력입니다. '한 아주머니께서 트렌스젠더 복장을 한 아저씨 가슴에 슬쩍 손을 갖다 대었다. 그러자 각설이 아저씨는 오히려 옷을 들어 올려 여성 속옷을 착용한 몸을 보여준다.'대구서문시장의 각설이패 풍경입니다. '못골 온에어' 수원 못골 시장의 라디오 방송입니다. '음주 측정기와 기념화폐' 황학동 벼룩시장의 예상치 못한 품목입니다. 






예술, 건축, 문화, 맛집, 도서관, 지역축제 기행에 당당히 '시장'이 추가됩니다. 대형마트에 밀려나는 시장이 안쓰럽다면, 여행가서 시장 살리는 일도 좋은 대안인것 같습니다. 

이 책엔 디자이너 이상봉, 포토그래퍼 권영호, 가수 하림, 연기자 홍석천, 영화감독 박제현과의 시장 인터뷰가 실려있는데, 게중 가수 하림의 악기 흥정 부분이 참 재밌었습니다.
 


악기 살 때는 흥정을 해요. 예전에 황학동 벼룩시장에 너무너무 좋은 야마하 기타가 걸려 있더라구요. 얼마 주면 되냐고 물으니 "한 60~70만원은 줘야 되지 않을까?" 하시더라구요. 그래서 제가 반값인 30만원을 불렀거든요. 그랬더니 아저씨가 40만원이래요. 그럼 또 제가 "사실 한 10만원이면 될 것 같은데 그냥 한 번 물어봤다" 그러니 아저씨가 30만원에 준대요. 결국 20만원에 사왔어요. 악기야 저도 전문가니까 흥정을 하지만 아프리카에서 기념품 살 때는 흥정을 못하는 거죠. 
(사진출처; 문전성시-가는 날이 장날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