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시절 상처가 나에게 말한다 - 나하고 얘기 좀 할래?
울리케 담 지음, 문은숙 옮김 / 펼침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공교롭게도 하루사이로 읽은 두 권의 책이 같은 메시지를 전달한다.
 
'내면의 아이를 간직하라'

물론 겉으로는 전혀 다른 유형의 책이다. <어린시절 상처가 나에게 말한다>는 심리치유사가 쓴 심리학 책이고, <유태인 가족대화>는 가족 상담가가 쓴 육아 지도서다. 심리상담을 공통으로 한다는 점에서는 저자 간의 유사점이 분명하긴 하다. 

두 책에서 단연 이 메시지가 돋보였다고는 할 수 없었는데도 굳이 눈에 띄였던 데는 퇴행하라는 말도 안되는 조언처럼 들렸기 때문이다. 내면의 아이를 불러내라는 말은 반듯한 어른의 삶으로 잠입하기 위해 애써 일궈온 성과들을 무너뜨리는 말 같기도 하고 유치함의 소치인 '자기 멋대로 구는 사람들'을 옹호하는 발언같기도 했다.  

도데체 이 두 책이 간직하라는 '내면의 아이'란 어떤 모습일까.

우선 <어린시절 상처가 나에게 말한다>는 누구나의 안에 아이가 존재함을 기정사실화한다. 순지무구함, 연약함, 즐거움, 태평함, 호기심, 사랑의 능력, 제멋대로, 등은 어른 안에도 충분히 잠재되어있다는 것이다. 이 부분에는 고개를 끄덕거릴 수 있었다. 

하지만 이 내면의 독재자가 사회적 경력을 쌓는대신 조용하고 여유있는 생활을 원하거나, 현재의 직업이 싫어 완전히 다른 일을 찾길 바라거나, 가벼운 책으로 시간낭비를 하라고 부추길 때, 그 아이를 몰아내거나 무시하면 안된다는 충고는 여태 학습해온 삶과는 다른 방식이었다. 삶의 지침서들, 성공을 위한 조언들, 능력을 키워 스스로 강해져야만 하며 유혹을 물리치라고 조리있게 기술하는 언어들과는 반대의 입장이지 않은가.  


비록 처음에는 깨달을 수 없겠지만 내면의 아이로부터 멀어질수록 아이는 마음깊은 곳에서부터 우리의 삶을 더 강하게 지배하게 된다. 게다가 내면의 아이로부터 멀어질수록 우리는 삶에서 기쁨과 활력이라는 중요한 부분을 잃어버리게 된다.

이 구절은 <유태인 가족대화>에서의
 

내면의 아이를 잃어버린 어른은 미약한 토대 위에 세워진 집과 같아서 평생 언제 무너질지 모르는 위험속에서 살아가야 한다.

는 경고와 같다. 마찬가지로 이 교육 지침서도 어른이 어린 시절을 간직하고(기억하거나 변형하지 않은채로), 원할 때마다 내면의 아이에게 다가갈 수 있다고 믿는다. 

어른은 책임을 지게되고(동시에 책임감을 짊어지고), 할 줄 아는 것과 할 수 있는 것이 늘어나며(해야하는 것도 많아지고), 실제로 강해지고(의무적으로 강함을 부여받고), 경험을 통해 지혜를 얻는다.(경험으로 녹슬어간다) 성숙한 자기 주체성을 찾는 일은 지당한 성장과제이지만 어른이 되면서 받은 상처들은 우리를 냉소적으로 혹은 무감각하게 만들고 있기도 하다. 두 책이 '어른'에게 하는 경고는

<유태인 가족대화>는 그만큼 호기심을 잃어가는 것을 걱정한다.
<어린시절...>은 우리의 삶이 온통 '의미있는' 것으로만 채워져서 언제나 이성이 승리하는 것만 목격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내몰지도, 모두 껴안지도 못할 이 골치덩이 아이를 어쩌면좋단 말인가. 그 아이들이 제 멋대로 다 큰 어른인 나를 휘두르도록 놔두어서 치기어린 예술가나, 태평한 백수나, 자리만 옮겨가며 누군가에게 의존해야만하는 어른아이로 방목해야만 내가 행복하다는 말일까. 당연히 '책'이 이런 걸 권장할리는 없겠지만 거기까지 생각이 미친다. 

<어린시절...>은 내면의 아이를 부분인격으로 인식하고, 아이를 위로함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의식된 자아'를 강조한다. 한마디로 내면의 아이를 잘 다루라는 것이다. 보살피고, 욕구를 인식하고, 충족시킨다면 우리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것이라고 말이다. 
<유태인 가족 대화>는 내면의 아이를 어른의 모습과 잘 융화시킬줄 아는 사람만이 완벽하다고 말한다. 아이들의 천진난만함을 보호해주고 신비함과 놀라움의 영역을 간직할 수 있도록 부모가 도울 수 있다면 아이와 어른의 장점을 모두 취할 수 있을것이다. 성공한 사람의 일부는 여전히 자기 자신의 아이와 대화를 나누고 있다는 예를 들기도 한다. 

새삼 '내면의 아이'와 간지러운 대화라도 나눌 마음은 없지만 문득 찾아오는 순진한 욕구들을 '어른답게' 억누르는 법을 배우기 보단, 낯설고 어리숙한 그 아이디어들도 빼놓지 않고 보듬을 필요가 있음을 기억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