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누구지? 왜 죽어야 하지? 내가 맘놓고 기댈 수 있는 곳은 어디지? 왜 다른 사람에게 잘해줘야 하지? 왜 어떤 아이는 다른 종교를 믿어요? 저자가 뽑은 종교와 관련된 어린이의 다섯 가지 질문이다. 부모 혹은 성인이 된 우리에게도 위의 질문들은 여전히 ?로 남아있다. 답을 찾기 위해 애쓰기도 했지만 결국 초라한 답안지는 바람에 날아가버렸다. 내게도 무척 호기심어린 시선을 주었던 <아이와 나누는 종교적 대화-어린이의 다섯 가지 중대한 질문>은 추리소설만큼이나 결론이 궁금했다. 저자가 다다른 종착역은 '아이들의 종교권리'와 '올바르게 사용되는 종교의 힘'이다. 하지만 결론이 중요한 류의 책은 아니었다. 책이 지향하는 종교가 하나님을 내세운 권위나, 신적인 경이, 도덕적 완벽을 추구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힘겨운 독서를 마치게 해주었지만 어린이의 질문만큼이나 결코 만만하지 않았다. 유럽의 종교적 배경과 우리나라의 경우가 적지않은 차이를 두고 있어서 쉽게 공감할 수 있는 부분도 적었다. 지금 생각해보니 육아서로써 접근했던 시작부터 뭔가 틀렸던 거다. 나의 아이에게 어떻게, 어떤 종교를 선택하게 할 수 있을까? 고민하는 엄마가 읽어야할 개운한 실용서는 절대 아니다. 또 기독교에 대한 일말의 지식이나 접근을 당연시 하고 있어서 불교이거나 남여호랑교^^인 부모들에게 적합한 참고서도 아니다. 내 기대감은 모두 무너졌지만 쉽게 버릴 수 없는 해법들이 있었다. 어린이와 나눈 대화의 예시들은 아이들의 질문이 얼마나 진지한 것이며 어른들이 아이들과 어떻게 소통해야 하는지 힌트를 얻는다. 저자도 강조하고 있지만 아이들의 질문은 어떤 것이든 존중 받아야 마땅하며 아이 나름대로의 일관성과 그들만의 세계를 구축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결론보다 중요한 본론은 아이와 함께 종교적인 질문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태 위의 질문들은 뭣모르는 아이의 철없는 물음이거나 '죽음은 삶의 일부야'라는 정도의 추상적인 답변 혹은 어른도 모르는 '하늘나라'에 모든 것을 맡기는 급작스런 마무리로 대체할 수 있는 아이들의 세계일 뿐 이었다. 하지만 이제 어른들을 당황스럽게 만드는 이런 질문에 미리 대비하고, 아이와 소통하기 위해 노력하면서 우리에게도 이런 질문을 멈추지 말길 기대하고 있다. 아이(여섯 살) : 하나님은 공기야? 부모 : 아니, 하나님은 공기가 아니야. 하지만 조금은 공기 같기도 해. : 아이 : 왜 하나님은 모양이 없어? 부모 : 하나님은 어떤 생각 같아. 생각이 어떤 모양이 있어? 아이 : (잠시 가만히 있다가 웃으면서)없어. 부모 : 거봐. 하나님은 어떤...아주 강력한 생각 같기도 해. 이런 예시는 이 책이 부모들에게 충분히 쉽게 다가갈 수도 있음을 암시하기도 했지만 여전히 실용적 소스를 얻어내기엔 조금 난해하다. 하지만 현재 기독교로 아이를 인도하고 싶거나 영적인 질문에 대해 폭넓은 대비를 하고 싶은 부모라면 도전해 볼만한 인문학 서적이다. 마치 불교의 선문답처럼 느껴지는 이런 식의 대화가 올바른 방향으로 제시되고 있다. 아이의 질문에 답을 주는 건 어른도 성경도 아니다. 바로 대화와 소통이며 느낌으로 전달되는 강력한 메세지이다. 아이들이 영적인 발전영역에서 단절을 느끼지 않고 충분히 파고들 수 있도록 어른은 더 깊은 고민으로 이어지는 질문을 던질줄 알아야 한다. 하지만 방향은 있을지언정 답을 가지고 있어서는 안된다. 또 한가지 귀기울일 말은 '아이들의 종교권리'이다. 요새 아이들은 종교를 가지지 않을 권리만 만연되 있다는 것이다. 오히려 그런 방치 속에서 고민할 권리를 빼앗긴다는 지적은 꽤 의미있어 보인다. 역시 어른들의 세심한 접근이 꼭 필요한 부분임에 틀림없다. 객관성과 전문성을 확보하기에 좋아서 인지, 책 자체의 연구적 성격 때문인지 유독 인용문이 많다. 인용문에 이어지는 저자의 의견을 들으면서 아쉬움을 많이 느꼈다. 육아에 꼭 필요한 이렇게 좋은 주제에 대해 학문적인 접근만 있는 것 같아서다. 다른 버전의 풀어쓴 책이 한 권 더 있다면 더 많은 부모들이 책을 펴들 수 있었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