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교육공동체를 꿈꾸는 이가 발견한 마을 이야기>
-‘마을 발견‘(송경애, 기역)을 읽고

시흥 장곡동으로 이사 오면서 마을학교, 마을교육자치회를 알게 되었다. 주민 참여를 강조하는 마을 만들기 같은 사업은 들어본 적이 있었다. 하지만 학교와 마을이 협력하여 지역을 살피고 학생들을 가르친다는 발상은 적어도 나에겐 생소했다. 장곡동으로 올 때 쯤 자녀가 막 학교에 들어갔기에 나도 교육 의제에 눈길이 가기 시작했다. 또한 이전에는 전세 계약기간에 맞춰 옮겨 다니느라 한 동네에 오래 머무르기 어려웠고 공동체 소속감을 가질 만한 꺼리도 없었다. 장곡동에 와보니 ˝학교를 통하여 마을의 비전을 향해 나가려는 노력인 마을교육공동체˝(주영경, ‘마을신문의 길‘, 2019년 1월)가 꾸려져 있었다.

책 지은이는 서른 해 가까이 광주광역시에서 초등교사로 살았다. 결핍 많은 가정환경에 처한 한 제자를 만나 학교와 교사의 역할을 고민한 경험이 있었다. 학교의 짧은 호흡만으로는 그 아이를 품을 수 없다는 걸 깨닫고 마을을 통해 결핍을 메울 수 있으리라 믿게 되었다.

교실 문을 열어 지역아동센터장들과 팀티칭을 한 사례가 그 믿음의 결실을 보여 준 한 장면이었다. 학습 속도가 느린 학생을 이끌어 가는 데 담임교사의 힘만으로는 역부족이었다. 하지만 ˝학교 문턱을 낮추고 지역사회와 끊임없이 소통˝하여 도움을 얻는다. 학교를 살리고, 지역도 함께 사는 길을 발견한 값진 순간이라 했다.

장곡타임즈 블로그에 남아있는 글들을 읽었다. 이 책에 담긴 사례들 못지 않게 의미있는 활동을 장곡동에서도 펼쳤다. 노루우물 보존, 노루마루축제, 마을신문 학교별 페이지, 체인지 메이커 수업 등의 성과 뒤에는 열과 성을 다한 마을주민과 선생님들이 있었으리라. 좀 더 나은 동네, 보다 좋은 세상을 꿈꾸며 시간 쪼개어 나섰을 분들을 떠올리니 숙연해졌다.

부디 그분들이 지치지 않기를, 앞으로도 신명나게 활동하시길 바란다. 그리고 마을과 학교를 거치며 성장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궁금한 이들에게 이 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을교육공동체 운동 입문서로 삼기 적당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꾸로 읽는 세계사 - 전면개정
유시민 지음 / 돌베개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별점 테러 방지용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흙내음이 나고 바스락거리는 시>

- 시집 ‘새들은 날기 위해 울음마저 버린다‘(김용만, 삶창시선)를 읽고

언제부턴가 한국 현대시를 읽지 않았다. 알아들을 수 없고 마음이 움직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암호문 같은 시구를 외면했다. 공부가 부족한 탓일까. 케이팝 아이돌의 음악과 세계관에 입덕하려 해도 사전지식을 습득해야 즐길 수 있는 시대다. 수 천 년을 이어온 시라는 장르를 너무 쉽게 보고 날로 먹으려든 것이었을까.

오랜만에 ‘알아먹을 수 있는‘ 시집을 만났다. 김용만 시인의 작품은 관념에 젖어있지 않았다. 그의 시에서는 흙내음이 났다. 바스락거리는 소리가 났다.

아름다운 것들은
땅에 있다

시인들이여

호박순 하나
걸 수 없는

허공을 파지 말라

땅을 파라
(‘시인‘)

임실에서 태어나 완주에서 산다는 시인은 소소하게 농사를 짓고 시도 짓는다. 시에 그의 생활이 묻어 있다. 돌담, 지게, 산중 풍경, 서리, 호미... 그의 곁에 있는 사물과 경치가 그대로 시가 되었다.

산동네 꽃들은
골목에서 크고
부잣집 꽃들은
창살 안에 큰다

산동네 꽃들은
동네 사람 다 보고
부잣집 꽃들은
저그덜만 본다
(‘꽃‘)

골목에서 크고 자라 나 같은 동네 사람도 읽을 수 있는 그런 시집을 오랜만에 만났다. 덕분에 이 가을 감히 나도 시 한 줄 써볼 생각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첫번째 챕터 ‘90년대생은 누구인가‘는 흥미롭게 읽었다. 지은이 자신이 94년생이라는 점에 기대어 자기 세대의 흐름을 알려주었기에 신뢰가 갔다.

나머지 챕터들은 기대에 비해 실망이었다. 거칠게 평가하자면, 자의적이고 근거가 부족하다.

‘민족주의와 다문화에 관하여‘는 본인이 경험한 사례, 지인의 세부 인터뷰를 이용해 중소 지방을 중심으로 한국인 곁에 다가온 다문화를 풍부하고 생동감 있게 보여주었다. ‘재미‘가 있긴 했으나 썰 잘 푸는 친구가 술자리에서 들려주는 이야기라고 폄하할 수 있을만큼 단편적 르포에 가까웠다. 뒤에 배치된 챕터로 갈 수록 실망은 커졌다.

감사의 말에 언급된 특정챕터 ‘Thanks to‘를 확인했을 때는 고개를 갸웃 했다. 나열된 인사들을 보았을 때 해당 챕터에 특정 시각이 강하게 배어 있다는 의심을 지울 수 없었다. 신뢰감이 살짝 떨어졌다.

젊고 신선한 논객이 나타났다는 점에 박수를 치고 싶긴 하다. 지은이가 시사와 국내외 정세, 대중문화 분야에 대한 다음 책을 멋지게 내주길 기대한다.

다만 칭찬도 온당하고 공정하게 해야지, 그저 20대라고 썰 잘 푼다고 잘 깐다고 추천하며 우쭈쭈 하는 태도는 성숙하지 못하다. 지식인이고 싶어하는 아재, 아짐들이 보다 책임감 있게 발언하길 바란다. (그런 분들의 평을 읽고 이 책을 펼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