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소리가 큰 아이들
윤병훈 지음 / 다밋 / 2010년 5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읽으면서 교육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기회가 된 것 같아요.
그저 아이들에게 1등만을 강요하고 정답만을 찾는 교육을 시키지만 실질적으로 인생의 문제에 대해서 정답을 찾는 방법은 가르치고 있었는지 말이죠.
요즘 아이들을 보면 학교는 물론 하교후에 각종 학원에 전전하면서 가족이 함께 모여 식사하는 시간도 없고 대화를 할 시간도 없는데 과연 아이들이 함께 어울리는 것과 사람과 사람의 관계에 있어 남을 배려하고 사랑하는 법을 배울 수 있는지 의문이 드네요.
물론 공부를 잘해 일류대학을 가면 좋지만 최소한 사람으로서의 도리조차 모르는 사람을 양상한다면 그것은 참된 교육이 아니겠죠.
이런 현상에는 일부 학부모들의 아이에 대한 잘못된 기대와 교육방식이 있겠지만 그보다 더 근본적인 것은 사회적으로 교육정책이 너무 성적주의로 경쟁주위로 흘러가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어요.
교육은 예로부터 백년지대계라고 했는데 중장기적인 계획이 없이 그저 주먹구구식으로 자주 변경되는 교육정책도 문제가 있는 것 같아요.
얼마 전까지만 해도 대안학교라고 하면 정말이지 일반교육과정을 제대로 이수하지 못하고 말썽만 피우다가 정말 퇴학을 당하는 문제아들만 있는 학교라는 인식이 있었는데 최근에는 이런 대안학교가 많이 부각되는 것 같아요.
오히려 이런 대안학교에 들어가려고 하는 아이들이 더 많아진 것 같네요.
그것은 아마도 대안학교가 일반학교와는 다른 방식으로 아이들에게 가르치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요?
획일화된 교육이 아니라 창의적인 교육, 교실 수업이 아니라 자연과 함께 뛰어놀면서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는 교육, 혼자가 아닌 함께 어울리는 교육.
최근에 교사와 학생들간에도 서로 거리가 생기고 서로 소통이 잘 되지 않는 것 같아요.
단순히 선생님을 존경하는 마음을 가르친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정말로 학생들이 스스로 우러나오는 마음으로 선생님을 존경해야 되지 않을까요?
그렇기 위해서는 선생님들이 먼저 아이들에게 열린마음으로 한 걸음 다가서고 함께 고민하면서 어떤 것이 정말 아이들에게 필요한 교육인지 함께 고민해봐야하지 않을까요?
아이들의 꿈을 찾아서 키워줄 수 있는 그런 교육이야 말로 아이들을 위한 교육이 아닐까 생각해 보게 되네요.
발 소리만큼이나 아이들이 꿈이 점점 커졌으면 해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샹해요 2010-07-08 00: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평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