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로 만나는 치유의 심리학 - 상처에서 치유까지, 트라우마에 관한 24가지 이야기
김준기 지음 / 시그마북스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치유의 심리학이라...
요즘은 워낙 사회가 급변하고 불확실한 미래때문에 누구나 한 번쯤
정신적 공황상태에 빠져본 적이 있을 것 같아요.
학생이라면 입시에 좌절하고, 취업준비생의 경우는 계속되는 낙방소식에,
또는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 등등
현대인이라면 이처럼 수많은 마음의 상처들을 안고 살아가야되는 것 같아요.
저마다 한 두 개씩의 아픔들...
그렇다고 그게 치유가 되는 건 또 아니더라구요.
누군 시간이 지나면 자연히 잊혀질 거라고 하는데...
책에서는 트라우마라는 말이 많이 나오더군요.
처음엔 무슨 말인지 몰랐는데,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로 신체적, 정신적 충격을 경험한 후 나타나는 심리적 외상이라네요.
예를 들면 아마, 9.11 테러 때라던지 우리나라의 대구 지하철 참사 때를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그 외에도 개인적으로 직장에서 해고되었다던지, 애인에게 차였다던지 하는 경우가 되겠죠.
예전에 정신병이라는 게 참 금기시되고 정신병원에 간다는 자체만으로도 미친 사람 취급을 당하고 인식이 좋지 않았는데, 요즘은 평범한 일반인도 가끔 상담을 받는 건 아무것도 아닌 게 되어버렸어요.
그만큼 현대인들이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말이겠죠.
어떻게 보면 물리적인 상처보다도 정신적이 상처가 더 깊고 치유하기 어려운데,
그런 건 너무 방치하고 있는 것 같기도 해요.
하지만 요즘은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는 방법이 많이 나와
힘들때 위로를 받을 수 있을 것 같아요.
미술심리치료라던지 음악심리치료 등등...
그리고 책에서 말하는 영화로 심리치료하기
마음의 병이 깊어지면 물론 자신도 위험하지만 다른 주변의 사람들이 위험해질 수 있기 때문에 트라우마가 얼마나 심각한 병인지 인식하고 그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한다면 그 치료방법을 찾아야겠어요.
무엇보다 예방이 더 중요하겠지만 말이죠.
책에서는 24편의 영화가 나오는데 대부분이 잘 알려진 영화들이더군요.
물론 개인적으로 모르거나 보지 못한 영화도 있긴 하지만.
파트별로 나뉘어져서 트라우마란게 도대체 무엇인지, 어떻게 해서 트라우마가 생겨나는지,
어떤 증상들이 나타나는지, 마지막으로 치료하는 것까지...
아참, 대한민국을 트라우마 공화국이라고 하는데 내용이 공감이 가네요.
영화를 가지고 설명하기 때문에 이해하기가 너무 쉬운 것 같아요.
덕분에 좋은 영화도 빌려보고...
예전에 본 영화인데도 책의 내용을 생각하면서 보니깐 또 다른 느낌이 들더라구요.
주인공의 아픔을 같이 공감할 수 있고, 나중에 일종의 카타르시스 같은 것도 느껴지구요.
누구나 아마 하나 이상의 마음의 상처들이 있을 것 같은데
과거의 상처는 어쩔 수 없다고 해도 앞으로 펼쳐질 인생은 좀 더 나아질 것라는 긍정적인 생각으로 살면 좋겠어요.
초롤릿 상자처럼...
무엇을 집을지는 모르지만 지금까지 맛없는 초콜릿을 먹었다면
이제 상자엔 맛있는 초콜릿만 있을거라는 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