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누가 진실을 말하는가 - ‘미국에서 가장 위험한 사람’이 쓴 음모론과 위험한 생각들
캐스 선스타인 지음, 이시은 옮김 / 21세기북스 / 2015년 2월
평점 :
품절
이 책의 저자를 알게 된 것은 '넛지'를 통해서였다.
작은 자극으로 보다 큰 성과를 도출해 낼 수 있다는 것이 이 책의 요지였다.
주변에서 가끔씩 보면서 그냥 호기심으로 그쳤는데, 이것이 심리적으로 무척이나 중요한 결정 요소였다는 것이 놀라웠다.
그런 그가 이번에는 조금은 다른 분야에 대한 책을 냈다.
주제는 바로 '진실'이다.
이 책을 보는 내내 상당히 많이 혼란스러웠고, '정말?'이라는 나 스스로에 대한 질문을 많이 했었다.
'해는 동쪽에서 뜬다'나 '물체는 땅으로 떨어진다'와 같은 자연현상이 아닌, 다른 것에 대해서도 우리는 '진리'라고 생각하는 것들이 꽤 있다.
그런데, 그것이 정말 '진리'일까?
바로 이와 같은 전제조건에서 이 책을 읽는다면 많은 생각할 거리를 가져다 줄 것이다.
선스타인은 어떻게 이런 생각을 했을까라는 생각까지 들 정도다.
우리 주변에 있는 흔한 일들부터 나라에서 행하는 일까지 아주 다양한 것들에 대해 그것이 과연 진리인가, 그렇지 않다면 왜 그것을 진리라 생각하는가에 대해서 조목조목 보여주고 있다.
저자는 각각에 대해서 이것은 진리다, 그렇지 않다라고 자신의 의견을 내세우지 않는다.
다만, 우리가 진리라고 생각한 이유와 그 이유가 과연 타당한 것인지에 대해 말하고 있다.
판단은 독자의 몫이다.
첫번째 주제인 '음모론'은 우리가 아주 흔히 접하고,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실제한다고 믿는 바로 그것이다.
대표적인 것으로 바로 이번 국정원의 대선 개입을 언급할 수 있다.
그전에는 실체가 드러나지 않았기에 그저 소문으로 무성했지만, 그것이 사실임이 증명되었다.
대중의 선택을 필요로 하는 정치 특성상, 그 선택을 받기 위해 이와 같은 음모가 이루어졌다.
첫번째 주제가 너무 강렬해서인지 그 나머지에 대해서도 좀 더 진지하고, 깊게 생각을 해 보게 되었다.
결혼, 동물의 권리, 성차별, 마지막에 있는 중간주의.
사회적인 통념과 지금까지의 교육, 그리고 내가 살아오면서 얻은-혹은 느낀- 경험으로 인해 나름대로 결정되어진 것들이 조금은 혼란스러워졌다.
내가 믿고 있는 '모든' 것이 진리는 아님을 인정하더라도, 왜 내가 그것을 진실이라고 생각했었던가라는 이유에 대해 생각을 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