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 속 숫자의 거짓말 - 정부와 여당, 기업, 정치가는 통계로 우리를 어떻게 속이고 있는가?
게르트 보스바흐 & 옌스 위르겐 코르프 지음, 강희진 옮김 / Gbrain(지브레인) / 201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통계라고 하면 왠지 수학보다 더 어렵게 느껴지는 게 사실이죠?
뭐라고 할까? 변수들과 변수들 간의 관계?
표본이나 전체 대상집단의 부분집합의 특징을 설명하고 분석하는데 이용되어온 기술적 또는 추론적 양화절차.
도대체 무슨 말인지 모르겠네요.
아무튼 어떤 현상에 대해서 수량적으로 보여주는 거라고 생각하면 되겠죠?
예를 들어서 회사에서는 생산되는 제품들 중에 불량품의 개수가 어떻게 되는지, 한국사람의 1인당 통신비가 얼마인지 등등.
사실 개인들은 모르지만 정부나 기업, 정치가들은 이런 통계를 좋아하죠.
통계라는 것이 어떤 사실적인 데이터를 가지고 그 데이터들 속에서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는 거지만 때로는 조사하는 과정에서 또는 자료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선별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아는 사람들이 있을까요?
그저 통계이니까 객관적이고 정확하다라고 믿고 있나요?
그런 순진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얼마나 많은 거짓말이 세상에 존재하는지, 어떻게 보면 모르는 게 약일 수도 있겠지만 거짓 속에서 진실을 찾는 눈을 기르는 것.
그것은 어쩌면 세상 속에서 자신의 것을 잃지 않고 지키면서 살아가는 방법인 것 같아요.
현대사회를 만든 문명 속에는 글자뿐만 아니라 숫자가 있다는 것.
그 숫자에서 탄생한 것이 바로 통계.
통계는 바로 불확실한 것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마법이죠.
그 마법을 만들어내는 것은 그래프와 수치와 백분율과 같은 도구들 아니겠어요?
지금도 총선을 대비해서 각종 설문조사 또는 지지율 조사를 하고 있는데, 과연 그 조사의 목적은 무엇이고, 누구에게 도움이 되는 걸까요?
은행에서도 수많은 숫자들이 우리들을 어지럽게 하죠.
각종 보험 상품, 세금, 정부가 쏟아내는 각종 통계들.
그런데 정작 사람들에게 보여지는 통계들은 정말 신기루일 뿐인가요?
물가가 조금 올랐다고 이야기하지만 실상 사람들이 시장에서 느끼는 체감물가는 그와는 다르다는 것.
그것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현실과 이상의 괴리만큼 통계가 우리들에게 제시하고 있는 진실과 직접 느끼는 진실과는 다르다는 것을 말이죠.
우리가 알게 모르게 조작되는 통계들.
그 통계들에 속아서 진실을 왜곡되게 받아들인다면 어떻게 될까요?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있죠?
진실이 왜곡되는 과정을 보게 된다면 속지 않을 수 있을까요?
지금도 어쩌면 우리들은 거짓을 보고 있는지도 모르겠어요.
[네이버 북카페를 통해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된 서평입니다.
본 서평은 작성자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