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네가 아니었다면
김별아 지음, 이장미 그림 / 토토북 / 2009년 1월
평점 :
<미실>을 쓴 김별아씨의 동화책입니다. 부드럽고 강한 그림입니다.
아이에게 엄마는 둘도 없는 선생님이지만, 아이가 엄마의 선생님이기도 하다는 사실, 키워보신 분은 아시죠?
아이가 엄마에게 가르치는 것은 참 많습니다. 인내, 망각, 구속력, 책임감, 교육열(약간은 농담입니다)-엄마 속에 숨어있던 모든 극한을 바닥부터 끌어올리게끔 만들죠. 다행히 <네가 아니었다면♥>은 상당히 긍정적인 방향을 향합니다.
한밤중에 깨어나 젖을 먹이고
칭얼거리는 너를 업고 집 안을 맴돌았지.
네가 아니었다면 엄마는 몰랐을 거야.
혼자 먹고 혼자 잠들 수 없는 너를 위해
엄마는 까만 밤을 하얗게 밝혀야 한다는 것을.
아이야, 네가 엄마의 선생님이야.
(전 속으로 이랬죠. 아이야, 왜 이렇게 힘들게 하니)
마지막 구절은 반복됩니다. 반복의 심심함을 넘어서 다분히 소설적 감흥이 생기는 건, 간난아기였던(엄마등에 업혀 있었던) 아이가 책장을 넘길 때마다 키가 큰다는 거죠. 다이내믹 합니다. 아이가 숨쉬는 소리가 조금씩 커지는 듯한 점증적 효과가 기대되는 책입니다. 아이나 엄마가, 다가올 상황들을 예측해보고 혹은 지나간 시간을 추렴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엄마'라고 불렀던 날, 투정이 늘어가는 아이, 달리기 시합에서 2등 도장을 찍어온 아이, 친구와 다투고 고개를 숙여야 하는 엄마. 세상에 처음 태어난 아이만큼 처음 엄마행세를 하는 이에게도 모든 것들은 낯섭니다. 26개월 아이에게 엄마경력은 26개월 뿐이죠. 당황하고 아이를 나무라기도 합니다. 좀 살아 봤다고 윽박지르기도 합니다. 그럴 때마다 속으로 되뇔 수 있는 말입니다.
'아이야, 네가 엄마의 선생님이야'
광고에나 등장할만한 사소한 역발상이지만 아이와 엄마를 동등한 위치에 두었을 때 가능한 말입니다. '엄마를 위한 그림책'으로 보아도 무방할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