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장 사소한 구원 - 70대 노교수와 30대 청춘이 주고받은 서른두 통의 편지
라종일.김현진 지음 / 알마 / 2015년 1월
평점 :
이 책은 라종일, 김현진 이 두 저자가 편지를 통해 주고받은 글을 책으로 출간한 것이다.
일단, 저자들의 조합의 무척이나 신선하다.
대부분 공저자들은 비슷한 또래이거나, 같은 주제에 대한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 책은 아니다.
자유분방한 영혼으로 살고자 하는 젊은 여자와 엘리트 코스를 걸어온 노년의 남자가 아주 다양한 주제에 대해서 묻고 답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딱히 하나의 주제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니라, 김현진이 자신의 궁금하는 것이나, 아직 겪어보지 않았기에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 것에 대한 내용을 보내면, 라종일이 그간의 자신의 경험과 지혜로 답을 해주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렇기에 정말로 편지를 보는 듯한 기분이 든다.
김현진은 라종일을 '남자 친구'라고 부른다고 한다. 물론, 라종일은 완강히 부인하고 있다. ㅎㅎ
그런데 이 책을 보고 있노라면 그런 생각을 할 수도 있겠다라는 생각이 든다.
이들의 관계를 무엇이라 볼 수 있을까?
사제나 동료라고 하기에는 같은 주제나 공통점을 찾기도 어렵고, 친구라고 하기에는 조금은 심오하고, 깊은 대화를 나누고 있는 듯 하다.
그냥 멋진 멘토와 멘티의 관계라고 하는 것이 가장 좋을 듯 하다.
사실, 이 두 저자의 이력을 보자면 쉽게 동화할 수 없을 것 같았는데, 이 책을 보면 무척 잘 어울리는 듯 하다.
제목은 사소한 구원이라고 하지만, 이런 사소함이 결국 우리의 인생이다.
그렇기에 사랑과 같이 우리 주변의 이야기에서부터, 심지어 난해한 정치, 사회 이야기도 하고 있다.
라종일과 같은 멋진 멘토를 두고 있다는 것이 부럽기까지 하다.
김현진은 자신의 상황에 대한 부조리함과 어리석음, 현실에 대한 부당함을 편지를 통해 이르고 있다.
그러면, 라종일은 그런 모든 것이 인생이고, 그것을 잘 견디고 이겨내기 위한 힘과 응원이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
이것이 흔히 말하는 관록이라는 것일까..
이들사이의 편지 왕래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다.
이런 교류를 통해 김현진만이 아니라 라종일도 세상을 보는 관점, 시야, 생각이 더 깊어지고, 풍부해 질 것이다.
불쑥 이런 생각이 든다.
과연 난 누군가에게 힘이 되어 주는 사람이였던가..
조금은 부끄러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