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지주 부역 경제에서 자본주의 경제
3-1. 농노 경제 및 자본주의 경제 체제 수용
3-1-1. 코로베 경제 제도의 특징
다음으로는 지주 경제 체제를 검토하고자, 농노제 시대의 경제 체제를 살펴보자. 경제 체제의 핵심은 주어진 농업 경제 단위로부터, 주어진 영지에 따른 전체 토지가 영주 토지, 농민 토지로 나뉘었다는 점이다. 농민 토지는 농민들에게 할당되어 분배됐다. 농민들은 목재, 가축 등과 같은 다른 생산 수단을 제공받아 자신들의 노동 도구를 경작해서 생계를 유지했다. 정치경제학적으로는 농민에게 노동 산물이란 필수적인 생산물이다. 농민에게는 생계 수단을 제공하고, 지주에게는 노동력을 필수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이다. 자본 가치에 따른 가변 부분을 대체하는 생산물은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필수적인 생산물이다. 농민들의 초과 노동도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지주들의 토지를 경작한다. 따라서 노동 생산물은 지주에게로 돌아갔다. 초과 노동에서 필요한 노동과 공간적으로는 분리됐으며, 지주를 위해서 농민들은 지주들의 토지를 경작하기도 했고, 자신들에게 해당하는 할당량을 받았다. 현물 임금은 지주에게 일손을 제공하는 수단으로부터 할당량으로 기능했다. 농민들은 자신들의 할당량을 자신들의 경작지로부터 경작한다는 건, 지주 경제의 조건이었고, 농민들에게는 생계 수단 제공이 아닌, 지주들에게 일손을 제공하기 위함이었다. 여기서 코르베 부역 제도 경제란 바로 이와 같은 경제 제도이다. 코로베 경제 제도에서는 자연 경제가 우세했으며, 봉건적인 영지에 따라 외부 접촉이 없는 자급자족인 '실체' 생활을 영위했다. 특히 농노제 후기에서 발전한 지주들의 곡물 판매 생산은 구체제 붕괴의 전조였다. 코르베 경제 제도는 직접적인 생산자들에게 생산 수단 전반에서 특히 토지를 할당해야만 했다. 지주는 토지에 묶였으며, 일손이 보장되지 않았다. 코르베 경제와 자본주의 경제에서는 초과 생산물을 획득할 수 있는 방법은 정반대였다. 코르베 경제에서는 생산자에게 토지를 제공하는 기반을 두지만, 자본주의 경제에서는 생산자가 토지를 박탈하는 기반을 둔다. 그러한 경제 체제 및 제도에서는 경제적 조건이 농민이 지주에게 개인적으로 의존하게 됐다. 지주는 농민 인신에 대한 직접적인 권력을 가지고 있지 않았더라면, 토지를 소유한다거나, 자신의 농장을 운영하는 사람들을 강제로 일하게 할 수 없었을 거다. 마르크스는 경제 체제를 말하면서, 경제적 압력 이외에도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를 노동 지대라고 불렀다. 그리고 마르크스는 노동 지대 범주가 할당된다고 지적했다. 강제적인 형태에 따른 정도로는 농민들이 농노 지위에서 사회적인 신분으로 부상하기까지 권리 부족에 이르며 매우 넓고, 많이 분포한다는 점이다. 코르베 경제와 자본주의 경제 조건과 결과로는 기술이 극도로 낮으며 정체된 상태이다. 농업은 빈곤에 짓눌렸고, 개인적인 의존과 무지로부터 타락한 소농의 수중에서만 머물렀다. A. 엥겔하르트는 「시골에서 온 편지」에서도 당시 경제 체제를 생생하게 묘사했다. 엥겔하르트는 봉건 경제가 명확하고, 규칙적이고, 완전했으며, 지주들로부터 농민들에게 토지를 분배하고, 많은 직업들을 배정한 체제였다고 지적했다. 헨리 조지는 토지 대량 수탈이 빈곤과 억압에 따른 보편적인 원리라는 견해에 대해 엥겔스는 반대했다. 엥겔스는『영국 노동 계급 상태, 1887』에서 '역사적으로 완전하게 옳지 않다. 중세 시대에는 사람들이 토지에서 수탈 당한 게 아니라, 토지를 차지했던 봉건적인 억압이 그 원인이었기 때문이다. 농민들은 자신들의 토지를 유지할 수 있었지만, 농노는 그 당시 영주 아래에서만, 토지에 붙어 살 수 있었으며, 노동과 생산을 영주에게 조공으로 받칠 의무가 있었다.'고 기록했다.
3-1-2. 코르베 경제 제도와 자본주의 경제 체제의 결합
코르베 경제 제도는 농노제 폐지 때문에 악화됐다. 제도에 따른 모든 주요한 기반, 자연 경제, 토지 소유지의 자급자족적인 성격, 많은 구성 요소 간 긴밀한 연계, 농민들에 대한 지주 권력은 약화됐다. 농민 농장은 지주 농장과도 분리됐다. 농민들은 자신들의 토지를 매입하여 완전한 소유자가 됐다. 지주는 자본주의 농업 체계를 채택했으며, 앞서 정반대로 기반을 가져갔다. 그러나 완전히 다른 체계 전환는 동시에 이뤄질 수는 없었다. 왜냐하면, 자본주의적인 생산에서 필요한 조건들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고용 노동층이 여기에 익숙해져야만 했기 때문이다. 농민 농기구는 지주 농기구로 대체됐다. 농업은 영주 사업이 아닌 다른 상업 및 산업 기업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직됐다. 따라서 모든 조건들도 점진적으로 형성됐으며, 개혁 직후로는 일부 지주들이 해외로부터 기계와 노동자들까지 수입하려는 시도는 실패했다. 자본주의적인 경영 방식 전환을 할 수 없었던 또 다른 이유로는, 구 코르베 경제 체계가 약화되긴 했었지만, 완전하게 파괴되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농민 농장에서는 지주 농장과 완전하게 분리되지는 않았으며, 지주는 농민 할당지로부터 매우 필수적인 부분인 분할 토지, 숲, 초원, 수경 시설, 목초지 등을 소유했다. 농민들은 토지 또는 지상권 없이는 자립적인 농업을 영위할 수가 없었고, 지주는 노동이자 봉사로부터 낡은 경제 체제를 지속해야만 했다. 지주는 경제적인 압력 이외에도, 강제력에 따른 압력 혹은 외압을 행사할 수 있었으며, 심지어 농민들에게 일시적인 구속 상태와 집단적인 책임, 신체적인 처벌, 공공 사업에 대한 강제 노역 등으로 남도록 했다. 자본주의 경제와 코르베 경제가 한꺼번에 출현할 수는 없었고, 한 번에 사라질 수는 없었다. 따라서 유일한 경제 제도는 코르베 제도와 자본주의 체제를 결합한 과도기적인 체제였다. 실제로는 지주들이 실시한 개혁 뒤로는 농업 체계에서도 같은 특징을 지녔다. 과도기적인 시대에서는 비교적 무궁무진하고, 많은 형태를 보이던 현대 지주 농업으로부터 경제적인 조직들도 많았으며, 노동 용역 체계와 결합되어 자본주의 체제를 갖추게 됐다. 노동 용역 체계에서는 지주들의 토지가 이웃 농민들의 도구로부터 경작됐으며, 지불 형태는 체계의 본질을 쉽게 변경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진다. 임금 고용과 같이 화폐로 지불하든, 반모작과 같이 생산물로 지불하든, 노동 용역으로부터 노동력으로 지불하든, 모든 방식이 코르베 경제의 잔재로 남았으며, 노동 용역 체계에서 전적으로 적용됐다. 코르베 경제 조건에서는 노동 용역 체계 가운데 노동이 현물로 지불되는 대신에 돈으로 지불되는 고용 노동 방식을 볼 수 있었고, 유일한 예외로부터 사라졌다. 자본주의 농업 체제에서는 토지를 경작하는 노동자들인, 연간직, 계절직, 일용직 등의 고용으로도 나타났다. 자본주의 농업 체제에서는 실제로 그 수가 매우 많았고, 복잡하게 뒤얽혀있었다. 많은 지주 영지에서는 두 제도가 결합됐고, 서로 다른 농업 운영에도 적용됐다. 상이하고, 반대되는 경제 체도의 결합들은 실제로 매우 심오하거나, 복잡한 갈등과 모순을 초래했으며, 이러한 경제적 압력으로 인해 많은 농부들이 파산하는 등, 여러 결과를 자연스럽게 초래했다. 이것이 모든 과도기에 일어난 특징적인 현상이었다. 두 체제 및 제도로부터 상대적인 발생률을 제기하자면, 과도기적인 문제에 대한 정확한 통계가 없었고, 수집할 수도 없었다. 과도기에는 모든 재산 뿐만이 아니라, 모든 재산으로부터 수행되는 모든 경제적인 활동을 등록해야만 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개별 지역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부터 대략적인 통계만을 사용할 수 있을 뿐이었고, 우세한 특정 체계에 대해서도 해당 통계는 농업부, 고용 노동부 등에서 간행된 간행물들로부터, 국내 전체에 대한 요약본일 뿐이었다. 통계를 기반으로 안네스키(Annensky)는 체계에서 일어나는 발생률을 표로 구성했었다. 해당 통계를 도표로 요약했으며,「러시아 제국 통계, 1883-1887, 5년 간 유럽 러시아에서 평균 수확량, 1888」에서는 1883-1887년 개인 소유지 토지에 따른 경제 면적에 대한 수치를 추가했다.
3-2. 노동 용역 제도
3-2-1. 노동 용역 제도에 대한 설명
농민들은 임금을 받고, 자신들의 도구로부터 지주들의 밭을 경작했으며, '일자리 고용', 데시아틴 고용', '주기적인 경작' 등으로 불려갔다. 농민들은 곡물이나, 돈을 빌려서 전체 대출금이나, 이자를 갚았다. 이는 노동 용역 제도에서 고유한 특징이다. 노동 용역 제도에서는 노동 고용으로부터 속박되거나, 고리대금업적인 성격도 있었으며, 가축지 불법 침입 때문에 법적인 벌금을 갚고자 노역하기도 했다. 엥겔하르트에 따르면, 지주들로부터 다른 일자리를 잃지 않기 위한 조치로는 단순히 '존경심' 때문에 무상으로 일해서 술 한 잔으로 벌어먹거나, 토지를 대가로는 반경작, 임대 토지, 사용 토지 등 직접적인 노동 형태가 퍼졌다. 임대 토지 지불도 매우 많은 형태를 띠거나 결합했으며, 임대료와 현물 임대료, 노동 용역도 엄연히 존재했다. 카리셰프는「임대」에서 데시아틴에 경작하는 1.5데시아틴 + 계란 10개 + 닭 1마리 + 여성 노동 1일, 봄 작물 토지 43데시아틴에 대해 데시아틴 당 12루블, 겨울 작물 토지 51데시아틴으로 계산했으며, 이는 데시아틴 당 16루블로, 현금 + 귀리 7단, 메밀 20단, 호밀 20단 타작 + 임대 토지 최소 5데시아틴에 대한 거금, 자체적인 가축 분뇨를 데시아틴 당 300수레 짐의 비율로 지급했다. 농민들의 분뇨조차, 사유지 소유주 농장에서는 구성 요소로 전환된다. 노동 용역이 폭 넓고, 많은 지역으로는 오트라보키(Otrabotki), 오부치(Otbuchi), 오부키(Otbutki), 바리키나(Barshchina), 바사링카(Basarinka), 포소브카(Posobka), 판시키나(Panshchina), 포슈포크(Postupok), 비옌카(Viyemka) 등이 있었다. 농민들은 소유주들이 명령하는 모든 노역들을 수행하거나, 주인의 말에 복종했다. 노동 용역은 농촌 생활에 필요한 모든 직업 순환을 포괄했다. 노동 용역에서 이뤄지는 모든 작업들은 밭 경작, 곡물 및 건초 수확과 관련된 장작을 비축하고, 짐을 싣거나, 지붕과 굴뚝을 수리하거나, 가금류와 계란을 배달하는 일 등이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시 지역, 그도프 지역 조사원은 노동 용역이 개혁 이전에 부역의 성격을 지닌다고 지적했다. 이와 같은 토지에 대한 노동 용역은 부역과 현물 임대료 지불로 이뤄졌다. 따라서 앞서 코르베 경제와 자본주의적인 관계에 잔재로부터 임대료로 볼 수 있었다. 농업 노동자들에게는 토지를 할당하여, 영지에 제공하는 자본주의 체제로 전환된다. 젬스트보 통계에서도 확인했지만, 사유지 소유주들의 영지에서는 자체적으로 농업이 발전함에 따라 소유주는 필요한 시기에 노동자를 공급하기로 보장했다. 따라서 많은 곳에서는 농민들에게 노동 용역을 기반으로 토지를 분배한다거나, 노동 용역과 더불어 작물 일부를 분배하는 경향들이 생겨났다. 당시에는 농업 체계도 널리 퍼졌다. 임대인들은 자신들의 농사를 자주 할수록, 임대할 수 있는 토지 양이 적다거나, 토지 수요가 클수록 토지 임대는 더욱 널리 발전했다. 임금 노동과 같은 특수한 임대가 생겨나기도 했고, 토지 소유자는 자신들의 농장을 포기하지 않았으며, 사유지 소유자의 경작 발전으로부터 소유 면적에 따른 확장 및 농민 농장 통합이 아니라, 농민들을 농업 노동자로 전환하고자 했다. 그러나 농민 농장은 토지 임대로부터 모순적이었다. 왜냐하면, 어떤 사람들에게는 농장 수익의 확대였고, 다른 사람들에게는 절박한 필요에 따른 거래였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지주 농장에서 토지 임대도 모순적이었다. 지대를 지불하고자 다른 사람들에게도 농장을 양도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런 방법은 자신들의 농장을 운영하는 방법이기도 했으며, 자신들의 영지로부터 인력을 제공하는 방법이었다. 노동 용역에서 노동 지불로 넘어가서, 많은 출처의 통계들은 노동 용역과 담보를 기반으로, 고용 노동에 대한 지불이 늘 자본주의에서 자유 고용보다도 낮다는 점이다. 현물 지대에 따른 노동 용역과 반작에 기초한 단순 노동 용역, 담보 임대료는 일반적으로는 어디에서나 금전적인 지대보다도 더 값비싸거나, 훨씬 더 비싸며, 특히 트베르 시, 르제프 지역에서 두 배나 더 비쌌다. 매우 가난한 농민 집단에서는 현물 지대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했다. 토지를 절박한 필요에 따라서도 임대했으며, 주로 농업 임금 노동자로 전환하는 데 맞설 수 없는 농민들로부터 임대됐다. 부농들은 돈을 위해 토지를 임대하고자 모든 일을 다했다. 소작인들은 돈으로 임대료를 지불할 수 있는 모든 기회를 이용해서라도, 타인들의 토지 사용 비용을 줄이고자 했다. 왜냐하면, 토지 임대 비용을 줄일 뿐만 아니라, 담보 임대료를 피하기 위함이었다. 특히 로스토보 돈 지방 군에서는 농민들의 수확물 몫은 감소했음에도 임대료가 상승하면서, 돈 지역 임대료는 다른 지역인 스코프시나 지역으로 대체된 일도 있었다. 따라서 농민들을 완전하게 파멸시키거나, 농장 노동자로 전락시키는 현물 임대료로 분명하게 설명된다.
노동 용역에서는 자유 고용에 있어 자본주의적인 노동 가격이 훨씬 더 크다. 농무부,「고용 노동」간행물에 따르면, 겨울에 부유한 농민이 자신의 농기구로 1데시아틴의 토지를 완전하게 곡물을 경작하는 데는 평균 임금이 6루블로 계산된다. 가축 노동을 제외한 고용 노동을 기준인 1883-1891년, 8년 간 중부 흑토 지역 통계와도 동일한 양으로, 노동자의 노동에 따른 노동 비용을 계산했을 때, 6루블 19코펙이 나왔다. 적어도 가축 노동에 대한 임금이 4루블 50쿠펙보다 낮을 수는 없지만, 농무부 편찬자는 이를 정당하다고만 간주했다. 그러나 러시아뿐만이 아니라, 다른 국가들에서도 자본주의적인 고용 아래에서 노동에 따른 지불은 이전 자본주의적인 관계로 비교해볼 때, 모든 형태의 예속이라는 성격이 더 컸다는 점과 농업만이 아니라 산업 사회도 확립되어 갔다. 고리대금업과 결합된 채권 임대 부분에서도, 노동 용역에서 노동으로 지불된 가격이 자본주의적인 임대로부터 지불된 가격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노동 용역은 현물 임금에서도 할당은 중요하기도 했고, 할당을 제공 받아야만 했기 때문에 지역 농민만이 수행했지만, 임금은 엄청나게 하락했다. 여기서 할당이란, 지주들에게 저렴한 노동력을 공급하는 보장 수단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자유 노동, 절반인 자유 노동에 따른 차이가 단순히 임금 차이만으로는 완전하게 사라지지 않았다. 임금 노동에 따른 형태는 고용되는 사람들이, 고용하는 사람들에게 늘 개인적으로 의존하는 상태가 생겨났으며, 경제적인 압력 이외에도 다른 압력들이 존재해서 더욱 많거나, 적게 임금 노동이 유지되는 일도 매우 잦았다. 엥겔하르트는 빌려준 돈을 노동 용역으로 상환하기가, 부채를 크게 안정시킨다고 언급했다. 농민들로부터 압류 명령에 따라 지불을 받아낸다는 건 어려운 일이지만, 당국에서는 자신들의 곡식이 수확되지 않더라도, 농민이 맡은 일을 수행하도록 강요했다. 오직 오랜 세월, 영주를 위한 농노 노동과 노예 생활만이 농부가 자신들의 곡식을 무관심하게 그냥 비에 젖도록 두거나, 다른 사람들이 곡식단을 수레에 실어가도록 방치했다. 인구를 어떤 형태로든 거주지, 공동체로 묶어내거나, 어느 정도 시민권이 부족하지 않고서는 노동 용역 제도를 시행할 수 없었다. 따라서 노동 용역 제도로부터 노동 생산력은 낮아질 수밖에 없었다. 노동 용역에 기반한 농업 방법은 매우 고정 관념적인 방법이었다. 속박된 농민 노동은 질적으로는 농노 노동과 비슷했다. 지주 농업 체제의 경제 조직 면에서, 노동 용역과 자본주의 체제의 결합은 대규모 기계 산업이 발전하기 이전에 섬유 산업 체제와 매우 비슷했다. 상인들은 자신들의 도구와 임금 노동자를 사용해서 작업 일부를 수행했으며, 상인을 위해 노동하는 농민은 수공업자의 도구와 재료를 사용해서 작업했다. 임금 노동자는 고용주 도구를 사용해서 타인의 토지에서 노동하는 농민과 더불어 일부 작업을 수행하면서 작업했다. 산업 자본과 결합된 상인 자본은 엄연하게 존재했으며, 수공업자는 자본에 짓눌렸고, 하청업체와 노예 운영, 화물차 체계 등으로부터 부담을 졌다. 산업 자본과 결합된 상인, 고리대금업 자본은 온갖 형태로 임금 인하, 생산자들의 개인적인 종속 강화를 동반했다. 더군다나 과도기적인 체제는 원시적인 수작업 기술에 기반을 뒀고, 수 세기 동안 지속된 대규모 기계 산업을 30년 만에 파괴했다. 노동 용역은 루스 부상 뒤로 이어져서, 지주들은 루스카야 프라우다 시대부터 꾸준하게 농민들을 속박해갔다. 실생활 기술을 영속화시켰으며, 개혁 뒤에 이르러서야 자본주의로부터 빠르게 자리를 내주게 됐다. 낡은 체제는 결과적으로는 모든 사회적 관계와 생산 형태에서도 정체가 일어났으며, 아시아적인 생활 방식에서도 지배를 뜻했다. 그리고 모두 새로운 자본주의적인 경제 형태에 따른 내재된 모든 모순과 함께 발전해갔다.
3-2-2. 노동 용역 제도 쇠퇴
상품 경제 발전은 노동 용역 체계와 상충되며, 노동 용역 체계는 자연 경제, 불변 기술, 지주와 농민 사이에서 불가분한 관계에서 기반한다. 따라서 상품 경제와 상업 농업 발전은 노동 용역 체계를 완전한 형태로 설명할 수는 없으며, 노동 용역 체계를 훼손시킨다. 노동 용역은 지주 농업에서도 행해지며, 가축과 농기구를 소유한 소작농만이 수행하는 쟁기질 등에 따른 '순환 경작'(사이클 데시아틴)이 있고, 농기구가 없는 농촌 무산층만이 수행하는 수확, 풀 베기, 탈곡 등과 같은 노동 용역이 있다. 소작농과 지주 농업 모두, 두 유형의 노동 용역은 서로 상반되며, 농촌 무산층들이 수행하는 노동 용역은 자본주의의 직접적인 이행을 구성하며, 눈에 띄지도 않게 자본주의와 '융합'하고자 한다. 노동 용역은 이러한 여러 이행 과정을 지칭하고, 심지어 구분마저 없다. 그러나 자본주의가 노동 용역을 없애는 동안에도, 중요한 점은, 소작농 노동 용역에서 농촌 무산층 노동 용역으로 옮겨간다는 점이다.「모스크바 시 지역 통계 수익」자료에 따르면 대부분 영지는 밭과 작물 경작, 수확이 좌우되고, 같은 작업들은 주로 정규직 노동자가 담당하지만, 특히 수확과도 같이 신속하거나, 속도가 붙어야만 하는 작업은 이웃 농민들이 돈을 빌리거나, 목초지와 다른 토지를 사용한 대가로 맡겨진다. 그러한 농장에서는 대부분의 일손들이 노동 용역으로 고용되지만, 자본주의 체제가 더 우세하기 때문에 독일에서도 이웃 농민들은 계약직, 일용직 노동자와 비슷한 농촌 노동자로 전락한다. 이 사람들은 토지을 소유하면서도, 일 년 중에 특정 기간 동안만 고용된다. 특히 1890년대에는 흉작이 일어났고, 농민들이 소유한 가축 수가 크게 감소했으며, 가축 없는 가구 수가 증가했다. 따라서 이 일은 자본주의 체제로부터 노동 용역을 제거하고, 가속화하는 데도 큰 영향을 미쳤다. 노동 용역 체계의 쇠퇴에서 매우 중요한 원인으로는 농민층 분화를 꼽을 수 있다. 소작농 노동 용역에서 농민층과 중산층 간 관련은 앞서 명확하고, 선험적이었기 때문에 젬스트보 통계로도 충분히 입증할 수 있다. 보로네시 주 자돈스크 지역의 자료 요약본에서는 많은 농민층의 일용직 농장 수에 대한 결과를 백분율로 나타냈다. 두 극단 집단에서 일자리 참가가 덜 '일반적'이었고, 일자리 가구 가운데 큰 비중은 중농이었다. 젬스트보 통계 초록에서도 '일자리'는 '고용'이라는 범주에도 포함됐기 때문에, 전형적인 중농들의 고용이라는 점이다. 최하위 및 상위 농민 집단에서도, 고용이 전형적이었다. 검토된 고용 유형으로는 자본주의 발전으로부터 비롯한 상업 및 산업 시설과 노동력 판매를 나타냈지만, 여기서 고용 유형이란, 반대로 후진적인 자본주의와 노동 용역의 우세를 나타냈다. 직업에서 일자리 합계가 소작농의 노동 용역으로부터 할당된다고 가정하는 경우, 자연 경제와 중농 쇠퇴가 심화할수록, 자본주의는 노동 용역을 더욱 강력하게 근절시킨다. 부농들은 당연하게도 노동 용역 제도에 기반을 마련한다. 농민이 최저 임금으로부터 자신들의 농장을 파멸하는 일자리를 떠맡는 이유는, 절박한 궁핍에 있기 때문이다. 농촌 무산층도 역시나 노동 용역 체계와 적합하지 않았다. 다른 이유로는 자신들의 농장이 아예 없거나, 비참한 토지만을 소유했기 때문에 농촌 무산층은 중농만큼 농장에 얽매이지 않았고, 따라서 다른 곳으로, 보다 '자유로운' 조건 아래에서 더 높은 임금과 아무런 예속이나 구속 없이도, 쉽게 고용됐다. 따라서 농민들은 '외부 고용'을 위해 도시로부터 떠나기에는 전반적으로 불만을 품거나, 애착이 없다고 불평하고 만다. 자본주의적인 임금 노동의 발전은 노동 용역 체계가 그 뿌리를 약화시켰다. 농민 분리와 자본주의로부터 노동 용역 폐지 사이에서 불가분한 관계는 이론적으로도 매우 명백하며, 지주 영지로부터 많은 농업 방식을 관찰한, 농업 저술가들로부터 오랫동안 지속됐다. 특히 1857-1882년 사이에서, 스테부트 교수는 러시아 농업에 대해 지적하면서, 지역 사회에서 농민 농업은 농부 산업가가 농장 노동자와 차별화된다고 말하기도 했다.
대규모 경작자가 되려는 농부 산업가는 농장 노동자를 고용하면서, 농작물 면적을 다소 늘리며, 자신들은 정작 일하지도 않으면서, 필요한 목초지를 늘리려고만 했다. 반면에 농장 노동자는 가축이 부족해서, 토지를 취할 수조차 없었다. 따라서 임금 노동에 기반한 농업 전환이라는 신속한 전환이 필요해진다. 여전히 데시아틴에 따른 일자리를 취하는 농민들은 허약한 가축 상태와 맡은 일들도 많았기 때문에 더욱 신속한 품질과 완료 요구로 인해, 모두 나쁜 작업 결과만 벌어지고 말았다. 젬스트보 통계 자료에서도 언급됐지만, 따라서 농민 몰락은 자본주의로부터 노동 용역 폐지로 이어진다. 오렐 구베르니아 시에서는 곡물 가격 하락으로 인해 많은 소작농들이 파산했고, 토지 소유주들은 자본주의적인 방식으로 계속해서 경작지를 늘렸다. 지주가 경작하는 면적이 확대되면서, 농장 노동자들은 어디서나 정규직 노동자로만 일자리를 대체했으며, 농민들의 농기구 사용을 폐지하는 경향들도 생겨났다. 최신 농기구를 도입해서 토양 경작을 개선하고, 농업 체계를 바꾼다거나, 풀 작물을 도입하거나, 가축 농업을 확장하거나, 이를 개선해서 수익을 만들려는 경향들도 생겨났다. P. 스트루베의 비판적 논평을 담은「오렐 시 농업 조사」에 따르면 1890년, 폴타바 시 지역에서는 곡물 가격이 낮았고, 시 지역 전역에서는 농민 토지 임대가 감소했다. 많은 곳에서 곡물 가격이 크게 떨어졌음에도, 정규직 노동력을 고용한 지주는 경작하는 면적이 증가했다. 탐보프 시 지역에서는 가축 일에 대한 가격도 상당히 상승했다.「노보예 슬라보, 1895」잡지에 따르면, 1892-1894년, 3년 동안 이 가격은 1889-1891년, 3년보다도 25-30% 더 높았다. 가축 노동 비용이 상승한다는 건, 농가에서 가축 수가 감소하는 데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이며, 자본주의 체제로부터 노동 용역의 축출을 수반한다. 자본주의로부터 노동 용역이 소멸됨을 증명하려고, 개별적인 참고 자료를 사용하기 위한 의도는 아니었고, 더군다나 온전한 통계 자료마저 없었다. 농민 분화와 자본주의로부터 노동 용역 소멸 사이에서도 상당히 관련 있음을 보여주고자 참고 자료를 사용했다. 소멸이 진행됨을 반박 없이 증명하는 '일반적'이고 '대규모적'인 통계는 농업에서의 기계 사용과 자유롭게 고용된 노동력의 사용과도 관련됐다. 통계로 넘어가기 전에, 사유지 소유주로부터 현대 농업에 대한 인민주의 경제학자들의 견해를 살펴보자. 1893-1894년, 48개 시 지역에서 실시한 가축 수에 따른 인구 조사에서는 모든 가축 소유주가 소유한 가축 수의 9.6%로 감소했으며, 말 소유자는 28,321명 감소했다. 탐보프, 보로네시, 쿠르스크, 랴잔, 오렐, 툴라, 니즈니노브고로드 지역에서는 1888-1893년 사이에만 가축 수 가 21.2% 감소했다. 흑토 지대로는 다른 7개 시 지역에서, 1891년-1893년 사이에만 17% 감소했다. 1888-1891년 유럽 러시아 38개 시 지역에서는 7,922가구가 있었고, 5,736,436가구가 말을 소유했다. 1893-1894년에는 시 지역에서는 8,288,987가구가 있었으며, 5,647,233가구를 소유했다. 따라서 전체 말을 소유한 가구 수로는 89,000가구 감소했지만, 말이 없는 가구 수로는 456,000가구 증가했다.「러시아 제국 통계, 상트페테르부르크, 1896」에 따르면 말이 없는 가구 비율은 27.6%에서 31.9%로 증가했다. 유럽 러시아 48개 시 지역에서는 말이 없는 가구 수로는 1888-1891년, 280만 가구에서 1896-1900년, 320만 가구로 증가했다. 27.3%에서 29.2%로 증가했다. 남부 4개 지역 베사라비아, 예카테리노슬라프, 타우리다, 헤르손 지역에서 말 없는 가구 수로는 1896년, 305,800건에서 1904년, 341,600건으로 34.7%에서 36.4%로 증가했다.
3-2-3. 인민주의자들의 태도
노동 용역 체계는 코르베 경제 잔재이지만, 인민주의자들은 좀처럼 인정하지 않는 모양새다. 인민주의자인, V.V. 보론초프도 노동 용역 체계가 일반적인 형태는 아니더라도 일부만 인정해버렸다. 사유지 농업 체계는 노동 용역 체계와 자본주의 체제의 결합이었다. 그러나 인민주의자들은 노동 용역 제도가 발전할수록, 자본주의 제도는 약해지고,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라는 점을 인정하지 않았다. 러시아 개혁 이후로, 각 체계로부터 노동 생산력, 노동력 지불 등 경제 분석에 따른 기본적인 특징과 관계를 피했다. 실질적인 변화로부터 자본주의에서 생겨나는 노동 용역 제거는 불가피하다는 질문을 제기할 수도 있다. 오히려 인민주의자들은 노동 용역 체계를 이상화했고, 지주 경제의 발전에 따른 이상화는 인민주의자들의 견해일 뿐이었다. 인민주의자들은 코르베 경제 제도와 노동 용역 체계 아래에서 농민들에게 토지를 할당하는 과정에서, 생산자와 생산 수단 간 원리를 간파했지만, 토지 할당제는 곧 지주들에게 노동력 공급을 보장하는 수단으로 작용하기에만 이르렀다. 마르크스는 이전에 자본주의적인 농업 체계를 설명하면서, 러시아에서도 일어나는 모든 형태의 경제 관계를 분석했으며, 소규모 생산, 노동 지대, 현물 지대, 화폐 지대 모두 농민과 토지 간 관계라는 점을 강조했다. 하지만 인민주의자들은 종속 농민에게 토지 할당은 생산자와 생산 수단 간 '영원한 연계'라는 원칙으로 격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관념적으로만 상기했다. 생산자와 생산 수단 간 중세적인 착취의 원천이자 기술적인 조건과 사회적인 침체 기반 아래에서도, 필연적으로 경제적인 압력 외에, 과연 더욱 자신의 무게를 짓눌렀어야만 했나. 특히 오를로프, 카블루코프는 「모스크바 젬스트보」에서 포돌스크 지역에 있는 코스틴스카야 부인의 농장을 사례로 들었다. 그들은 노동 용역 체계와 노예 제도에 대한 비슷한 이상화를 보여줬다. 카블루코프는 농장에서 지주와 농민 간 적대 관계를 배제했고, 농민, 농업, 사농, 모두를 번영시키만 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만 가정했다. 노동 용역 체계와 노예 제도 아래에 노동 번영이 있었기 때문이다. 정작 당시 농민에게는 목초지와 가축 방목장이 없었음에도 말이다. 인민주의자들은 농민들을 '건전한' 농민들로 간주했다. 토지를 임대하고, 여주인에게도 일당을 지불해서, 그녀의 영지에서는 철저한 시간을 엄수하거나, 신속하게 임무를 수행해야만 했다. 바로 코르베 제도 아래에서 실시된 직접적인 생존을 위한 경제 제도를 이상화한 대가이자 곧 한계였다. 인민주의자들의 추론에서 농민 토지 할당은 코르베 경제 또는 노동 용역 경제 조건 가운데 하나였고, 독립적인 경작자일수록, 노동 지대, 현물 지대, 화폐 지대를 지불해야만 했다. 이로부터 생산자와 생산 수단 개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현재에 자본주의와 이전에 자본주의적인 착취 형태 간 실제 관계는 조금도 변하지 않았다. 카블루코프는 노동 용역을 이상화했고, 모스크바 시 지역에서 자본주의적인 농장을 왜곡해서 묘사했기 때문에 국내 농업에서는 자본주의적인 발전에 따른 본질을 증명한다. 모스크바 시 지역에서는 고용된 노동력을 고용하는 오래된 농장 유형 외에도, 모든 기존의 전통과 결별한 농장은 소득원이 될 수 있는 모든 산업을 단순한 사물로만 대했다. 농업은 한정된 직업이기도 하며, 특수한 지식과 생산 조직에 따른 계산 기준들은 다른 모든 생산 형태와도 동일하다.
카블루코프는 1870년대, 새로운 농장 농업이 자본주의적인 발전에 따른 본질을 증명한다는 점을 간과했다. 그동안 농업을 단지 영주의 취미로만 다뤘지만, 자본주의로부터 산업으로 전환시키게 됐다. 자본주의적인 산업은 단순한 사물, 단절된 전통, 전문 지식만을 갖추도록 강요했다. 자본주의가 들어서기 이전에는 불필요했고, 이를 할 수조차 없었다. 많은 영지, 마을 공동체, 소작농 가축 농장은 자급자족 경제였고, 다른 농장에 의존하지도 않았으며, 어떠한 권력도 이런 오랜 침체기에서 함부로 끌어낼 수 없었기 때문이다. 자본주의는 시장이라는 매개체로부터 개별 생산자의 생산량에 대한 사회적인 회계를 생산했고, 사회적인 발전을 요구한 힘을 가졌다. 모든 유럽 국가에서도 농업은 자본주의로부터 점진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토대를 마련했다. 그러나 카블루코프는 노동력이 자연 경제에서 작용하는 필수 요소로, 지주 재산 조직의 성과라고만 말했다. 그는 농노제 시절, 재산 수익 기초로부터 노동 산물이 아닌, 노동력 획득을 적용해서 직접적인 목적에서도 더욱 가치 있는 노동 생산물 생산 결과를 누리는 노력이 아니라, 노동자가 생산물 몫을 줄이려는 노력에서, 주인들의 노동 비용을 ‘0’에 가깝게 수렴하도록 줄이려는 요구나 독립적인 소득원을 따로 간주하지도 않았다. 그리고 벌채된 토지 사용 대가로부터 노동에 기반한 농업이 언급됐다. 농장 수익을 내고자 한다면, 소유주는 지식이나 특별한 자질도 필요 없었다. 다만 노동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모든 게, 소유주에게 명확한 소득으로 나타나거나, 순환 자본을 거의 지출하지 않고도 얻는 소득일 뿐이었다. 따라서 농업은 잘 운영될 수 없었다. 물론 모든 목초지와 기타 토지 임대를 농업이라 부를 수조차 없었다. 여기에는 어떠한 경제적인 조직도 없다. 노동 봉사를 대가로 벌목지를 임대하면서, 농업 경제에서 토양으로부터 소득을 추출하는 방법은 물질적인 힘보다는, 노동자에게 영향력을 형성하는 데 있었다. 그러나 잘못된 논리였다. 카블루코프는 생산과 사회적인 생산 체계를 혼동했다. 모든 사회적인 체계에서 생산은 물질적인 힘에 대한 영향력 행사에 다름 아니다. 모든 사회적인 체계에서는 초과 생산물만이 토지 소유자의 소득 원리가 된다. 따라서 노동 용역 체계는 자본주의 제도와 동일하다. 단지 노동 용역은 필연적으로 매우 낮은 노동 생산력을 전제한다. 노동 용역 체계는 초과 생산물을 증가시키지만, 소득을 증가시킬 수는 없다. 오직 '용역'으로 활용할 때만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로 자본주의적인 경제에서는 고정된 용역이 무시된다. 토지에 묶이지 않은 무산 계급들은 노예의 대상으로는 쓸모조차 없기 때문이다. 소득 증대가 노동 생산력을 높일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었고, 치열한 경쟁 속에서도 필수적이었다. 카블루코프는 노동 용역을 이상화했고, 자본주의적인 농장은 국내 자본주의 농업을 합리화하거나, 노예 제도 폐지를 필연적으로 요구하는, 사회적인 조건을 조성했지만, 노동 용역은 농업 합리화를 배제시키고, 기술적인 정체와 생산자의 노예 상태를 촉진시키면서 더욱 영속화했다. 인민주의자들은 관례적이고, 경솔하게 농업에서는 자본주의가 취약하다고 환호해댔다. 그러나 자본주의가 취약하다면, 이전에 자본주의적인 착취 형태로부터 더욱 강력해질 뿐이며, 생산자에게는 더욱 심각하게 큰 부담을 준다.
3-2-4. 엥겔하르트 농장
엥겔하르트도 인민주의적인 시각에서 농장을 분석했다. 엥겔하르트 농장에서는 전통적인 노동 용역과 예속에 기반을 뒀고, 적절한 농업을 할 수 없도록 만들었다. 노동 용역은 가축 사육에서 열악한 조건, 토지 경작 불량, 쓸모조차 없어진 밭 경작 체계를 단조롭게 만드는 원인이었다. 예전의 방식으로는 더 이상 농사를 지을 수는 없었고, 대평원 지역에서 벌어진 곡물 경쟁은 가격을 더욱 떨어뜨렸으며, 수익성이 없는 농업을 만들었다. 따라서 자본주의는 노동 용역 체계와 더불어 처음부터 농장에서 특수한 역할을 담당했다. 임금 노동자 숫자는 매우 적었고, 소몰이꾼과 같은 예전의 방식으로 운영됐다. 엥겔하르트는 할당지를 소유한 농민들 가운데 농장 노동자의 임금이 매우 낮았다고 지적했다. 가축 사육이 어려워져서 임금을 더 많이 줄 수 없었기 때문이다. 노동 생산력도 낮아졌기 때문에 임금을 인상할 수조차 없었다. 엥겔하르트 농장은 친숙한 모든 국내 농장에서도 노동 용역, 노예, 최저 수준의 노동 생산력과 매우 낮은 노동 임금으로 이뤄진 농사였을 뿐이었다. 엥겔하르트는 대규모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상업 및 산업 작물이던 아마를 파종했으며, 아마 재배로부터 상업적이고, 자본주의 성격은 강해졌다. 노동력을 확보하고자, 상업적인 경작에서도 노동 용역이라는 오래된 체계를 도입했지만, 성과는 없었다. 데시아틴 단위로는 이미 농민들의 힘을 넘어섰고, 농민들은 집단 노동, 구속된 노동 조건들 속에서도 온 힘을 다했다. 따라서 이 체계는 반드시 바뀌어야만 했다. 엥겔하르트는 말, 마구, 수레, 쟁기, 써레 등과 같은 농기구를 구입했으며, 정규직 노동자들을 고용해서 농장을 운영했다. 특정 직업에서도 일용직 노동자들을 고용해서 아마를 생산했다. 새로운 농업 체계와 상업적인 경작 체계의 전환으로부터 노동 용역에서도 자본주의를 도입해서 대체했다. 노동 생산력을 높이고자 자본주의적인 생산에 따른 성과급 제도에도 의존했다. 여성들도 더미(푸드) 단위로 노동했다. 엥겔하르트는 제도 정착이 성공적이었다고 말했다. 경작비는 1일 당 25루블-35루블, 이윤 또한 10-20루블로 증가했다. 여성들에게 있어 노동 생산력은 노예 노동으로부터 고용 노동으로 전환됐으며, 하룻 밤 사이 반 푸드에서 한 푸드로 늘어났고, 여성들의 수입도 하루 30-50코펙으로 증가했다. 지역 직물 상인들은 엥겔하르트를 극찬했다. 아마 장사가 시장에서도 큰 활력을 불어넣었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상업용 작물 재배에서 적용된 고용 노동은 다른 농업 활동으로 확대했다. 자본으로부터 농업 용역 체계를 대체한 첫 작업으로는 탈곡이 이뤄졌다. 사유지 소유자는 운영하는 모든 농장에서 대부분 자본주의적인 방식으로 수행됐다.
엥겔하르트는 토지 일부를 농민들에게 임대해서 순환해서 경작하도록 했다. 그렇지 않으면 호밀 수확에 따른 어려움이 뒷따랐다. 노동 용역은 농부에게 매우 바쁜 시기에도 일용직 노동자를 공급하고, 자본주의로 직접적인 전환 역할을 했다. 초창기 순환 경작은 탈곡도 포함됐지만, 작업 질은 낮아서 농부는 고용 노동에 주로 의존했다. 탈곡 없이 순환 경작을 위해 토지를 임대했다. 탈곡은 부분적으로는 농장 노동자로, 계약직 임금 노동자 집단으로부터 시간 당 임금으로 이뤄졌다. 자본주의 체제에서는 노동 용역을 대체한 결과도 나타났다. 노동 생산력 증가, 수확량 증가, 탈곡 시간 단축, 노동자 소득 증가, 농부 이윤 증가로부터 자본주의 체제에서는 경작 작업을 수용했다. 낡은 나무 쟁기 대신에 철제 쟁기를 도입했고, 노동에 있어 속박된 농민으로부터 농장 노동자에게도 넘어갔다. 엥겔하르트는 혁신의 성공으로, 노동자들의 근면을 전했고, 대체로 노동자는 게으르고, 부정직하다고 관습적으로 비난받았고, 농노라는 낙인, 영주를 위한 노예 노동에서도 기인했다. 농업 조직은 농부에게 요구하는 게 더 많았다. 진취적인 사람들에 대한 지식과 이들을 다루는 능력, 작업 범위에 대한 지식, 농업적인 기술 및 상업적인 지식, 봉건적이고, 노예적인 농촌에 대해 게으른 '오블로모프'마저 도저히 가질 수 없었던 자질이었다. 농업 기술 변화도 불가분한 관계였고, 필연적으로 경제적인 변혁으로 이어졌다. 아마와 토끼풀 재배도 수 많은 변화로부터,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됐다. 도구에 있어서는 쟁기 도구, 나무 쟁기에서 철제 쟁기로, 나무 써레는 철제 써레로 대체했다. 그리고 가축 노동자 고용과 관련된 다른 농업 제도 등을 더욱 요구했다. 자본주이의로부터 농업 기술 발전은 노동 용역 체계의 소멸과 불가분하다. 점진적인 소멸이며, 러시아 농업 제도로는 노동 용역과 자본주의를 결합했지만, 점차적으로 자본주의로 옮겨갔다. 엥겔하르트는 농업 체계를 완전하게 바꿔놨으며, 상당 부분 정규직과 일용직 노동자들이 했다. 농사를 짓고자 덤불을 제거하거나, 나무 뿌리를 뽑거나, 드네프르 강벽 목초지를 빌려 클로버, 호밀, 아마를 심었다. 인력도 많이 들었고, 준비도 해야만 했다. 바쁜 시기에는 다른 농장에서도 일했다. 노동력 모집은 돈, 곡물을 선불로 제공했다. 하지만 운영되는 농장에서도 노동 용역과 노예 제도는 그대로였다. 다만 무상 고용에 비하면 종속적인 위치에서 노동 용역 자체도 변화를 겪었다. 노동 용역은 농민 노동이 아닌 정규직 노동자로, 농업에 종사하는 일용직 노동자 노동으로 유지됐다. 엥겔하르트 농장은 인민주의자들을 반박할 때도 우월했다. 비교적 '합리적'으로 농사를 지었지만, 주어진 사회·경제적인 조건 아래에서는 농장 노동자를 고용하는 식으로 농장을 조직해야만 했다. 자본주의로부터 농업 기술 향상, 노동 용역 대체는 국내 모든 사유지 농장과도 병행했다. 따라서 러시아 농업에서도 기계 활용은 두드러졌다. 저렴한 곡물을 둘러싼 경쟁은 기술 발전의 동기였기 때문에, 무상 고용으로 대체한 기여도는 특수하게 주목할 수 있었다. 대평원 지역에서 벌어진 당시 곡물 경쟁은 곡물 가격이 높았던 시기에도 생겨났기 때문에 가격이 비교적 낮았던 시기에는 경쟁에 특수한 힘을 부여했다.
3-3. 농업 분야에서 기계 사용과 임금 노동
3-3-1. 농업에서 기계 활용
개혁 이후 농업 기계 생산 및 사용 발전
첫 시기: 농민 개혁 직전과 직후이다. 처음에 지주들은 농노 무급 노동 없이 살아갔으며, 자유 노동자 고용과 관련된 어려움은 피하고, 외국 기계를 구입하고자 서둘렀다. 물론 실패했다. 1863-1864년부터 외국 기계에 대한 수요가 떨어졌다.
두 번째 시기: 1870년대 말이며, 1885년까지 계속됐다. 해외에서 기계 수입이 매우 꾸준하고, 빠르게 증가했지만,
수입보다도 작업 속도가 느렸다. 1881-1884년 사이에는 농기계 수입이 특히 빠르게 증가했다.
1881년 농기계를 생산하는 공장 요구에 따른 쇠철, 주철 면세 수입이 부분적으로 폐지됐다.
세 번째 기간: 1885-1890년대 초까지, 면세로만 수입되던 농기계에 수입 관세가 부과됐다.
높은 과세로부터 기계 수입이 매우 감소했으며, 농업 위기로부터 러시아 생산은 느리게 발전했다.
네 번째 시기: 1890년대 초이며, 농기계 수입이 다시 증가했고, 러시아 내 생산은 특히 빠르게 증가했다.
공장 및 작업장 통계에서 농기계 연평균 수입량은 미흡한 상태로, 일반 기계 생산, 특정 농업 기계 생산의 혼동, 공장 생산, 수공예 생산을 구분하는 명확한 기준이 부재하는 등 농기계 생산 발전이 걸림돌이었지만, 원시적인 농기구는 개량된 농기구로 옮겨가는 활력을 보여줬다. 18년 동안, 농기계 사용이 3.5배로 증가했는데 왜냐하면, 가내 생산 확대가 4배나 증가했기 때문이다. 생산에서 주요한 중심지는 비스툴라 강과 발트해 지역에서 러시아 남부 대평원으로 옮겨갔다. 1870년대, 러시아 농업 자본주의에서 주요한 중심지는 서부 외곽 지역이었지만, 1890년대에는 러시아 지역에서도 두드러진 농업 자본주의 지역들이 형성됐다. 1876-1879년에는, 1882년 박람회를 위해 특수하게 수집되어 반환됐다. 포괄적으로 농업 도구에 따른 공장 뿐만이 아니라, 수공예 생산도 해당됐다. 1876-1879년에는 유럽 러시아와 폴란드 왕국에서 평균 340개 시설이 있었고, 공장 통계에 따르면, 1879년에는 유럽 러시아에서도 농업 기계 및 도구를 생산하는 공장은 66개를 넘지 않았다. 1879년에는 오롤로브(Orlov) 공장 및 작업장 목록에 대한 계산이 있다. 수치에 따른 큰 차이로부터, 340개 시설 가운데 236개 시설에는 자체적인 주조소가 없었으며, 외부에서 주물을 제작했다. 1890-1894년 통계는「러시아 공장 상업 통계 모음집, 상무부」에서 가져왔다. 해당 통계에서는 농업 기계 및 도구에 따른 공장 생산조차 완전하지 않았다. 1890년 통계에 따르면, 유럽 러시아에서는 산업에 종사하는 회사가 149개 있었지만, 오롤로브 분류 자료에서는 농업 기계 및 도구를 생산하는 회사는 163개 이상이었다. 1894년에는 유럽 러시아에서도 공장이 164개 있었다. 그러나 「공장 및 작업장 목록」에 따르면, 1894-1895년에는 농업 기계와 도구를 생산하는 공장은 173개가 넘었다. 농업 기계와 도구에 따른 소규모 수공예 생산은 해당 통계에 전혀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1890-1894년 통계는 실제보다 크게 과소평가됐다. 1890년대 초, 러시아 농업 및 임업에서 농업 기계 도구가 약 1,000만 루블로, 1895년에는 약 2천만 루블에 달하는 금액이 지급됐다. 러시아에서 생산된 농기계 및 농기구 종류와 수량으로는, 1876년에는 25,835대의 농기구가 생산됐고, 1877년에는 29,590대, 1878년에는 35,226대, 1879년에는 47,892대가 생산됐다. 수치가 얼마나 초과됐는지, 1879년에는 약 14,500대 철제 쟁기가 생산됐고, 1894년에는 75,500대가 생산됐다. 불과 5년 전만 하더라도, 농민 농장에서 철제 쟁기를 더 널리 사용하기 위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지만, 저절로 해결됐다. 그만큼 농민들은 철제 쟁기를 사는 일이 드물지 않았다. 농민들은 매년 구입하는 철제 쟁기 수도 늘어났다. 여전히 국내에서 사용된 원시적인 농업 도구 양은 철제 쟁기에 따른 생산 및 판매에 넓은 여지를 남긴다. 철제 쟁기 사용에 따른 진전 때문에「상업 및 산업 기사」에 따르면 전기 사용 문제까지 제기됐다. 제2회 전기 기술자 대회에서는 V. A. 라즈혜브스키(V.A.Rzhevsky), 『농업에서 전기 사용』에 대한 논문이 관심을 끌었다. 해당 논문은 독일에서 전기 쟁기를 이용한 밭 경작을 설명했고, 남부 3개 주 가운데 한 곳에 있는 자신의 영지에 대한 토지 소유자 요청에 따라 작성된 계획과 경작 방법의 경제력을 보여준 견적 수치를 인용했다. 계획에 따르면 매년 5-40데시를 경작했으며, 일부를 1년에 두 번 경작하자고 제안했다. 경작 깊이로는 4.5에서 5베르쇼크(Vershoks)였다. 쟁기 외 계획에는 밭 작업용 가계류, 탈곡기, 연간 2,000시간을 가동할 수 있는 25마력의 제분기가 있었다. 50mm 두께로 된 가공 전선(케이블) 6베르스트도 있었고, 부지 전체를 장비하는 비용은 41,000루블이었다. 제분기를 설치한다면, 1데시아틴을 경작하는데 드는 비용으로는 7루블 40코펙이었고, 제분기가 설치되지 않는다면, 8루블 70코펙이었다. 인건비, 가축 등의 현지 비용을 고려했을 때도, 전기 장비를 사용하면, 1.93루블을 절약했고, 제분기 없이 전략 사용량을 줄인다면, 966루블을 절약했다.
탈곡 및 풍차 기계 생산량에서 급격한 변화는 없었다. 왜냐하면 생산은 이미 오래 전에 확립했기 때문이다. 기계로부터 수공예 생산을 위한 특수한 중심지(센터)는 랴잔 시 지역에서 사포조즈 시와 주변 마을로부터 설립됐고, 농민 부유층들의 지역 구성원들은 산업에서도 많은 이득을 얻었다. 특히 수확 기계 생산에 따른 빠른 확장을 볼 수 있었다. 1879년에는 기계가 약 780대가 생산됐고, 1893년에는 연간 7,000-8,000대, 1894-1895년에는 약 27,000대가 판매됐다. 1895년, 타우리다 지역, 베르댠스크 시에서는, J. 그리브스(J. Greaves) 공장은 그 당시에 생산열(생산 라인)로 유럽에서 가장 큰 공장이었다. 수확기 생산 부문에서는 4,464대의 수확기를 생산했다. 타우리다 시 지역에서는 농민들 사이에서도 수확기가 널리 보급되어, 다른 사람들의 곡물을 기계로 수확하는 특수한 직업들도 생겨났다. 비교적 덜 널리 보급된 농기구에 대해서도 '산파기' 수십 대가 작업장에서 생산됐으며, 1893년에는 두 작업장에서만 생산됐던 파종기는 현재 7개 작업장에서도 생산됐다. 『농업과 임업』자료에 따르면, 작업장 생산량은 러시아 남부 지역에서도 특히 널리 판매됐다. 기계는 모든 농업 분야와 일부 농산물 생산과 관련된 모든 작업에서 사용됐다. 특수한 후기로는 선별기, 종자 분류기, 종자 세척기(Trieurs), 종자 건조기, 건초 압착기, 탈곡기(아마) 등의 사용이 확대됐다. 1898년, 프스코프 주 젬스트보 행정부의「농업 보고서 부록, Serverny Kurier, 1899」에 따르면 가정용 아마 생산에서 상업용 아마 생산 전환에 따른 기계, 특히 아마 탈곡기 사용이 증가했으며, 철제 쟁기 수도 증가했다. 더불어 이로부터 농업 기계 수를 늘리고, 임금 인상에 미치는 영향도 언급했다. 스타브로폴 시 지역에서는 이민이 증가하면서, 농업 기계 사용도 확대됐다. 1882년에는 908대 농업 기계에서, 1891-1893년에는 평균 29,275대, 1894-1896년에는 평균 54,874대, 1895년에는 최대 64,000대 농기구와 기계가 사용됐다. 기계 사용이 증가하면서 발전기(엔진)에 대한 수요도 발생했다.
증기 발전기와 더불어 석유 발전기는 농장에서도 빠르게 퍼져갔다. 첫 발전기가 해외에서 등장한지는 불과 7년 전이었지만, 1870년대, 헤르손 시 지역에서 농업에 등록된 증기 발전기로는 134개에 불과했다.「러시아 제국에서 증기 엔진 통계 자료, 상트페테르부르크, 1882」에 따르면, 1881년에는 약 500개가 등록됐다.『역사 통계 조사, 농기구 부문』자료에서는 1884-1886년, 시 지역, 6개 군 가운데 3개 군에서 증기 탈곡기 435대가 등록됐다. 1895년에는 적어도 두 배가 더 많았다.「테자코프, 농업 노동자, 위생 감독 조직, 헤르손 시 지역, 1896」에 따르면, 헤르손 시 지역에서도 증기 탈곡기는 약 1,150대였고, 쿠반 지역에서도 그 수가 비슷했다. 증기 탈곡기 구입은 산업적인 성격을 띠었다. 2-3년 풍년기에 증기 발전기에 장착된 5,000루블짜리 탈곡기를 구입해서 비용을 전액 충당했고, 소유주가 동일한 조건에서 다른 기계를 즉시 구입하기도 했다. 쿠반 지역에서는 소규모 농장에서 기계를 5대, 10대까지 흔하게 볼 수 있었다. 조금이라도 조직된 모든 농장에서도 필수적인 부속품이었다. 남부에서는 농업 목적만으로, 1만 대 이상의 증기 발전기가 사용됐다. 1875-1878년까지 유럽 러시아 전역에서는 농업에서 사용된 증기 기관 수가 불과 1,351대였다.「1903년 공장 검사관 보고서」의 불완전한 보고에 따르면, 1901년에는 12,091대, 1902년에는 14,609대, 1903년에는 16,021대, 1904년에는 17,287대였다. 지난 20-30년 동안 자본주의는 농업에서도 큰 변화가 일어나도록 만들었다. 젬스트보는 이를 가속화시켰다. 1897년 초, 젬스트보 농기계 및 창고는 11개 시 지역과 203개 군 젬스트보 위원회 관리 아래에서 운영됐고, 총 운영 자본은 약 100만 루블이었다.「재정지, 1897」, 폴타바 시 지역에서 젬스트보 창고 매출액은 1890년, 22,600루블, 1892년 94,900루블, 1895년 210,100루블로 증가했다. 6년 동안 철제 쟁기 12,600대, 키질기 및 종자 선별기 500대, 수확기 300대, 말 탈곡기 200대가 판매됐다. 젬스트보 창고에서는 농기구 판매를 하던 사람은 코사크 족 농민으로, 철제 쟁기와 말 탈곡기 판매 다수에서 70%를 차지했다. 파종기와 추수기를 구매하는 사람들은 주로 지주들이었으며, 100데시아틴 이상을 소유한 대지주들이었다.
3-3-2. 농업에서 기계의 중요성
러시아 개혁 이후로는 농업에서 농 기계 생산과 기계 활용은 매우 빠르게 발전했다. 앞서 사회적·경제적인 소농 및 지주 농업에서 경제학을 거론할 수 있다. 자본주의는 농업에서도 기계 사용을 확대시키는 요인이었고, 농업에서 기계 적용은 자본주의적인 성격을 띤다. 자본주의 관계에서 확립과 발전을 이뤘기 때문이다. 노동 용역 경제 제도와 자연적인(가부장적인) 농민 경제는 불가분하며, 생활 기술, 낡은 생활의 보존에 기반한다. 경제 제도에서도 내부 구조는 기술 변혁을 촉진할 요소가 전혀 없었다. 오히려 경제 제도에서 고립된 성격과 종속된 농민들의 빈곤, 억압을 개선할 수 있는 여지를 배제시킨다. 노동 용역 제도 아래에서는 노동 임금은 고용 노동보다도 훨씬 낮다. 저임금은 기계 도입에서도 중요한 장애물이었다. 농업 기술 혁신에서 폭 넓은 운동은 개혁 이후로 상품 경제와 자본주의 발전에서 시작됐다. 자본주의 산물인 경쟁과 세계 시장에서 재배자에 대한 의존도는 기술 전환을 필수로, 곡물 가격 하락은 재배자 의존도를 더욱 시급하게 만들었다. 지주 농업과 농민 농업을 별도로, 지주가 기계나 개량된 농기구를 도입하면, 농민의 농기구를 자신들의 농기구로 대체하게 된다. 따라서 노동 용역에서 자본주의 농업 체계로 전환된다. 농업 기계 보급은 자본주의로부터 노동 용역의 소멸을 뜻한다. 토지 임대 조건으로는 추수기, 탈곡기 등에서 일용직 노동의 수행을 제시할 수는 있었지만, 두 번째 유형에 따른 노동 용역은 농민을 일용직 노동자로 전환시켰다. 인민주의자들의 용어에서 예외는 사유지 소유주 농장에서 개량된 농기구를 도입해서, 예속된 농민을 임금 노동자로 전환한다는 일반적인 규칙만 증명할 뿐이었다. 이는 매수자로부터 집에서 할 일을 제공해서, 자신의 생산 도구를 취득하는 예속된 수공예인을 임금 노동자로 전환시킨다는 말과도 같다. 지주 농장에서 자체 농기구를 취득한다는 건, 필연적으로는 노동 용역에 참가해서, 생계 수단을 얻어야만 하는 중농 약화로 이어지게 된다. 이미 노동 용역에서는 중농에게 특수한 산업이 있었고, 그들의 농기구는 농민 농업 뿐만이 아니라, 지주 농업에서도 구성 요소였다. 따라서 농업 기계와 개량된 농기구 보급은 동일한 의미을 지녔다. 농업에서 기계의 체계적인 사용은 증기 동력 직기가 수공업 직조공을 몰아내듯, 자연적인(가부장적인) 중간 농민을 무자비하게 몰아냈다. 앞선 내용을 뒷받침해서, 농업에서 기계 사용 결과는 자본주의적인 발전에서도 전형적인 모든 특징과 내재적인 모순을 드러낸다. 기계는 농업에서 노동 생산성을 크게 증가하도록 만들며, 현 시대 이전에는 사회 발전에서도 영향력을 거의 받지 않는다. 따라서 인민주의자들의 농업에서 기계 사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곡물 생산에서는 '절대적인 정체'가 나타나고, 농업 노동에서도 생산력 감소한다는 주장은 너무나 터무니가 없었다. 인민주의자들의 모순된 주장은 이전의 자본주의 질서를 이상화하는 데 필요했을 뿐이었다. 기계 사용은 생산 집중과 농업에서 자본주의적인 협력으로 이어졌다. 기계 도입은 대규모 자본을 요구하며, 대농장주들만이 감당했다. 기계로부터 처리해야 할 농산물 양이 많을 때에만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계 도입과 더불어 생산 확대는 필연적이다. 수확기, 증기 탈곡기 등의 폭 넓은 사용은 농업 생산의 집중을 나타냈다. 특히 나중에는 기계 사용이 널리 퍼진, 노보로시아 농업 지역에서는 상당한 규모로 된 농장을 가지게 됐다. 인민주의자들과 같이 농업의 집중이 경작지의 폭 넓은 확대라는 형태로만 생각한다면 오류였다.
농업 생산 집중은 상업 농업 형태에 따라서 매우 많은 형태로 나타난다. 생산 집중은 농장 노동자들의 폭 넓은 협력과 불가분하다. 수백 대의 수확기를 가동하여, 곡물을 수확하는 대규모 농장에서는 4-8마리 말이 끄는 탈곡기 14-23명, 심지어 그 이상의 노동자를 필요로 하며, 절반 이상은 12-17세, 소년·소녀 노동자들이었다. 각 농장에서 500-1000명 노동자가 모여 있는 대규모 농장은 산업 시설로 봐도 무방했다. 인민주의자들은 마을 공동체가 농업 협동을 쉽게 도입할 수 있다고 내세웠지만 나름대로 계속됐으며, 자본주의는 마을 공동체를 반대하는 이익을 가진 경제적인 집단으로 분할해서 임금 노동자들의 폭 넓은 협동을 기반으로 대규모 농장을 만들어 갔다. 따라서 기계는 자본주의에 따른 국내 시장을 창출한다. 기계 제작, 광업 등도 생산물에 따른 생산 수단 시장이며, 노동력 시장이다. 기계 도입은 노동 용역을 고용 노동으로 대체하고, 노동자를 고용하는 소농장을 창출한다. 농업 기계의 대량 사용은 대량 농업 임금 노동자를 전제한다. 농업 자본주의가 고도로 발달한 지역에서는 기계 도입과 더불어 임금 노동의 도입과 기계로부터 임금 노동자 축출과 교차한다. 농민 부유층 형성과 지주 노동 용역에서 자본주의로 전환은 임금 노동자에 대한 수요를 창출한다. 농업에서는 오랫동안 임금 노동에 기반을 두었던 곳에서 기계가 임금 노동자를 축출한다. 국내 전체로도 미치는 영향력으로부터, 농업 임금 노동자 수가 증가하는지, 감소하는지를 보여주는 정확하고, 폭 넓은 통계는 없었다. 그러나 그 수는 증가하고 있다. 기계로부터 농업에 따른 임금 노동자 축출에 대한 통계는 노보러시아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지만, 자본주의 농업에 따른 다른 지역들인 발트해, 서부 지역, 동부 외곽 지역, 일부 산업 주에서는 아직 대규모로 기록되지도 않았다. 여전히 노동 용역이 우세한 폭 넓은 지역이 남아 있었고, 지역에서는 기계 도입으로부터 임금 노동자에 대한 수요가 발생했다. 뿌리 작물 도입으로부터 집약적인 농업 발전은 임금 노동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켰다. 산업에 비해 농업은 임금 노동자의 절대적인 수가 감소한다는 말에는, 물론 자본주의 발전에서는 특정 단계에 따라, 전국적인 농업은 자본주의적인 노선으로 완전하게 조직되고, 매우 많은 농업 작업에서도 기계 사용이 일반화되는 단계로 일어나게 된다. 노보로시아 지역 조사자들은 고도로 발전한 자본주의로부터 일반적인 결과를 지적했다. 기계가 임금 노동자를 몰아내고, 농업에서 자본주의 예비군을 만들었다. 헤르손 시 지역에서도, 매우 높은 가격의 노동력 시대는 지나갔다. 농기구 확산 및 기타 원인으로부터 노동력 가격은 꾸준히 하락했고, 테자코프는 농기구 분배가 대규모 농장을 노동자로부터 독립시키고, 노동력을 감소시키면서, 노동자들을 곤경의 처지에 빠뜨린다고 지적했다. 젬스트보 의료 장교였던, 쿠드랴브체프는 「1895년, 카프코카 동네, 타우리다 시 지역에서 니콜라예프 박람회에 참석한 이주 농업 노동자들과 위생 감독, 헤르손, 1896」에서도 언급했다.
노동자 가격은 계속해서 떨어졌고, 상당 수 이주 노동자들은 일자리를 잃었으며, 무엇도 벌 수 없었다. 따라서 노동 예비군에 따른 인위적인 초과 인구가 생겨났다. 노동 예비군으로부터 노동 가격 하락은 때로 너무 커지기도 해서, 기계를 소유한 많은 농부들이 기계보다는 손으로 수확하기를 선호했다. 이러한 점은 자본주의적인 기계 사용에서 내재된 모순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보여준다. 기계 사용에 따른 여성과 아동 노동 고용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기존의 자본주의 농업 체계에서는 일반적으로 공장 노동자 사이에서 위계와 매우 비슷한 특정 노동자에 따른 위계 질서가 생겨나도록 만들었다. 러시아 남부 영지에서는 모든 일을 할 수 있는 성인 남성인 정규직 노동자, 소아 노동자는 12세, 13-15세, 16세까지 소아 노동자는 엄격한 영지에서 '3/4 노동자'로 불렸으며, 16-20세 사이로는 잔디 깎기를 제외하고는, 정규직 노동자가 하는 모든 일을 맡았다. 거의 도움도 없는 8세 미만도 아니고, 채 14세가 되지 않은 어린이였다. 이들은 가축을 치거나, 제초를 하거나, 쟁기질을 했으며, 식량과 의복을 위해 노동했다. 농기구 도입에 따라 전반적인 노동자의 노동 가격을 낮추고, 더 저렴한 여성과 청소년 노동으로 대체됐다. 이주 노동 통계로는 남성 노동은 여성 노동으로 대체됐다. 1890년, 카홉카 동네와 헤르손 시에 등록된 총 노동자 수의 12.7%는 여성이었다. 1884년에는 지역 전체에서 여성은 56,464명 가운데 10,239명으로, 18.2%였고, 1895년에는 48,753명 가운데 13,474명으로, 25.6%를 차지했다. 1893년 10-14세 아동은 0.7%였고, 1895년에는 7-14세 아동은 1.69%였다. 헤르손 시 지역에서, 엘리자베트그라드 지역 영지에서 노동하는 지역 노동자 가운데 아동은 10.6%를 차지했다. 기계는 노동자, 노동 강도를 높인다. 수확기는 노보그레야카(Lobogreyka), 추보그레야카(Chubogreyka)라는 명칭을 얻었다. 기계를 사용하면, 노동자는 대단한 노력을 기울여야만 하기 때문이다. 노동자는 전달 장치를 대신한다. 탈곡기를 사용하면, 노동 강도가 높아졌다. 기계를 사용하는 자본주의적인 방식은 노동일을 늘리기 때문이다. 야간 작업은 농업에서도 등장했다. '풍수해 지역'에서는 일부 영지와 많은 농촌 농장에서도 야간 작업이 이뤄진다. 인공 조명으로는 횃불을 사용했다. 기계의 체계적인 사용은 농업 노동자들에게도 정신병(트라우마)을 초래한다. 젊은 여성과 아동을 기계에 고용해서 많은 부상을 일으킨다. 헤르손 시 지역, 젬스트보 병원과 진료소에서는 농사철에 외상 환자로 가득찼고, 농기계와 농기구로부터 무자비한 파괴 작업으로 인해 끊임없이 장애를 겪는 수 많은 농업 노동자들을 치료하는 야전 병원도 있었다. 농업 기계로 인한 부상을 다루는 특수한 의학 문헌도 출간됐다. 농업 기계 사용을 규제하자고 강제하는 규정을 도입하자는 제안도 나왔었다. 기계의 대량 생산으로부터 농업과 산업 모두에서 필연적으로 공동 통제와 생산 규제를 요구한다. 그러나 인민주의자들은 극도로 모순된 태도로 농업 기계 사용과 발전적인 성격을 인정하고 말았고, 촉진시킬 수 있는 모든 조치를 옹호했으며, 국내 농업에서도 기계는 자본주의적인 방식으로 사용된다는 점을 무시했다. 이는 소규모 및 대규모 농업인으로 전락한다는 걸 말한다. 그러나 인민주의자들은 농업 기계와 개량된 농기구 사용이 자본주의적인 성격임을 무시했고, 어떤 농민 및 지주 농장에서 기계를 도입하는지조차 분석하지도 않았다. V.V 보론초프는 V. 체르냐예프를 자본주의 기술의 대표자이자 '발전 추세'라고 부르기도 했다. 기계 사용이 자본주의적인 성격을 띠게 된 건, V. 체르나예프, 농업부의 다른 관리들 때문이었다. 인민주의자들은 사실에 기반하겠다는 약속에도 불구하고, 농업에서 기계 사용 발전이 자본주의라는 점을 무시했고, 교환으로부터 농업 노동 생산력을 감소시킨다고까지 말했다. 분석도 없이 주장만 난무하는 이론은 비판마저 아까운 일이다. 인민주의자들의 추론에는 한 국가의 노동 생산력이 두 배라면, 밀 한 체트버트(약 6부셸)를 12루블이 아니라, 6루블에 구매해야만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모두가 그렇지는 아니하다. 국내에서도 상품 경제가 있는 모든 사회가 그렇듯이, 기술 향상은 개별적인 농부들로부터 이뤄지고, 나머지는 점진적으로 따라갈 뿐이다. 국내에서는 크고, 작은 농촌 기업가들의 발전이 농민층 몰락과 농촌 무산층 형성과도 불가분하다. 따라서 농촌 기업가들의 농장에서 사용되는 개선된 기술은 사회적으로 가격이 절반으로 떨어지는 조건 아래에서만 사회적으로 필요하며, 농업에서도 자본가들의 수중으로 넘어간다고 말할 수 있다. 이는 수백만 농민층에서 완전한 무산화를 말하고, 비농업 인구 증가와 공장 수 증가를 뜻한다. 국내 농업에서 노동 생산력이 두 배로 증가하려면, 기계 제작 산업, 광업, 증기 운송, 새로운 유형에서 농장 건물, 상점, 창고, 운하 등이 대량으로 건설해야만 한다. 인민주의자들은 자본주의 발전에서 필요한 단계를 곧바로 건너뛰고는, 수반되는 복잡한 사회적, 경제적인 변화들도 건너뛰었고, 자본주의의 위험만을 두고 통곡했을 뿐이며, 사소한 추론 오류를 반복했다.
3-3-3. 농업에서 임금 노동
개혁 이후 경제로는 남유럽 및 동유럽 러시아 외곽 지역에서 두드러졌다. 농업 이주로 알려진 농업 임금 노동자에 따른 대규모 이동이 있었다. 따라서 러시아 농업 자본주의에서 주요 지역과 자료를 검토해보자. 고용 일자리를 찾아나선 농민들은 오래된 문헌에도 기록됐다. 플레로프스키, 『러시아 노동계급 상태, 1869』를 출판했으며, 많은 시 지역에서 농민들의 상대적인 발생률을 파악하고자 했다. 차슬라브스,『농부 외부 고용, 1875』에서도 실질적으로 언급했다. 라스포핀(Raspopin)도 1887년 젬스트보 통계를 모아, 농업에서 일반 농민 고용이 아니라 임금 노동 계급이 형성되는 과정으로 간주했다. 1890년대에는 S.콜로렌코, 루드네프, 테자코프, 쿠드랴브체프, 샤호프스코 저작이 출판됐고, 훨씬 더 완전한 연구가 이뤄졌다. 농업 임금 노동자들이 이주한 주요한 지역으로는 베사라비아, 헤르손, 타우리다, 예카테리노슬라프, 돈, 사마라, 사라토프 남부, 오렌부르크 주이다. 유럽 러시아에 국한하지만, 이동은 멀리 퍼져 나갔으며, 북코카서스 지역과 우랄 지역 등을 포괄한다. 상업적인 곡물 농업 지역에서 자본주의 농업에 대한 자료도 있었다. 농업 노동자들이 이주하는 다른 지역들도 언급할 수 있다. 농업 노동자들이 이주하는 주요 지역으로는 카잔, 심비르스크, 펜자, 탐보프, 랴잔, 툴라, 오렐, 쿠르스크, 보로네시, 하르키우, 폴타바, 체르니코프, 키예프, 포돌리야, 볼히니아 등 중앙 흑토 주였다. 따라서 노동자들의 이동은 인구가 매우 밀집된 지역에서 희박한 지역으로, 식민지로부터, 농노제가 매우 발달한 지역에서 덜 발달한 지역으로, 노동 용역이 매우 발달한 지역에서 덜 발달하고, 자본주의가 고도로 발달한 지역으로 이동했다. 그래서 노동자들은 절반인 자유 노동에서 자유 노동이 있는 곳으로 이주했다. 그러나 인구가 밀집한 지역에서는 인구가 희박한 지역으로 이동한다고 간주한다면 오류이다. 노동자 이동에 대한 연구는 노동자들이 많은 지역으로 큰 수가 이주했기 때문에, 기존의 지역에서는 일손 부족을 초래했다. 이동한 지역에서는 노동자들이 도착하면서, 일손 부족 현상을 메우고 있다는 특이한 점도 밝혀냈다. 따라서 노동자 이탈 현상은 주어진 영토로부터 인구가 더 균등하게 퍼지는 경향을 나타낼 뿐만이 아니라, 노동자 조건을 더 나은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향도 나타낸다. 따라서 노동 용역 영역을 시작점으로, 농업 노동자 임금은 특히 낮았지만, '매력적인' 자본주의 영역에서는 임금이 훨씬 높다는 점도 분명해진다. 농업 이주 범위에 대한 통계에서 S. 코롤렌코(S.Korolenko)는 유럽 러시아 전체 노동자를 초과 현지 수요 대비 6,360,000명으로 계산했고, 농업 이주로, 15개 시 지역에서 2,137,000명이 포함됐고, 8개 이주 시 지역에서는 노동자 가족은 2,173,000명으로 추산됐다. 크렐렌코의 계산법도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대략적으로는 정확하다고 간주하며, 이주 노동자 수는 과장이 아니라, 과소평가됐다. 남부로 오는 200만 명 노동자 가운데 일부는 비농업 노동자들이었다. 그러나 샤호프스코는 산업 노동자는 수치 절반을 차지한다고 자의적으로 추정하기만 했다. 해당 지역으로 이주하는 노동자들은 농업 노동자들이었고, 농업 노동자들은 시 지역뿐만이 아니었다. 샤호프스코는 S.코렐렌코 계을 뒷받침했다. 샤호프스코는 1891년 11개 흑토 시 지역에서 총 2,000,703장의 여권과 신분증을 발급했다. 반면에 S. 코렐렌코에 따르면, 시 지역을 떠난 노동자 수는 1,745,913명에 불과했다. 따라서 S.코렐렌코 수치는 과장된 게 아니고, 국내 농촌 이주 노동자 총 수는 200만 명이 분명히 넘었다. 거주지와 토지를 버리는 대량 농민, 소규모 경작자는 농촌 무산층으로 전환되면서 농업 자본주의로부터 임금 노동에 대한 큰 수요를 차지했다.
그렇다면 유럽 러시아에서 농촌 임금 노동자 총 수와 이주민, 거주민을 모두 포함할 때는 얼마일까. 루드네브(Rudnev), 「유럽 러시아 농민 산업」에서는 유럽 러시아에서 19개 시 지역에 있는 148개 군 단위에 대한 젬스트보 통계를 알 수 있었다. 산업가들은 총 5,129,863명으로, 18-60세, 노동 남성 가운데 2,798,122명이었으며, 노동 농민 총 수에서 55%였다. 농업 산업에서 루드네브는 고용된 농업 노동자, 농장 노동자, 일용직 노동자, 목축업자, 가축장 노동자의 노동만 계산했다. 국내에 많은 주와 지구에서 취업하려는 연령대의 남성 총 수에 대한 농업 노동자 비율을 추산했을 때, 저자에 따르면, 흑토 지대에서 모든 취업 남성의 약 25%가 고용된 농업 노동에 종사했으며, 비흑토 지대에서는 약 10%였다. 유럽 러시아 농업 노동자 수로는 3,395,000명으로, 대략 350만 명이었다. 해당 수치는 취업하려는 남성 총 수에서 약 20%였다. 루드네브는 일용직 노동과 농업 일자리는 통계학자들로부터 해당 개인이나, 가족의 주된 직업일 때만 산업 범주로 포함했다. 따라서 루드네프 수치는 최솟값이다. 젬스트보 인구 조사 결과는 1870, 1880년대 자료가 비슷했고, 농업 노동자 비율을 산정할 때도, 농업 자본주의가 고도로 발전했던 발트해 연안 및 서부 시 지역은 전혀 고려되지도 않았으며, 자료 부족으로 인해 350만 명이라는 수치를 사용했다. 농민의 약 1/5는 이미 주된 직업이 부농과 지주를 위한 임금 노동에 도달했다. 여기서 농촌 무산층 노동력을 요구하는 기업 집단을 볼 수 있다. 농민 하위 집단에서 약 절반을 고용하는 농촌 기업가들이다. 따라서 농촌 기업 계급 형성과 농민 하위 집단의 확장, 농촌 무산층 수 증가 사이에서 완전한 상호 의존도를 보게 된다. 농촌 기업가 가운데 농민 부유층의 역할을 두드러지게 담당했다. 보로네시 시 지역, 9개 군에서는 농장 노동자 43.4%가 농민에게 고용됐고, 그 비율로는 모든 농촌 노동자와 러시아 전체 기준으로, 농민 부르주아 계급, 약 150만 명이 농업 노동자에 대한 수요를 보였다. 농민들이 고용주를 찾아 수백만 명 노동자를 시장에다 내놓았으며, 임금 노동자에 대한 큰 수요를 보였다. 차슬라브스키는 당시 러시아에서 임금 노동자 이동을 검토하면서, 많은 지역에서도 이주 성격과 방향을 자세하게 설명했다. 차슬라브스키에 따르면, 당시에 노동자들이 도착한 지역에서 농노가 전체 4-15%를 차지했고, 노동자들이 떠난 지역에서는 40-60%를 차지했다. S. 코롤렌코 수치와 테자코프, 쿠드랴브체프의 저서에서 일자리를 찾고자, 철도를 최소한 부분적으로 이용하는 농업 노동자 수가 전체 노동자에서 약 1/10이었다. 두 수치를 합하면, 심문 받은 노동자 72,635명 가운데 7,827명만이 여정 일부라도 철도로 이동했다. 그러나 1891년에 조사된 보고서에서는 주요한 3대 철도 수송 노동자 수로는 샤코프스코이가 지적한대로, 170,000-189,000명으로 200,000명을 넘지는 않았다. 따라서 남부로 떠나는 노동자 총 수로는 약 200,000명을 넘지 않았다. 인민주의자들이 철도로 이동하는 농업 노동자 비율이 매우 낮다는 말은, 철도 승객 수송이 농업 노동자 수송이라 가정할 때도 잘못된 견해였다. 인민주의자들에 따르면, 비농업 노동자가 더 높은 임금을 받았으며, 또한 철도를 더 많이 이용했고, 건축업자, 인부, 하역 노동자 등과 같은 비농업 노동자들의 이주 시기는 봄과 여름이었다. 루드네프도 산업에서 농민이 자가 경작, 매입 또는 임대 토지 경작을 제외한 모든 직업에서도, 산업가 대다수는 농업과 산업 임금 노동자들이었다. 해당 수치로는 농촌 무산층 추정치와도 비슷했는데, 농촌 무산층 농민은 약 40%였고, 산업가는 55%를 구성했으며, 40% 이상이 모든 종류로 된 고용 노동에 종사했다. 따라서 고용된 농업 노동만이 주된 직업은 아니었지만, 자신의 농장을 운영하는 일반 농민은 해당 수치에 포함되지는 않았다.
3-3-4. 농업에서 고용 노동
남부로 오는 대규모 농업 노동자들은 농민들 가운데에서도 특히 매우 가난하다. 헤르손 시 지역으로 오는 노동자들 가운데 10명 중 7명은 기차표를 구매할 돈이 없어 도보로 이동한다. 테자코프는 철도 선로와 강둑을 따라 수백, 수천 베르스트를 걷는다고 보고했다. 평균적으로 노동자들은 약 2루블을 가지고 갔다. 여권을 구매할 돈도 없어 10코펙으로 월별 신분증을 받는다. 여행은 10-12일이 걸리며, 발이 부어올라 굳어지거나, 멍도 든다. 노동자의 약 1/10은 50-80명을 태울 수 있는 거친 판자로 만든 대형 보트를 타고 떠난다. 공식적인 즈베긴체프 위원회 보고서에서는 이런 여행이 매우 위험하다고 보고했다. 과밀한 판자선(두비)로부터 승객이 강 바닥으로 가라앉는 일도 1년도 채 불과되지 않게 잦았고, 압도적으로 다수 노동자는 일을 배정 받더라도, 규모 면에서 미미한 수준이었다. 테자코프에 따르면, 특히 수천 명의 농업 노동자는 모두 토지가 없는 마을 무산층이고, 외부 고용이 유일한 생계 수단이다. 토지가 없는 상태가 급속하게 확대되면서 농촌 무산층 대열이 떠올랐다. 신입 노동자, 신규 일자리를 구하는 사람의 수가 급속도록 늘어났다. 신입 농업인도 30%에 달했다. 덧붙여, 정규직 농업 노동자 집단을 형성하는 과정도 매우 빨랐다. 고도로 발달된 자본주의에 따른 노동자 대량 이주로부터 특수한 고용 형태가 생겨났다. 남부와 남동부 지역에서는 수천 명의 노동자와 고용주가 모이는 수 많은 노동 시장들이 생겨났다. 시장에서는 도시, 산업 중심지, 무역 마을, 박람회이 개최됐다. 중심지의 산업적인 특성은 비농업 일자리도 기꺼이 받아들이는 노동자들에게 매력적이었다. 키이우 시 지역, 스멜라 시에서는 슈폴라 사탕무 산업, 벨라야 체르코프 시에서는 노동 시장이 열렸다. 헤르손 시 지역에서는 일요일에만 9,000명 이상의 노동자가 모이는 노보우크라민카, 비르즐라, 모스토보예 등의 여러 산업 마을과 즈나멘카, 돌린스카야 등의 기차역, 엘리자베트그리드, 보브리네츠, 보즈네센스크, 오데사 등의 도시 노동 시장이 열렸다. 여름에는 오데사에서 온 마을 사람들, 노동자, 부랑자(카데트)도 농업을 위해 고용됐다. 오데사에서는 농촌 노동자들이 세레딘스카야 광장(모어 시장)에서 고용됐다. 노동자들은 다른 시장을 피해 오데사로 와서 더 나은 수입을 얻고자 했다. 크리보이 로그 마을 동네(타운십)는 농업과 광업에서 노동자를 고용하는 중심지였다. 타우리다 시, 카호브카 마을 동네에서는 특히 노동 시장으로 유명했고, 예전에는 4만 명의 노동자가 모여들었다. 1890년대에는 2만 명-3만 명이 모였으며, 특정 자료에 따르면, 그 수가 훨씬 줄어들었다. 베사라비아 시 지역에서는 아케르만 마을을 언급할 수 있었다. 예카테리노슬라프 시 지역에서는 예카테리노슬라프 마을과 고조바야 역, 로스토프, 온 돈, 돈 시내에서는 매년 최대 15만 명의 노동자가 이곳을 찾았다. 북코카서스로는 예카테리노다르 시, 노보로시스크 마을, 티호레츠카야, 발라코보 마을 등이 있었다. 사라토프 시 지역에서는 흐발린스크, 볼스크 마을, 심비르스크 시 지역에서는 시즈란 마을이 있었다. 자본주의는 외곽 지역에서도 농업과 산업을 결합시켰으며, 농업 및 비농업 고용 노동을 결합시켰다. 자본주의에 따라 최종적이고, 매우 높은 단계인 대규모 기계 산업 시기에 수작업 기술을 폭 넓게 약화시켰고, 한 직업에서 다른 직업 전환을 용이하도록 만들어서, 고용 형태를 평준화시켰다. 실제로 해당 지역들은 고용 형태가 매우 독특했고, 자본주의에 따른 농업 특징도 잘 보여줬다. 중부 흑토 지대에서는 자연적(가부장적), 예속적인 고용 노동 형태가 부분적으로 모두 사라졌으며, 고용자와 고용인 사이 관계에서 곧 노동력을 사고파는 상업적인 거래만이 유일하게 남았다. 저개발된 자본주의적인 관계에 따라 언제나 노동자들은 일당, 주당 고용을 선호했고, 임금을 노동 수요에 정확하게 맞췄다. 약 40베르스트 반경 내에서 각 시장 지역의 노동 가격은 수학적인 정밀도로 고정됐으며, 고용주가 노동 가격을 낮추기란 어려웠다.
시장에서 나온 농민들은 더 낮은 임금으로 일하기보다는 그저 뒹굴거리거나, 다른 곳으로 가기를 선호했다. 노동에 대한 가격 변동으로 인해 수 많은 계약 위반도 빈번하게 발생했다. 고용주가 '일반적으로' 주장하는대로 한 쪽만이 아닌, 양쪽 모두에서 발생했다. 양 쪽은 일치된 조치를 취했으며, 노동자들은 서로 더 많은 걸 요구하기로 합의하고, 고용주들은 더 적게 제공하기로 합의했다. 계급 간 관계에서는 '무정한' 현금 지불이 공공연하게 지배됐고, 비교적 경험이 풍부했던 고용주들은 노동자들이 식량 재고를 다 먹어 치우고 나서야 '굴복'한다는 점을 알아냈다. 한 농부는 시장에서 일꾼들을 고용하러 가면, 일꾼들 사이를 걸으면서, 막대기로 일꾼들의 배낭을 콕콕 찔러댔다고 한다. 빵이 남으면, 이들에게 말조차 걸지도 않았으며, 시장을 떠나 시장 가방이 빌 때까지 기다렸다고 한다. 저개발 자본주의가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노동자는 소규모 자본으로부터 억압 받았다. 대규모 고용주는 순전히 상업적인 고려 사항 때문에 사소한 억압을 삼갔으며, 이익은 거의 없었고, 분쟁이 발생하더라도 상당한 손실을 초래했다. 300-800명의 노동자를 고용하는 대규모 고용주들은 주말에도 노동자들이 퇴근하지 못하도록 노동 수요에 따라 가격을 책정했다. 일부 해당 지역에서는 노동 가격이 오르면, 임금 인상 제도를 채택했다. 이 모든 증거는 임금 인상으로 인한 더 나은 작업과 분쟁 부재로부터 보상됐다. 반대로 소규모 고용주는 무엇도 고수하지 않았다. 농장주들과 독일 식민지 개척자들은 노동자들을 신중하게 선택하고는 15-20% 더 많은 임금을 지불하지만, 착취하는 일의 양은 50%가 더 많았다. 그러한 고용주를 위해 노동하는 '신입'들은 밤낮을 구분하지 못할 정도였다. 제초기를 도입한 식민지 개척자들은 자신들의 자녀들까지도 노동자들의 속도를 더욱 높이도록 교대로 노동을 시켰다. 그래서 하루에도 세 번씩이나 교대 속도를 높이는 사람들은 노동자를 이끄는 힘을 얻었다. 당시 독일 식민지 개척자들을 위해 노동하는 사람들은 초췌한 외모를 너무나 쉽게 볼 수 있었다. 농장주들과 독일인들은 이전에 지주들의 영지에서 노동하던 사람들을 고용하지도 않았다. 그들은 "너희는 우리와 함께할 수 없다고" 말하곤 했다.
대규모 기계 산업은 대량 노동자를 집중시키고, 생산 방식을 변형시켜, 계급 관계를 은폐한다. 대규모 기계 산업에서는 모든 전통적이고, 자연적인(가부장적인) 가면의 장막을 파괴시키고, 대중들의 관심을 분산시키는 관계에 더욱 집중하면서 공적인 통제와 규제를 시도한다. 특히 공장 감독에서 두드러진다. 러시아 자본주의 농업이 매우 발달한 지역에서도 보였다. 노동자 위생 환경 문제로는 1875년, 헤르손 시 지역에서 열린 제2차 헤르손 젬스트보 의사회, 시 대회에서도 제기됐다. 이후로는 1888년에 다시 논의됐다. 1889년에는 노동자 위생 환경 연구 계획이 수립됐다. 1889-1890년 사이에 적절하지 않은 규모로 실시된 위생 환경 조사에서는 외딴 마을의 노동 환경이 은폐됐다는 점을 조금은 벗겨냈다. 당시에 대부분 노동자들은 거주할 공간이 없어 막사가 제공되더라도, 위생적인 부분이 매우 형편 없었다. 움막들도 매우 많았고, 습기, 과밀, 추위, 어둠, 숨 막히는 분위기로부터 괴로워하는 양치기들도 거주했다. 제공되는 음식들도 불만족스러웠다. 노동 시간은 12시간 30분-15시간으로, 대규모 산업에서 11-12시간보다 훨씬 더 길었다. 여름에는 하루 중 매우 더운 시간대 휴식은 예외고, 뇌 질환 사례도 빈번했다. 기계 작업은 직업적인 분업과 '단'을 통(드럼)에 넣는 노동자와 무겁게 들어올리는 노동자들도 있었으며, 한 두 시간마다 교대하는 위험한 노동을 하거나, 여성들은 짚을 실어 모으거나, 소년들은 짚을 치웠고, 3-5명 일꾼들은 짚을 바구니(곤돌라)에다 쌓아뒀다. 시 지역 전체로는 탈곡에 종사하는 사람 수가 20만 명이 넘었다. 테자코프는 농업 작업에서 위생 조건에 대해 농부 노동이 즐겁고, 건강한 직업이라는 원시적인 인식의 의견으로, 자본주의가 농업을 지배하던 시대에는 타당하지도 않았고, 농업에 기계가 도입되면서 농업 노동에 따른 위생 조건은 개선되지도 않고, 더욱 악화됐다. 기계로부터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던 노동 문화가 농업 분야에서도 도입되어 농촌 인구 사이에서 직업병과 수 많은 심각한 부상들을 초래했다. 기근과 쥐통(콜레라)과 같은 위생 조건에 대한 조사에 따라 노동자들을 등록하거나, 위생 감독을 받으며, 저렴한 저녁 식사를 제공하면서 의료 및 식량 창고를 조직하기도 했다. 조직 규모가 아무리 미미하고, 위태롭더라도 농업에 자본주의 추세를 보여주는 역사적 사실도 있었다. 헤르손 시 지역 의사 대회에서는 실무자들이 수집한 통계를 기반으로 제안됐다. 의료 및 식량 창고의 중요성과 위생 조건을 개선하고, 활동을 확대하여, 노동 가격과 가격 변동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는 노동 교환소 특성을 부여했다. 상당한 노동자를 고용하는 모든 대규모 농장에서는 위생 검사를 확대했다. 산업 시설과 마찬가지로, 농업 기계 사용과 사고 등록을 규제하는 엄격한 규정을 발행했다. 노동자들의 보상 권리와 더 질이 좋고, 저렴한 증기 운송 수단의 제공 문제를 제기하고자, 제5차 러시아 의사회 젬스트보, 헤르손 젬스토보 의료 및 위생 조직 활동에 대한 주의를 환기하는 결의안가 통과됐다. 그러나 인민주의 경제학자들은 노동 용역을 이상화했으며, 자본주의 발전을 외면하고 말았다. 인민주의자들은 노동자 이주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태도를 가졌으며, 지역 고용을 더 선호했다. 그렇다면 인민주의자 관점에서는 어떻게 기록했을까. 농민들은 일자리를 찾아떠났지만, 경제적인 관점에서는 과연 유익했을까. 각 농민 개인에게 유익한 게 아니라, 국가 경제적으로 농민 전체에게는 얼마나 유익했을까. 순전히 불리한 체류로부터 일자리는 관념적인 경제로부터 겉보기에만 충분해 보였다. 인민주의자들의 이론과 별개로, 노동자들의 '체류'란 노동자들에게 경제적인 이점만이 아니라, 발전으로 간주될 수 있다고 내세웠다. 그러나 대중 관심을 모으려면 외부 일자리를 가까운 지역의 직업으로 대체하기 보다는, 이주를 가로막는 모든 장애물을 제거하거나, 이주를 모든 면에서 간편하게 하고, 노동자들의 이동에도 필요한 모든 조건을 개선하면서, 비용을 절감하도록 집중해야만 한다. 왜냐하면, 노동자들은 보다 '순수한 경제적 이점'과 '순수한 경제적인 방식'을 얻고자 하기 때문이다. 구직자들은 임금이 더 높거나, 더 유리한 곳으로 이동한다. 더 높은 수준에서만 생각하는 국가 경제적인 관점을 지닌 사람들은 정작 이와 같은 주장을 너무나 자주 잊었다. 이러한 체류는 구속된 고용 형태와 노동 용역을 파괴한다. 예전에는 이주가 거의 발달하지 않았을 때, 남부지에서는 노동자 고용 제도를 쉽게 이용했다. 북부 지방으로 농촌 관리들의 대리인을 파견하거나, 북부 지방 대리인들에게 세금 체납자들을 매우 불리한 조건으로 고용했다. 따라서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람들은 자유 경쟁에 따른 이점을 누렸지만, 일자리를 구하려는 사람들은 그렇지 못했다. 농민들은 노동과 노예 생활에서 벗어나, 광산으로 피신하는 사례들도 있었다. 따라서 체류에 따라 농업인들은 인민주의자들과 손을 맞잡았다.
S. 코롤렌코는 노동자 이주에 반대하던 지주들의 의견만을 인용하고는, 외부 고용에 반대하는 숱한 주장들만 제시했을 뿐이었다. '방탕하고', '무절제하며', '취기어린', '부정직하며', '가족을 떠난 부모의 감독을 피하려는 노력'과 같이 '즐겁고, 밝은 삶에 대한 갈망'만이 남겼다. 러시아 속담에서는 '한 곳에 머무른 돌에는 이끼가 쌓이지만, 한 곳에 머무르는 사람에게는 반드시 재산을 축적하고, 이를 소중히 여긴다.'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한 곳에 얽매여 오랫동안 거주한 사람에게도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는 매우 현저하게 보여준다. S.코롤렌코는 특정 시 지역을 떠나는 너무 많은 노동자들이 있었으며, 발생하는 노동자 부족 현상은 다른 시 지역에서 온 노동자들의 유입 때문에 메워진다는 현상에 특히 불만을 품어댔다. 보로네시 시 지역에 대해 S. 코롤렌코는 많은 수의 농민들도 증여 토지 할당을 소유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비교적 물질적으로 열악하거나, 너무나 빈약한 재산에 대해 걱정하지 않는 그러한 농민들은 맡은 의무마저 이행하지도 않거나, 자택에서 많은 일자리를 찾을 수 있을 때조차도 다른 시 지역으로 더 쉽게 떠난다. 이와 같은 농민들은 부족한 할당에 대한 애착도 없고, 농기구조차 없어서, 더 쉽게 집을 버리고, 고향 마을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가서 재산을 찾는다. 그들은 지역 일자리에 대해 걱정도 없다. 왜냐하면, 그들에게 강제할 수 있는 게 무엇도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체류'(Peregrination)와 가까운 지역적인, 직업적인 선호를 가진 사람들에게도 생각할 거리를 제공해야만 한다. '체류'는 인구 이동성을 창출한다. 체류는 농민들에게 모아진 '이끼'를 막고자 하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요인이고, 농민들에게는 이미 충분히 많은 이끼가 씌워져 있다. 인구가 이동하지 않고는 발전할 수 없다거나, 마을 학교로부터 남북부 농업과 산업, 수도와 오지라는 서로 다른 관계와 질서에 대한 독립적인 지식을 사람들에게 무엇인가 가르칠 수 있다는 생각은 지극히 순진하다. 체류 비용은 재산, 가재도구 판매, 토지 저당, 물건이나 의류를 맡기는 전당포, 사제, 지주, 지역 쿨라크 등에게 노동으로 갚을 돈을 빌릴 방법으로 조달된다. 샤호프스코이는 농업 노동과 비농업 노동 형태에 대해 언급했다. 수천 척 뗏목이 드네프르 강을 따라 하류 마을로 떠내려간다. 각 뗏목에는 15-20명 정도 뗏목꾼 노동자들이 타고 있다. 대부분은 오렐 지역 출신 벨라루스인과 대러시아인이다. 항해 기간 동안에는 무엇도 얻지 못한다. 주로 추수와 탈곡에 종사하는 데 기대를 건다. 풍년이 들 때만 결실을 맺는 기대였다. 농장 직원 보고에 따르면, 풍년 수확철에는 일꾼들이 노동력에 대한 가격을 제시하더라도, '내가 요구하는 대로 하라.'라는 말만 반복한다. 수확철에는 자신들의 높은 노동력에 따른 가격을 받을 수 있을 거라 기대하기 때문이다. 작물이 나쁘고, 노동 가격이 떨어지면, 쿨라크 고용주는 계약이 만료되기 전에 노동자를 해고하고, 노동자는 같은 지역에서 일자리를 찾거나, 시골을 떠돌아 다니며, 계절감을 잃어간다. 쿠반 지방에서 '카자크'도 동일하다. 카자크는 개인적으로든, 공동체로든, 노동 가격을 강제로 낮추고자 모든 방법을 동원한다. 쿠반 지방 이주 노동자들은 식량을 줄이고, 작업 할당량을 늘리고, 임금을 삭감하고, 노동자 여권을 보관하고, 특정 농부가 노동자를 고용하기를 금지하는 공개 결의안을 채택하고, 벌금이나 특정 비율 이상으로 고용하는 등이다. 탈곡은 대부분 고용된 노동자들로부터 이뤄지며, 러시아 전역에서도 탈곡 작업에 투입된 노동자들 수는 많다. 테자코프는 헤르손 시 지역에서 6개 지방자치 단체 의회 가운데 4개의 노동자 감독 조직 문제에 대한 견해를 밝혔고, 4군데에서 해당 제도에 대한 반대 의사를 밝혔다. 지역 지주들은 지방자치 단체 이사회가 노동자들을 완전하게 게으른 사람으로 만든다고 비난했다. 마을 공동체와 농민을 유리한 조건으로 고용하고자, 서기와 마을 원로들에게 지불할 인두세, 수수료 목록까지 있을 정도였다. 이러한 인민주의자들의 편견 때문에 테자코프에 따르면, 헤르손 시 지역에서는 타우리다 시 지역으로 많은 지역 노동자들이 이주했지만, 이전에 시 지역에서는 심각한 노동력 부족이 있었다. 고용주들도 고향 일자리를 버리고, 타우리다에서 일자리를 찾는 위험을 감수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노동자들은 자신들에게 무엇이 유익한지를 몰랐기 때문일까. 매우 유익한 고용 조건을 추구할 수 있는 조건이 없었기 때문일까. 타우리라 시 지역에서는 농업 노동자 임금이 헤르손 시 지역보다 높았기 때문에 농민이 등록되어 할당 받은 곳에서 일하고 살아야만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일까. 지벤셰브(Zveginstev) 위원회는 1894년, 내무부 젬스트보 부서 후원이 설립되어 마을 외부 고용으로부터 질서를 도입했으며, 농업 노동자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조치를 수립했다.
4. 상업 농업 성장의 배경
4-1. 상업적 축산업과 낙농업의 발전
4-1-1. 개혁 이후 러시아 농업 생산 및 상업
유럽 러시아 곡물 생산 통계는 상당한 수확 변동으로 인해 개별 기간, 연도 통계가 전혀 쓸모 없었다. 따라서 여러 기간과 전체 연도 통계를 가져왔다. 1860년대에는 1864-1866 통계, 1870년대에는 전체, 10년 동안 농무부 수익, 1880년대에는 1883-1887년, 5년의 통계다. 1883-1887년, 5년 통계는 1880년대 전체를 대표하며, 1880-1889년 10년 정도의 평균 수확량은 1883-1887년 5년보다 다소 높았다. 1890년대에는 변화 추세를 판단하고자, 1885-1894년 통계를 사용했다. 1905년 통계는 현재 상태를 판단하기에도 매우 적합했다. 1905년 수확량은 1900-1904년으로, 5년 평균보다는 약간 낮았다. 1890년대까지는 개혁 이후 시대에 곡물, 감자 모두 생산이 증가했다. 왜냐하면, 농업 노동 생산력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순수확량 크기는 파종 면적보다도 빠르게 증가해 갔다. 같은 기간 동안 인구는 농업에서 상업 및 산업으로 전환됐고, 농민은 유럽 러시아 국경을 넘어 이주해왔기 때문에 농업 생산에 종사하는 인구 비율은 꾸준하게 감소했다. 그리고 상업 농업이 발전했다. 인구 1인 당 수확되는 곡물 양이 증가했으며, 인구 사이에서 사회적인 노동 분업은 확대됐다. 상업 및 산업 인구 수도 증가했다. 농업 인구는 농촌 기업가와 농촌 무산층으로 나뉜다. 농업 자체적으로는 전문화가 확대되어, 판매용으로 생산된 곡물 양은 국가로부터 생산된 총 곡물 양보다도 훨씬 빠르게 증가한다. 자본주의적인 성격에서 총 농업 생산에 따른 감자 점유율은 현저하게 증가한다고 풀이할 수 있다. 감자 재배 면적 증가로는 근채 작물 도입과 같은 농업 기술 개선, 농산물, 증류 및 감자 전분 제조와 같은 기술적 가공 증가 등이었다. 농촌 기업가 계급 시각은 상대적인 초과 가치 생산에 따른 노동력 유지 비용의 저렴화, 인민 식량 악화였다. 1885-1894년, 10년 동안 통계에서는 농민 수탈을 크게 심화시킨 1891-1892년 위기에서도 곡물 생산량과 모든 작물 수확량을 상당히 감소시켰다. 그러나 곡물은 감자로 대체되는 과정에서도 강력하게 진행됐고, 수확량 감소임에도, 1인 당 감자 생산량은 증가했다. 1900-1904년, 지난 5년 동안에 농업 생산량은 증가했고, 농업 노동 생산력도 향상됐으며, 감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증가했지만, 노동 계급 처지는 오히려 더 악화됐다. 상업 농업 발전에 따른 농업 전문화도 나타났다. 모든 작물 생산에 대한 대량의 총체적인 통계는 매우 일반적인 지표만을 제공했으며, 각 지역에 따른 고유한 특성은 사라졌다. 많은 농업 지역에 따른 분리 현상은 러시아 개혁 뒤로 농업에서도 매우 특징 가운데 하나였다.「러시아 산업에 대한 역사 통계 조사, 상트페테르부르크, 1883」에서는 농업 지역 분포도를 살펴볼 수 있다. 아마 지역, 목축업이 우세한 지역, 특히 낙농업이 상당히 발달한 지역, 곡물 작물이 우세한 지역, 삼포 지역과 개량된 휴경지 또는 다포지 초지 제도, 소위 대초원 지대 일부소위 특수 곡물 생산, 사탕무 지역, 증류 목적인 감자를 재배하는 지역 등이었다.
지시된 경제 지역에서는 비교적 최근에 유럽 러시아로부터 발생해서 매년 점점 더 발전하고 더욱 분리됐다. 따라서 농업에 따른 전문화 과정을 연구하고, 많은 형태로 상업 농업 발달을 지켜보거나, 자본주의 농업이 출현하는지, 농업 자본주의를 농민과 지주 농업에 대한 일반 통계와도 분석하면서 이와 같은 성격을 가지는지도 확인해야만 했다. 목적으로는 상업 농업에 따른 주요한 영역을 설명하는 데 국한해도 충분했다. 그러나 개별 지역 통계를 검토하기 이전에, 인민주의 경제학자들은 개혁 이후 시대에 특징적인 성격으로, 상업 농장이 발전했다는 점을 회피하고자 갖은 애를 다 썼다. 그들은 곡물 가격 하락이 농업을 전문화하고, 농업 생산물의 교환 영역으로 끌어들인다는 점을 무시했다. 특히 카블루코프,『수확과 곡물 가격의 영향력』에서는 모두 국물 가격이 현물 경제 및 자연 경제에서는 아무런 뜻도 없다는 자명한 원리를 되풀이했다. 카블루코프는 상품 생산이라는 일반적인 조건 아래에서 자명한 원리가 본질적으로 그르다고 지적했다. 카블루코프는 시장에 놓여진 곡물이 소비자 경영 및 자가소비용으로 재배되기보다는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하지만, 재배하고 있는 곡물을 다른 작물로 바꾸면, 소비하는 경영에도 이익이기 때문에 곡물과 시장 가격이 생산 비용과 일치하지 않게 될 때는 시장 가격에서도 의의를 지닌다고 말했다. 그리고 카블루코프는 이를 도무지 고려할 수 없다고 말했다. 다른 작물 변경은 일정한 조건에서만 가능하다고 봤기 때문이다. 카블루코프는 러시아 개혁 이후 시기 동안에는 농업 전문화 및 농업으로부터 인구 전환의 필요조건을 계속해서 창출한다는 점을 은근슬쩍 회피했다. 당시 러시아 기후에서는 식량 가치에 있어 곡류에 필적하는 작물을 발견할 수도 없었다. 그러므로 카블루코프는 매우 독창적인 문제를 단순하게 회피했다. 그렇다면 다른 작물들의 판매 및 저렴한 곡물 구매를 다룰 때, 다른 작물들의 식량 가치 문제와는 어떤 관련이 있는가. 인민주의 경제학자들은 소비형 곡물 경영에서 자신들의 존재에 따른 '합리적인' 근거를 갖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카블루코프의 지적대로라면, '합리적인' 현물 경제는 없다. 인민주의 경제학자들도 1871-1878, 10년 동안 8년 간의 수익에서도 매우 잘못된 결론을 도출했다. 1883-1887년까지 인구는 1885년 인구를 기준으로 계산했고, 증가율은 1.2%로 가정했다. 주지사 보고서와 농무부 보고서 자료 차이는 미미한 수준이었다. 1905년 인구는 푸드(Pood)를 체트비트(Chetvert)로 각 부셸 당 약 6부셸로 환산해서 산출했다. 따라서 인민주의자들이 농업 생산에 종사하는 사람 수가 감소했다고 가정하고, 근거가 전혀 없다는 주장은 완전하게 틀렸고, 오히려 반대였다. 1인 당 순감자 수확량으로는, 1864-1866년과 1870-1879년 사이에 예외 없이, 유럽 러시아 모든 지역에서도 증가했다. 1870-1879, 1883-1887년 사이에는 11개 지역 가운데 7개 지역, 발트해, 서부, 산업, 북서부, 북부, 남부, 대평원 및 대초원 , 하류 및 트란스볼가 지역에서도 증가했다. 「cf. 농업 통계 정보 제7권, 상트페테르부르크, 1879, 농업부」에 따르면, 1871년 유럽 러시아 50개 시 지역에서, 감자 재배 면적은 790,000데실로, 1881: 1,375,000데시아틴, 1895: 2,154,000데시아틴이었다. 따라서 15년 동안 55% 증가했다. 1841년 감자 수확량을 100%으로 잡았을 때, 이후 연도 수치는 1861: 120%, 1871: 162%, 1851: 298%, 1895: 530%이었다.『러시아 농업과 임업』을 따라 담배 지역도 첨가됐다. 세묘노프(D.Semyonov), 포투나토프(A.Fortunatov)로부터 작성된 분포 지도에서는 주요 작물에 따라 지역으로도 표시해뒀다. 호밀, 귀리, 아마 지역에서는 프스코프 및 야로슬라브 주와 호밀, 귀리, 감자 재배 지역으로는 그로드노 및 모스크바 주 등이었다.
4-1-2. 상업용 곡물 재배 지역
상업용 곡물 재배 지역으로는 유럽 러시아에서 남동부 외곽 지역, 노보로시야와 트란스볼가 지역, 대평원 주들이 포함된다. 해당 지역에서는 농업이 드넓은 지역적 특성과 판매용 곡물 생산에서도 큰 규모를 자랑한다. 특히 헤르손, 베사라비아, 타우리다, 돈, 예카테리노슬라브, 사라토프, 사마라, 오렌부르크, 8개 주에서는 1883-1887년 사이에 인구 10,387,000명이 귀리를 제외하고는 곡물 순작물로 41,300,000체트베르트(Chetvert)에 달했다. 이는 유럽 러시아 50개 주에서 총 순작물의 1/4이 넘는 수치였다. 해당 지역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작물로는, 주요한 수출 곡물인 밀이었다. 다른 지역과 비교했을 때, 농업은 빠르게 발전했으며, 시 지역으로는 이전에 선두를 달리던 중앙 흑토 지대를 뒤로 밀어냈다. 따라서 곡물 생산 주요 중심지가 이동했다. 1860-1870년대에는 중앙 흑토 지방이 다른 지방보다도 우위를 점했지만, 1880년대에는 대평원과 하류 볼가 지방에게 우선 순위를 내주었다. 흑토 지방에서 곡물 생산량은 감소했다. 농업 생산이 매우 발전했기 때문에 개혁 이후 시기에는 외각 대평원 지역이 오랫동안 정착해 온 유럽 러시아 중부 지역의 식민지였다. 풍부한 자유 토지는 많은 수의 정착민들을 유치시켰고, 작물 재배 면적을 발 빠르게 늘려갔다. 상업용 작물에 따른 폭 넓은 개발로부터 식민지는 중부 러시아, 유럽 곡물 수입국과 긴밀한 경제적 관계를 맺었다. 중부 러시아에 따른 산업 발전과 외곽 지역에서도 상업 농업 발전은 불가분했으며 시장을 형성했다. 산업 운영 방식은 주로 남부에서 곡물을 수입해서 공장 생산물을 판매하고, 식민지에게는 노동력, 소규모 산업가의 외곽 지역 이주에 따른 장인, 목재, 건축 자재, 도구 등과 같은 생산 수단을 공급했다. 사회적인 분업 덕분에 대평원 지역에서 정착민들은 농업에만 전념했고, 특히 해외 시장으로부터 긴밀하게 연계해서, 지역 경제 발전은 빠르게 진행됐다. 상업 농업이 발전함에 따라 인구 산업화, 도시 발전, 대규모 산업 중심지도 빠르게 진행되어 형성했다. 이와 같은 지역에서 상업 농장의 발전은 농업 기술 발전 및 자본주의적인 관계에서도 밀접했다. 이전에는 지역 농민들이 경작하는 면적이 얼마나 넓으며, 마을 공동체 안에서는 자본주의적인 관계가 얼마나 급격하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봤다. 특히 이와 같은 지역에서는 기계 사용이 급속하게 발전했고, 외곽 지역의 자본주의적인 농장들은 대규모로 임금 노동자를 끌어들였으며, 농업에서도 전례 없는 규모로 조성된 거대한 농장들은 임금 노동자들과 폭 넓게 협력을 이루게 됐다. 외곽 대평원 지역에서 사유지는 엄청난 규모로 유명했으며, 대규모 농업이 이뤄졌다. 사마라 시 지역에서는 8,000데시아틴, 10데시아틴, 15,000데시아틴의 경작지를 언급했다. 타우리다 시 지역에서는 팔츠파인은 200,000데시아틴, 모르드비노프는 80,000데시아틴을 소유했고, 두 사람은 각자 60,000데시아틴을 소유했고, 많은 소유주는 10,000-25,000데시아틴을 소유했다. 1893년, 팔츠파인의 건초를 생산하는 기계는 1,100대로, 그 중에서 1,000대는 농민 소유였다. 1893년 헤르손 현에서는 3,300,000데시아탄이 경작됐고, 1,300,000데시아틴은 개인 소유였다. 오데사 지역을 제외한 5개 지역 현에서는 중규모 농장 405개인 1,000-2,500데시아틴로, 각각 2,500데시아틴 이상의 농장 226개가 있었다. 1890년, 526개 농장 자료에 따르면, 농장에서는 35,514명의 노동자를 고용했다. 농장 당 평균 67명의 노동자를 고용했고, 16-30명은 일용직 노동자였다. 1893년, 엘리자베트그리드 지역에서는 100개 정도의 대규모 농장에서 11,197명 노동자를, 농장 당 평균 112명을 고용했다.
4-1-3. 상업적인 축산 지역, 낙농업 발전 자료
러시아 농업 자본주의에서 또 다른 매우 지역으로, 가축 생산물이 주된 중요한 지역으로 넘어가보자. 해당 지역에서는 발트해와 서부 시 지역 외에도 북부 산업 지역과 일부 중부 시 지역, 랴잔, 오룔, 툴라, 니즈니노브고로드 일부를 포함한다. 유제품 생산을 위해 가축을 사육하고, 농업의 전반적인 특성은 같은 종류의 더 가치 있는 시장 생산물을 더 많은 양으로 얻는 데 맞춰진다. 분뇨로부터 축산이 유제품을 위한 축산으로 현저한 전환도 일어났다. 특히 지난 10년 간 눈에 띄는 변화였다. 통계에 따른, 러시아에서 많은 지역을 설명하기는 매우 어렵지만, 중요한 점은 뿔소의 총 수가 아니라, 젖소의 수와 품질이다. 100명의 주민 당 가축 총 수를 살펴보면, 러시아 외곽 대평원 지역에서 매우 컸고, 비흑토 대지대 지역에서 매우 작았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 수도 줄어들었다. 따라서 로셔가 언급했던, 인구 단위 당 가축 수는 대규모 가축 농업 지역에서 매우 컸다. 그리고 집약적인 가축 농업, 특히 낙농업에 관심을 주로 뒀다. 계산한 대략적인 수치에 국한했을 때는 현상에 대한 정확한 추정만 해서는 안 되며, 각 지역에 따른 낙농 발전 정도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공장 통계에 따른 1890년, 치즈 체조 산업은 평균값과 통계를 보충한다. 이는 특수한 낙농 지역의 등장, 우유 판매 및 우유 가공 발전에 따른 상업적인 농업, 젖소 생산력의 증가였다. 낙농업 발전을 판단하고자, 버터 생산과 치즈 제조에 대한 자료만 활용했다. 해당 산업은 1795년, 18세기 말 러시아에서부터 시작됐다. 지주 소유의 치즈 제조는 19세기에 발전했지만, 1860년대에 심각한 위기를 겪었고, 농민과 상인들의 치즈 제조가 시작됐다. 유럽 러시아에서는 50개 시 지역에 치즈 제조 시설이 있었고, 25년 만에 생산량은 10배 이상 증가했다. 통계는 극히 불완전했기 때문에 현상 역학만으로 판단했다. 볼로그다 시 지역에서는 낙농업 개선이 1872년, 야로슬라블, 볼로그다 철도가 개통되면서 시작됐다. 이후로 농부들은 가축 개량을 위해 노력했고, 풀 재배를 도입했고, 개량된 농기구를 구입해서 낙농업을 순전히 상업적인 기반 위에 올려 놓고자 노력했다. 야로슬라블 시 지역에서는 1870년대, 소위 치즈 제조 협동조합(아르텔)의 토대를 마련했으며, 치즈 제조는 단지 '아르텔'이라는 명칭을 유지하면서, 사기업을 기반으로 삼아 계속해서 발전했다. 치즈 제조 협동조합은 공장 및 사업장 명부로부터 임금 노동자를 고용하는 시설을 지배했다. 『묘사』의 저자는 공식 보고서에 따라 치즈와 버터 생산량을 295,000루블이 아닌 412,000루블로 추산했다. 신선한 버터와 치즈 생산량은 1,600,000루블이었고, 정체 버터와 연질 치즈를 더하면, 발트 3국과 선부 지방을 제외하고 4,701,400루블이 된다. 후기로는「농업 고용 노동부」 간행물에서도 산업 지역 전반에 대해 기록했다. 낙농업 발전으로부터 지역 농장 지위도 온전하게 변했으며, 간접적으로는 농업 개선에도 기여했다.
지역 낙농업은 매년마다 발전했다. 트베리 지역에서는 사유지 지주와 농민 모두 가축 사육 방법을 개선하려는 경향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축산 소득은 일천만 루블로 추산됐다. 야로슬라블 시 지역에서는 낙농업이 매년마다 발전했는 데, 치즈와 버터 제조는 산업적인 성격을 띠었으며, 우유와 같은 유제품은 이웃과 농민들로부터 구매했다. 전체 소유주 회사가 운영하는 치즈 공장도 볼 수 있었다. 야로슬라블 시 지역에서 다닐로프 지역 통신원에 따르면, 사유지 소유 농업의 일반적인 추세는 3-5포 또는 7포식 윤작으로 전환해서 밭에다 풀을 파종했다. 사용하지 않는 토지를 갈아엎었고, 낙농업이 도입되어 가축을 더 엄격하게 관리하고 개선했다. 스몰렌스크 시 지역에서 1889년, 치즈와 버터 생산량은 1890년 통계에 따르면 3만 5천 루블이었으며, 주지사 보고서에 따르면 10만 8천 루블로, 1894년 지역 보고서에 따르면 50만 루블로 추산했다. 총 389개 공장이 있었고, 실제로는 훨씬 더 많았다. 볼로그다 젬스트보 위원회 조사에 따르면 볼로그다 지역에서만 224개 공장이 있었다. 생산은 3개 지역에서 이뤄졌고, 부분적으로 4번째 지역도 진출했다. 실제로 인용된 수치로부터 몇 배를 곱해야만 하는지를 잘 따져보아야 판단할 수 있었다. 버터와 치즈 제조 시설 수로는『러시아 농업 및 임업』에 따르면 수 천 개에 달한다는, 전문가의 견해는 265개라는 정확한 수치보다 사실적이기는 했다. 특수한 유형의 통계는 상업적인 농업에서 분명하게 큰 발전을 이뤘다. 자본주의 발전은 생활 면에서도 기술적인 변형을 동반했다. 『농업과 임업』에 따르면, 치즈 제조 분야는 지난 25년 동안, 아마도 러시아가 다른 어떤 나라들보다 더 많은 일을 해냈다. 이는 블라진(Blazhin), 「유제품 농업에서 기술적 발전」에서도 언급됐다. 주요한 변화로는 우유 크림을 침전시키는 오래된 방법에서 원심 분리기로부터 크림을 분리하도록 만드는 기술로 대체됐다. 원심 분리기는 대기 온도에 관계 없이도 작업을 수행했으며, 우유에서 버터 수율을 10% 증가시켰고, 제품 품질을 개선했으며, 버터 생산비를 줄였다. 기계는 노동력과 공간, 얼음과 생산 도구가 덜 필요했으며, 생산이 집중됐다. 대규모 농민 버터 생산 공장들도 발전하면서부터 하루에도 약 100kg(500푸드) 가량의 우유를 생산했다. 우유가 가라앉을 때까지는 물리적으로는 불가능했다. 생산 장비 및 영구 보일러, 탈수기(스크류 프레스), 저장고 등이 개선됐고, 우유 크림 발효에 필요한 젖산균의 순수 배양을 제공하는 세균학의 도움을 받아 생산이 이뤄졌다. 따라서 곡물과 축산이라는 두 가지 상업적인 농업 분야는 시장 요구로부터 생겨나 기술적인 개선으로부터 주로 시장에서 매우 쉽게 변화했고, 특히 중요한 작업으로는 상업적인 곡물 농업로 수확, 탈곡, 키질과 상업적인 축산 분야에서 축산물에 따른 기술적인 가공에도 영향을 미쳤다. 가축 사육에 대해서는 자본을 당분간 소규모 생산자에게 맡기는 게 더 유리했다. 소규모 생산자는 '성실하게' 자신들의 가축을 돌보았고, 우유 생산 기계를 돌보는 매우 힘들고, 고된 작업의 대부분을 받아들였으며, 자본으로부터 우유에서 크림을 분리했을 뿐만이 아니라, '성실하게' 우유 크림을 분리해내고, 가난한 농민 자녀들에게 우유를 '분리시키는' 최선의 개선 및 방법을 보유하고 있었다. 국내 다른 지역에서 목축업은 다른 종류였다. 특히 최남단, 남동부 지역에서는 매우 폭 넓은 형태로 목축업, 쇠고기를 위한 소 비육이 확립됐다. 더 북쪽에서는 뿔소가 짐을 나르는 가축으로 사용했다. 마지막으로, 중부 흑토 지대에서는 소가 분뇨 제조 기계로 사용됐다. V. 코발레브스키, I. 레비츠키,「유럽 러시아 지역에서 북쪽과 중앙 요지(벨트)에 따른 농업 기록의 대략적인 묘사」에 따르면 이 책의 저자들은 대다수 농업 전문가들과 마찬가지로, 사회 · 경제적인 부분은 관심을 보이지도 않았다. 따라서 그들은 농장이 더 수익성이 높기 때문에 인민 복지와 영양가를 보장한다는 잘못된 결론을 도출하고 말았다.
4-2. 지주 농업 경제
지주 소유지 낙농업이 농업의 합리화로 이어진다는 농학자와 농부들의 증거가 있다. 라스포핀(Raspopin)은 젬스트보 통계를 분석한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뒷받침했다. 한편으로, 축산업, 낙농업 조건에서 노후화된 농장 수, 농업 강도에 따른 상호 의존성은 분명했다. 젖소 사육, 낙농업과 젖소 사육이 매우 발달한 모스크바 시 지역 지역에서는 노후 농장 비율이 매우 낮았고, 고도로 발달된 밭 경작지를 갖춘 농장 비율이 매우 높았다. 모스크바 시 지역 전역에서는 경작지가 줄어들었고, 초원과 목초지로 바뀌면서 곡물 윤작 대신에 다포식 윤작이 자리를 잡게 됐다. 곡물이 아닌 사료용 풀과 젖소가 모스크바 시 지역 뿐만이 아니라, 모스크바 산업 지구 전체에서도 우세했다. 버터 생산과 치즈 제조 규모로는 농업에서 완전한 혁명을 증명한다. 농업은 기업가적인 농업으로 전환됐고, 기존의 틀에서도 벗어났다. 자본주의는 농업 생산물 가운데 하나를 자신에게 종속시키고, 농업의 다른 모든 측면들은 주요한 생산물로 맞춰진다. 젖소 사육에서는 풀 재배, 삼포 체계에서 다포 체계로의 전환을 초래했다. 치즈 제조 과정에서도 발생하는 부산물은 시장에 내놓을 가축의 살을 찌우는 데 사용됐다. 우유 가공 뿐만이 아니라, 농업 전체가 상업적인 기업이었다. 치즈 생산, 버터 제조에 따른 영향력은 생산이 이뤄지는 농장에서만 국한되지 않았다. 주변 농민과 지주로부터 우유를 사들이는 경우도 많았다. 주어진 자본으로부터 우유를 구매하여, 소규모 농가들까지 자신에게 종속시켰다. 특히 1870년대에 널리 퍼진, 소위 '통합 낙농업' 조직화는 더욱 그러했다. 대도시나 인근에서 조직된 시설에서는 철도로부터 운반된 막대한 양의 우유를 가공했다. 우유가 도착하는 즉시, 우유 크림은 탈지유로 가공되어 신선하게 판매됐으며, 탈지유는 저소득층 구매자에게는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됐다. 특정 품질 농산물을 확보하고자, 이와 같은 시설들은 공급업체와 계약을 맺거나, 가축에게 사료를 공급할 때 특정 규칙을 준수하도록 의무화한다. 대규모 시설에 따른 중요성을 쉽게 알 수 있었다. 저소득층 도시 거주자에게 공공 시장을 장악하고, 농촌 기업가들을 위해 농업을 확장하고 개선할 수 있는 큰 추진력을 획득했다. 대규모 산업은 특정한 품질에 따른 생산물을 요구하거나, '정상적인' 기준에 미치지 못한 소규모 생산자를 시장에서 몰아내거나 또는 대부업자 및 고리대금업자에게 넘겨주면서 일정한 수준이 맞춰졌다. 또한 우유 품질에 따른 지방 함량 및 등급 분류도 같은 방향으로 진행됐다. 기술자들은 등급 분류에만 매우 열심이었고, 온갖 종류로 된 유당 농도계 등을 발명했으며, 전문가들은 열렬하게 지지했다. 자본주의 발전으로부터 통합 유제품 회사 역할은 상업적인 곡물 농업에서 '승강기' 역할과 매우 비슷했다. 이러한 '승강기'는 곡물 품질에 따라 분류하며, 개별적이지 않고 일반적인 제품으로 전환했다. 한 변호사도 말했지만, '교환할 수 있고, 대체할 수 있는 재화로 전환했다.', 처음으로 재화에 따른 교환으로 완전하게 적응했기 때문이다. 미국 곡물 무역에 대한 M. 셰링(M.Sering)의 「토지 소유권과 농업」이라는 논문에 따르면, 이러한 승강기는 상품 곡물 생산에서도 강력한 자극을 주었고, 품질에 따른 등급을 도입해서 기술 개발을 촉진했다. 이와 같은 체계로는 소규모 생산자에게 이중 타격을 줬다. 대작물 파종자로부터 고품질 곡물을 표준으로 산정하고 합법화해서, 가난한 농민들에게는 질 낮은 곡물 가치로 크게 떨어뜨리고, 대규모 자본주의 산업 방식으로 곡물 등급 분류 및 저장을 조직했다. 대농장주들에게는 곡물 구매 비용을 절감하거나, 곡물 판매를 용이하도록 만들어서 간소화했다. 자연적(가부장적)이고, 원시적인 수레 판매 방식을 고수한 소농장주들은 부농과 고리대금업자 수중에 완전하게 맡겨졌다.
최근 몇 년 간, 급격하게 발전한 승강기 방식의 건설은 자본주의적인 통합에 따른 낙농장 등장과 발전만큼이나 곡물 산업에서도 자본의 큰 승리이자 소농장주의 몰락을 뜻한다. 상업적인 목축업 발전에서도 러시아 내에서도 국내 시장을 분명하게 창출했다. 삼포 체계에서 다포 윤작으로 전환됨에 따라 우유 가공 장비, 건물, 가축 우리, 생활 면에서 필요한 개량된 농업 도구 등 생산 수단에 대한 국내 시장이 형성됐고, 산업적인 기반 위에 놓인 목축업은 분뇨를 위해 기른 목축업보다 훨씬 더 많은 노동자를 필요로 했다. 산업 및 북서부 시 지역, 낙농업 지역에서는 실제로 많은 농업 노동자를 유치했다. 매우 많은 사람들은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야로슬라블, 블라디미르 시 지역에서 농업 일자리를 구하거나, 노브고로드, 니즈니 노브고로드 및 기타 흑토 지대가 아닌 다른 시 지역으로 가는 사람들은 적기는 했지만, 상당 수였다. 모스크바와 다른 시 지역에서도 농무부 통신원에 따르면, 실제로 사유지 소유 농업은 주로 다른 지역 노동자들로부터 수행됐다. 농업 시 지역에서는 대부분 중부 흑토 지대 지역에서, 일부는 북부에서 왔다. 산업 시 지역에서는 농업 일자리를 구하고자, 이주하는 농업 노동자들은 대량으로 지역을 떠난 산업 노동자들을 대신했다. 이는 매우 특징적인 현상인데, 매우 자본주의적이지 않은 중부 흑토 구베르니아 시에 따른 생활 수준과 노동자들에 따른 조건이 매우 자본주의적인 산업 시 지역보다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낮았고 열악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러시아에서도 보편적이었다. 모든 자본주의 국가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공업 노동자의 노동 조건이 농업 노동자의 노동 조건보다도 더 나았다. 농업에서는 자본주의에 따른 억압 이전에, 자본주의적인 착취 형태에 따른 억압으로 보완되어 농업에서도 공업으로 도피하기 때문에 공업 지역에서는 농업으로 이동이 전혀 없었고, 해당 지역에서는 이주가 전혀 없었다. 심지어 야로슬라블 시 지역에서는 소몰이꾼들, 블라디미르 시 지역에서는 자유인(코사크), 모스크바 시 지역에서는 토지 노동자라고 불리는 미숙련 농촌 노동자들을 폄하하는 경향까지 생겨났다. 가축 방목에는 여름보다는 겨울에 더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다. 농업 가공업에 따른 발전으로부터 설명되는 지역에서는 노동 수요가 증가하며, 연중 및 수년 간 더욱 균등하게 분포된다. 흥미로운 점으로 판단했을 때, 신뢰할 수 있는 자료로는 여러 해 동안 발생한 임금 통계를 들 수 있다. 해당 통계에서는 대러시아 및 소러시아 시 지역 평가를 제한해서 제시했다.
서부 시 지역에서는 특수한 사회적인 조건과 인위적인 인구 밀집에 따른 유대인 정착 지역으로 인해 제외했고, 발트해 시 지역에서는 자본주의가 매우 고도로 발전한 지역에서 발생하는 관계를 설명한다. 세 개의 주요한 배열표에서 첫 열의 연봉은 여름철 대비 임금 비율을 보여준다. 비율이 낮고, 여름철 임금이 연봉 절반에 가까울수록, 노동 수요는 일 년 내내 고르게 분포하며, 겨울철 실업률은 낮아진다. 매우 불리한 위치로는 노동 용역이 우세하고, 자본주의가 제대로 발전하지도 않은 지역은 오히려 중앙 흑토 지대 지역이다. 산업 지역, 낙농 지역에서는 노동 수요가 더 높으며, 겨울철 실업률은 더 낮았다. 또한 수년간 임금이 매우 안정적인 곳은 두 번째 열에서 나타나는 수확기 최저 임금과 최고 임금의 차이였다. 마지막인 파종기와 수확기 임금 차이는 비흑토 지대에서 매우 작았다. 노동자 수요는 봄과 여름에 더 고르게 분포된다. 발트해 지역에서는 비흑토 지대 지역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었지만, 이후 노동자들이 거주하는 수확량 변동 폭은 매우 넓은 대평원 시 지역에서 임금 불안정이 매우 컸다. 따라서 임금 통계에 따른 해당 지역은 농업 자본주의가 임금 노동에 대한 수요를 창출했으며, 수요를 연중으로 더욱 균등하게 분배했다. 이는 소규모 농업인이 대농장주에게 또 다른 유형으로 의존했으며, 농민에게 가축을 매수해서 지주 가축을 보충시켰다. 지주들은 직접 가축을 사육하기보다는, 손해를 보고 팔아야 할 필요에 이끌리는 농민들에게 가축을 사는 게 더 이익이 된다고 생각했다. 소위 수공예 가격에 구매해서 자신들의 작업장에다 직접 생산하기를 더 선호했기 때문이다. 소규모 생산자의 극심한 몰락은 현대 사회에서도 끊임없이 소비를 줄여야만 생존할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하며, V.V. 보론초프는 민중 생산을 옹호하는 주장으로까지 변질됐다. 해당 산업에서도, 매수자들은 수공예자들에게 완제품을 파산 직전에, 대농장들로부터 충분한 정도의 독립성마저 보여주지 않았다. 그러나 실제로 농민들은 농업 개선을 이루는 더 큰 능력을 보여준다. 독립성 부족으로 인해, 낙농업자들은 농민들의 가축을 사육하는 비용에서도,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가격으로 사들이는 경우도 많았으며, 일반적으로는 해당 비용에서 1/3을 넘지 않거나, 가끔씩 1/4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목축업자 상인 자본가들은 소농들을 완전하게 종속시켰으며, 노래나 부르는 소물이꾼으로 만들어내서 가축을 사육시켰고, 아내들을 그저 젖 짜는 여성으로 만들었다. 따라서 상인 자본에서 산업 자본으로 전환을 지연시키거나, 소규모 생산 지원마저 무의미해졌고, 생산자의 생활 수준은 농장 노동자보다도 더 낮아지게 됐다. 그러나 V.V. 보론초프는 농부가 가축을 돌보는 '열정'과 평생을 소와 양과 함께 보내는 농부 여성이 얻는 '축산을 돌보아서 얻어낸 좋은 결과'에만 기뻐할 뿐이었다. 이들은 평생을 가축 우유로 개량된 우유 크림 분리기에 들어가고, 삶에 대한 보상으로는 가축을 돌보는 비용에서 1/4을 받는다. 그 뒤로는 소작농 생산을 그저 지지할 뿐이다.
4-3. 낙농 지역 농민층 분리 및 분포도
낙농업은 농민 생활 조건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는 문헌에서도 끊임없는 모순에 부딪쳤다. 한 쪽에서는 농업 발전, 소득 증대, 농업 기술 향상, 개량 농기구 도입이 언급됐지만, 다른 쪽에서는 식량 악화, 새로운 유형의 예속 및 구속, 농민 몰락에 대한 언급이 있었다. 상반된 의견들은 농민의 상반된 집단과도 관련됐다. 정확한 판단을 하고자, 가구 당 소의 숫자에 따른, 농가 분류 자료를 살펴보자. 비흑토 지대 농민들의 소 분포는 흑토 지대 지역 농민들의 전체 가축의 수 분포와 매우 비슷했다. 더 나아가, 설명된 지역에서는 다른 가축에 비해 젖소의 밀도가 더 높았다. 농민층 분리 요인은 지역적, 상업적인 농업 형태와도 밀접하게 연관된다. 블라고벤셰스키에서 제공한 자료에서 21개 시 지역, 122개 군에 대한 젬스트보 총계 통계를 적용하면, 가구 당 평균 1.2마리의 소가 나왔다. 따라서 비흑토 지대 농민들은 흑토 지대 농민들보다도, 더 많은 소를 소유하거나 보유했으며, 상트페테르부르크 시 지역 농민들은 비흑토 지대 농민들보다, 더 나은 생활 수준에서 살았다. 반면에, 22개 시 지역, 123개 행정 지역에서는 가축을 키우지 않는 가구가 13%를 차지했지만, 상트페테르부르크 시에서는, 6개 지역이 18.8%에 달했다. 따라서 농민층 분화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시 지역에서 매우 두드러졌고, 다음으로 흑토 지대가 아닌 지역이 전반적으로 뒤따랐다. 따라서 상업 농업은 농민층 분화에도 중요한 요인이었다. 통계에서는 약 절반의 소가 아예 없거나, 한 마리만 차지하는 농가는 낙농업 혜택에서도 부정적이고, 해악적인 부분만을 차지했다. 소 한 마리를 기르는 농부는 필요할 때만 우유를 판매해서, 자녀의 영양을 해치곤 했다. 반면에, 약 1/5 가구, 소 3마리 이상을 기르는 농부는 소 품질과 농장 수익성이 평균 농부 경우보다 더 높았으며, 전체 낙농업에서도 절반 이상을 수중으로 집중시키고 있었다. 낙농업과 자본주의가 전반적으로 매우 발전한 지역에서도 통계가 제공됐다. 상트페테르부르크 지역에서는 낙농업이 여름에 주로 러시아인이 거주하던 주거 지역에서도 특히 널리 발전했다. 널리 경작된 작물로는 풀(할당 경작지에서 23.5%, 군도 13.7%), 귀리(경작지에서 52.3%), 감자(10.1%)였다. 농업은 귀리, 감자, 건초, 우유, 말 등 견인력이 필요한 상트페테르부르크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등록된 인구로는 가족 가운데 46.3%는 '우유 산업'에 종사했다. 총 소 가운데 91%는 시장에다 우유를 공급했다. 산업에서 얻은 수입으로는 713,470루블로 가족 당 203루블, 소 한 마리 당 77루블이었다. 지역적으로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가까울수록, 소의 질도 더 높았고, 더 많은 관심을 받았다.
우유는 두 가지 방식으로 판매됐는 데, 즉석 구매자와 상트페테르부르크 낙농업 등으로 판매됐다. 상트페테르부르크 낙농업의 홍보 방식은 훨씬 수익성이 높았고, 소를 한 두 마리, 때로는 그 이상을 키우는 대부분의 농장에서는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직접 우유를 배달할 수는 없었다. 말이 없거나, 소량을 운반하기조차 수익성은 없었기 때문이다. 우유 구매자에게는 전문 상인 뿐만이 아니라, 자체로 낙농업을 운영하는 개인도 포함됐다. 두 마을 지역 군에 대한 통계도 있었다. 그러므로 낙농업 혜택이 비흑토 지대에 따른 모든 농민들에게 어떻게 분배되는지 판단할 수 있었다. 젖소 집중도는 560가구보다도 훨씬 높았다. 상트페테르부르크 지역에서도 농민 가운데 23.1%는 노동자를 고용했다. 다른 모든 곳에서도, 농업의 대부분은 일용직 노동자라는 점을 감안했을 때, 농업 노동자는 대부분 전적으로 농장을 운영하는 가구로부터 고용됐고, 해당 지역 전체 가구 수로는 40.4%에 불과했다. 따라서 해당 농장의 절반 이상은 고용된 노동력으로 운영이 필수적이었다. 러시아의 양 끝에서, 상트페테르부르크와 타우리다 주에서는 마을 공동체 내에서 사회적 · 경제적인 관계는 완전하게 동일했다. 두 지역 모두 '농민 경작자'로는 소수 농촌 기업층과 농촌 무산층으로 구분됐다. 농업적인 성격으로 따져볼 때, 자본주의가 한 지역에서는 농촌 경제를, 다른 지역에서는 다른 쪽으로 종속시켰다. 매우 많은 형태의 농경과 생활에서도 동일한 경제 관계가 나타났다. 묘사된 지역에서도 농민은 상반된 계급으로 분열됐다. 낙농업 역할로부터 표명된, 상반된 의견에 대해서도 명확해졌다. 부농은 농업 방법을 개발했고, 개선할 보상(인센티브)를 받았으며, 풀 재배가 널리 퍼져서 상업적인 가축 농업에서도 필수적인 부분이었다. 풀 재배 발전은 트베리 시 지역에서도 볼 수 있었다. 시 지역에서는 매우 발전된 특히 카신 지역 군에서는 모든 농민 가구 1/6이 토끼풀(클로버)를 심었다. 더군다나, 매입한 토지로는 할당지보다 더 큰 비율로 경작지가 풀 재배로부터 점유됐다. 농민 부유층은 공동 소유보다도 토지 사유화를 더 선호했다.「야로슬라블 구베르니아 시 조사, 1896」에서도 풀 재배 증가분에 대한 수 많은 언급을 찾아 볼 수 있었으며, 주로 매수 및 임대 토지 등을 대했다. 같은 출판물에서는 개량 도구, 철제 쟁기, 탈곡기, 롤러 보급에 대한 언급도 있었다. 그리고 버터 및 치즈 제조 등도 상당히 발전했다.
노브고로드 시 지역에서는 1880년대 초부터 농민 가축 사육에 따른, 전반적인 악화 및 감소와 더불어 우유에 대한 수익성 있는 시장이 있었으며, 송아지 우유 공급이 오래된 산업적인 특정 및 개별 지역으로 개선된 사례도 있었다. 바카코브(Bychkov), 「노보고로드 지역에서 3개의 볼로스트 행정지에서 농민들의 경제적 지위와 농업에 대한 호 별 조사문, 노보고로드, 1882」에 따르면, 송아지 젖 먹이기는 상업적인 가축 농업에서 한 유형이었으며, 노보고로드와 트베리 주와 같은 대도시에서도 멀지 않은 다른 지역에서도 상당히 널리 퍼진 산업이었다. 농무부에서 발행했던「고용 노동」, 비카코프에 따르면, 산업적으로는 이미 많은 소를 보유한 잘 사는 농민인, 곧 부농들에게 수입을 더욱 가져다줬다. 수확량이 적은 한 마리의 소, 두 마리의 소만으로는 송아지 젖 먹이기를 할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해당 지역에서는 농민 부유층에 따른 경제적 성과를 매우 두드러지게 보여주는 지표로, 농민들이 노동자를 고용했다. 지역 지주들은 경쟁자들과 마주했으며, 농무부에 제출한 서신에서도, 노동자 부족 원인은 부농들이 노동자를 빼앗아갔다. 농민들이 노동자를 고용하는 사례로는 야로슬라블, 블라디미르, 상트페테르부르크, 노브고로드 주에서 확인해볼 수 있었다. 주요한 사례는 「야로슬라블 주 조사」에서도 산재했다. 그러나 부유한 소수에 따른 발전은 빈곤한 농민 대중에게는 무거운 짐이었다. 코프린볼로스트, 리빈스크 지역, 야로슬라블 시 지역에서는 유명한 치즈 제조 협동조합(아르텔) 창시자였던 V.I. 블란도프 주도로 치즈 제조가 확산했다. 가난한 농민들은 각자 소 한 마리씩만 가지고서, 치즈 공장에 우유를 배달할 때는 자신들의 영양분을 해치면서까지 일했다. 반면에, 부유한 농민들은 가축을 개량시켰다. 수행된 임금 노동 유형 가운데에는 집 밖에서 치즈 제조 시설로부터 일자리를 찾았으며, 젊은 농민들 사이에서는 숙련된 치즈 제작자들도 생겨났다. 특히 포셰호니예 지역에서는 치즈와 버터 생산 시설 수가 해마다 증가했으며, 치즈와 버터 생산으로부터 농민 농업에 발생하는 이익은 치즈와 버터 생산, 농민 생활에서도 발생하는 불이익을 거의 보상하지는 못했다. 농민들도 인정했지만, 어떤 지역에서 치즈 버터 공장이 생기면, 우유가 그곳으로 보내지고, 농민들은 희석된 우유를 섭취하기 때문에 굶주림에 시달리게 된다. 당시에는 현물 지불 제도가 유행했기 때문에, 인민들의 소규모 생산만으로는 자본주의 공장에 따른 현물 지불을 금지하는 법률 적용을 받지 못하는 유감스러운 일도 있었다. 따라서 해당 문제에서도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사람들의 의견은 대다수 농민들의 지역 농업 발전에서 순전히 부정적인 역할만 했을 뿐이었다. 상업 농업 발전은 최하층 농민층의 지위를 크게 약화시켰으며, 경작자 대열에서도 완전하게 밀어냈다. 인민주의 문헌에서는 낙농업 발전과 농민 식량 사정 악화 사이에서 엥겔하르트가 처음 언급했던 모순이 생겨났다. 그러나 바로 이와 같은 사례로부터, 농민 농업에서 발생하는 현상에 대한 인민주의 평가가 얼마나 편협한지 잘 알 수 있었다.
인민주의자들은 한 지역에서 한 가지 형태에 따른 모순을 찾아볼 수 있었고, 사회 · 경제 체제로부터 전체 특징이 모든 곳에서도 많은 형태로 나타난다는 점조차 깨닫지를 못했다. 그리고 하나의 수익성 있는 산업에 따른 모순만 지적했고, 농민들 사이에서도 온갖 다른 지역 산업을 '이식하기를' 강력하게 촉구했다. 인민주의자들은 한 형태에 따른 농업 발전의 모순을 지적했지만, 정작 기계가 농업 산업에 따라, 정확히 동일한 정치적 · 경제적인 뜻을 지닌다는 점조차도 파악하지를 못하고 말았다.「블라고베셴스키 종합 수익」젬스트보 통계에 따르면, 18개 지역 군에서 약 14,000가구는 소유한 소의 수에 따라 분류되지 않았다. 그리고 전체는 289,079가구가 아니라, 303,262가구였다. 블라고베셴스키는 흑토 시 지역에 따른 다른 두 지역에 대한 비슷한 통계를 사용했지만, 해당 지역은 분명하지도, 일반적이지도 않았다. 트베리 시 지역에서는「통계 수익」에 따른 11개 지역에서 소를 소유하지 않은 배정 가구 비율은 9.8%로 비교적 높지는 않았지만, 3마리 이상 소를 소유한 가구로는, 21.9%가 총 소 수에서 48.4%를 수중에 쥐고 있었다. 말이 없는 가구는 12.2%를 구성했다. 3마리 이상 말을 소유한 가구로는 5.1%에 불과했으며, 전체 말 수에서 13.9%만 소유했다. 흑토 지역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도, 말의 밀도는 소의 밀도에 비해 낮았다. 농민 반대 집단에 대한 통계로는 포괄적인 진술을 접했을 때를 염두에 뒀다. 가축 당 20-200루블에 달하는 낙농업으로부터 얻는 연간 소득으로는 북부 시 지역, 드넓은 지역에서 가축업을 확장하고, 개선하는 매우 중요한 수단이었고, 밭 경작을 개선하고, 일자리를 찾아 이주를 줄이는 효과를 가져다줬으며, 해당 인구는 자택 노동을 제공했다. 곧 가축을 돌보거나, 지금까지 방치된 토지를 적절하게 경작할 수 있는 상태로도 만들었다. 전반적으로, 이주는 감소하지 않고 증가했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이주 감소가 부농 비율 증가나, 자택에서 일하는 지역 농촌 기업가를 위한 일로 발전했다. 우유 판매 생산이 발전한 곳에서만 소 유지와 관리에 있어서 상당한 개선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혁 이전 세금 제도에서는 농업 발전을 지연시켰다. 한 통신원은 '농장이 혼잡스럽고, 무질서하다고', 기록했다. 볼로스트 전역에서는 풀 재배가 도입됐으나, 토끼풀은 세금 체납을 충당하고자 판매됐다. 시 지역에서 세금은 너무나 높아서, 자신들의 토지를 임대하는 농민들은 새로운 할당 소유자에게도 직접 금액을 지불해야만 했다. 이러한 지역 농민들에 따른 산업적인 복잡성과 다양성은 비카로브(Bychkov)로부터, 소득 규모에 따라 두 가지 유형으로 산업가를 구분하는 계기가 됐다. 해당 인구의 27.4%인 3,251명은 100루블 미만을 벌여들였으며, 총 소득인 102,000루블로, 1인 당 평균 31루블이었다. 인구 3.8%인, 454명은 100루블 이상을 벌여들였고, 총 소득은 107,000루블 1인 당 평균 236루블이었다. 첫 번째 집단에서는 주로 모든 종류로 된 임금 노동자였으며, 두 번째 집단에서는 상인, 건초 상인, 목재 상인 등으로 구성됐다. 코프린 볼로스트(Koprin Volost) 행정 지구에서 '치즈 제조 공장'은「공장 및 작업장 목록」에도 언급됐고, 당시 블란도브(Blandovs)는 치즈 제조 산업 부문에서도 큰 회사였다. 1890년, 6개 시 지역에서 25개 공장을 소유했다.「북부 지역, 1899」,「생활지」에 따르면, 늙은 버터 제조자였던 스타리 마슬로델과 같이 '시골을 알던 지난 40년, 50년 전 모습을 봤던 사람'들은 놀라워 했다. 왜냐하면, 옛날 마을에서는 모든 집이 겉과 속이 똑같았지만, 오늘날에는 초과집과 나란히 훌륭한 집들도 서있고, 가난한 사람과 함께 부유한 사람들도 살고 있고, 억압받고 멸시받는 사람들과 함께 잔치를 벌인다거나, 즐거워하는 사람들도 함께 살고 있기 때문이다. 어느덧, 땅 없는 농민들은 마을마다 다섯 명, 때로는 열 두 명이나 됐다. 마을에서 큰 변화가 버터 제조에 기인했기 때문이다. 지난 30년 동안 버터 제조는 많은 사람들을 부유하게 만들었고, 집을 더욱 아릅답게 꾸미도록 만들었다. 버터 산업이 발전하는 동안에 우유를 공급하던 많은 농민들은 더 큰 번영을 누렸으며, 더 많은 가축을 키웠고, 공동체 또는 개인 단위로 토지를 구매했다. 그러나 더 많은 사람들은 오히려 가난해졌으며, 마을에서는 땅 조차 없는 농민과 거지들도 나타났다.
4-3-1. 아마 재배 지역
자본주의 농업에 따른 처음 두 영역에서는 폭 넓은 성격과 그곳에서 찾아 볼 수 있는 관계로부터, 전형적인 성격 때문에 자세하게 기술했다. 다음 설명에서는 매우 중요한 영역에서 몇 가지 간략한 설명으로 제한된다. 아마는 소위 산업용 작물에서도 주요 작물이다. 용어 자체로는 '상업적 농업'이라는 말이다. 특히 프스코프 지역에서 아마는 오랫동안 농민 최초 화폐였다. 지역적인 표현으로는 아마 재배가 단순하게 돈 버는 수단이었기 때문이다. 개혁 이후 기간 동안에 전반적으로 상업적인 아마 재배는 분명하게 증가했다. 1860년대 말, 러시아에서 아마 생산량은 약 1,200만 푸드, 섬유로 추산했다. 1880년대 초에는 2,000푸드로, 섬유를 추산했다. 「러시아 산업 역사 통계 조사, 상트페테르부르크, 1883」에 따르면, 당시 유럽 러시아에서 50개 시 지역에서는 2,600만 푸드 이상의 섬유가 수집됐다. 아마 재배 지역 및 흑토 지대가 아닌 19개 시 지역로부터 아마 재배 면적은 몇 년 동안이나 바뀌었다.
아마 재배 면적
1893: 756,600데시
1894: 816, 500데시
1895: 901,800데시
1896: 952, 100데시
1897: 967,500데시
유럽 러시아 전체, 50개 시 지역
1896: 1,617,000데시
1897: 1,669,000데시
1890년대 초에 비하면, 아마 재배 면적은 1,399,000데시 감소했다. 출판물에 표시된 의견들에서도, 상업적인 아마 재배가 발달했다. 개혁 이후로는 처음 20년과 관련된『역사 통계 조사』에 따르면, 산업적인 목적을 위한 아마 재배 지역이 여러 시 징역로부터 확대됐다고 명시했으며, 특히 철도 확장 때문이었다. 유리예프 지역, 블라디미르 시 지역에 대해 V. 프루가빈(V.Prugavin)은, 1880년대 초, 아마 재배는 지난 10-15년 동안 매우 널리 퍼졌다고 기록했다. 일부 대가족은 연간 300-500루블, 또는 그 이상의 가격으로 아마를 판매했다. 특히 로스토프에서 아마씨를 구매했다. 해당 지역 농민들은 씨앗을 매우 신중하게 골랐다.「마을 공동체, 유리예프 지역에서 수공예 산업과 농업, 블라드미르 시 지역, 모스크바, 1884」,「트베리 시 지역에서 젬스트보 통계 수익률」에 따르면, '매우 중요한 봄 곡물 작물인 보리와 귀리가, 감자와 아마로 대체됐다고' 기록했다. 일부 군에서는 아마가 봄 작물 재배 면적에서 1/3-3/4를 차지했다. 주브초프, 카신 및 기타 군에 대해서는 '아마 재배가 산업에 따라 명백하게도, 투기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고 기록했다. 특히 임대된 '미개척지'와 사용하지 않는 토지로부터 발전하고 있었다. 게다가 비교적 '자유로운' 토지인 일부 미개간지, 황무지, 산림 개간지와 같은 시 지역에서는 아마 재배가 특히 확대됐지만, 오래 전부터 자리잡은 아마 재배 시 지역 가운데 일부는 아마 재배가 오래된 규모이거나, 새로 도입된 뿌리 작물, 야채 등에 재배 자리를 내주게 됐다. 「재무부, 1898, Vestnik Finansov」에 따르면 다른 유형에서도 '상업적인 농업'에 자리를 내주었다. 아마 수출에 대해서는 개혁 이후로 처음 20년 동안 '놀라운' 속도로 증가했다. 1857-1861년 평균, 460만 푸드에서 1867-1871년 850만 푸드로, 1877-1881년에는 1,240만 푸드로 증가했다. 그러나 그 뒤로는 수출은 정체됐고, 1894-1897년에는 평균 1,330만 푸드에 도달했다. 상업용 아마 재배 발전은 농업과 아마 판매 및 제조품 구매에 따른 산업 간 교환뿐만이 아니라, 많은 유형에서도 아마 판매 및 곡물 구매에 따른 '상업용 농업' 간 교환으로 이어졌다. 흥미로운 현상이었고, 해당 통계는 인구가 농업에서 산업으로 전환됐을 뿐만이 아니라, 상업용 농업 전문화에 따른 자본주의로부터 국내 시장이 창출됨을 분명하게 보여줬다. 그렇다면 아마 재배 발달은 주요한 아마 생산자인 농민들에게도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포스트코프 시 지역을 체류하며, 경제 생활 면을 살펴보자면, 가끔 크고 부유한 단위로부터 작은 마을과 나란히, 극도로 가난한 단위가 있었다. 이와 같은 극단적인 형태는 아마 지역에 따른 경제 생활의 특징적인 성격이며, 아마 재배는 투기적인 방향으로 바뀌어 갔고, 아마에서 얻는 수입 대부분은 구매자와 아마 재배를 위해 토지를 임대하는 사람들이 챙겨갔다.
스트로킨에 따르면, '파멸적인 지대'는 실제로 '화폐 지대'를 구성했으며, 따라서 농민 대중은 구매자로부터 완전하게 또 절망적으로 의존하는 상태에 놓였다. 상인 자본 지배는 오래 전에 이미 해당 지역에서도 확립됐고, 개혁 이후 시기를 특징짓는 자본에 따른 엄청난 집중과 이전 소규모 매수자에 따른 독점 약화, 아마 무역 전체를 장악하는 '아마 대리점'을 형성해갔다. 스트로킨는 프스코프 시 지역에 대해 '아마 재배는 자본으로부터 소수 수중으로 집중된다고' 지적했다. 자본으로부터 아마 재배를 '도박장'으로 바꾸어 수 많은 소규모 농부들을 파산시켰으며, 아마 품질 또한 저하시켜, 토지를 고갈시키고는, 할당량을 임대해주면서 이주민 노동자의 대열이 부풀었다. 반면에, 소수 부농과 상인들의 경쟁이 필요했기 때문에 기술 개선을 쉽게 도입했다. 쿠테(Coute)라 불리는 섬유 작물을 가공하는 수동 기계(Scutcher)로부터, 최대 25루블 수작업과 3배 더 비싼 마차가 모두 도입됐다. 1869년, 프스토프 시 지역에서는 해당 기계가 557대 밖에 없었다. 1881년에는 수작업 4,521대, 마차 1,189대로, 총 5,710대가 있었다.「역사 통계 조사」에 따르면, 아마 재배에 종사하는 모든 '건전한' 농민 가족은 '스카처'라고 불리는 수동 기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실제로 기계를 '프스코프 스카처'라고 불렀다. 기계를 구입한 소수 '건전한' 가구주는 나머지 농민에 비해 어느 정도인지는, 이전에도 충분히 살펴봤다. 씨앗을 매우 형편 없이 세척하는 원시적인 기계 대신에, 프스코프 젬스트보에서는 개량된 종자 세척기(Trieurs)를 도입했다. 더욱 번영하는 농민 산업가들은 기계를 직접 구매해서, 아마 재배자들에게 임대하는 게 훨씬 수익성이 있었다. 아마를 대량으로 구매하는 사람들은 건조실과 압착기를 설치했고, 아마를 분류하고, 탈피하는 일꾼들을 고용했다. 아마 섬유를 가공하는 데는 상당히 많은 수의 일꾼들이 들어갔다. 아마 1데시아틴을 재배하는 데, 본격적인 농업 작업은 26일이 소요됐고, 줄기에서부터 섬유를 추출하는 데까지는 77일이 더 걸렸다. 따라서 아마 재배 발전은 농부들이 겨울 동안 더욱 바쁘게 지냈으며, 아마 재배에 종사하는 지주와 부농들의 임금 노동에 따른 수요를 창출했다. 아마 재배 지역에서도 상업 농업 발달은 자본 지배와 농민층 분화로 이어졌다. 농민층 분화에 따른 큰 장애물로는 의심할 여지 없이, 파멸적으로 높은 토지 임대료와 상인 자본의 압력, 농민들을 자신들의 할당지에다 묶어두거나, 할당된 토지에 대한 높은 지불금을 부과했다. 따라서 농민 토지 매수와 일자리를 찾는 이주가 더 널리 확산됐고, 개량된 농기구와 경작 방법이 더 널리 사용될수록, 상인 자본은 산업 자본으로부터 더 빠르게 대체됐을 뿐만이 아니라, 농민들 사이에서도 농촌 부르주아지가 더 빠르게 형성됐고, 지주를 위한 노동 용역 제도는 자본주의 제도로 대체해갔다. 중앙 통계 위원회 수치에 따르면, 1893-1897년 평균은 26,291,000푸드였다.
4-4. 농산물의 기술적 가공
농업 연구자들은 주요 시장 생산물에 따라, 농업 체계를 분류했을 때, 산업적 또는 기술적 농업 체계를 특수한 범주에다 할당한다는 점이다. 이 체계 핵심으로는 농산물이 개인적 소비이거나 또는 생산적 소비 이전에 기술적 가공을 거치게 된다. 가공을 담당하는 시설에서는 원자재가 생산되는 농민 일부를 구성하거나, 농민으로부터 원자재를 매수하는 특수 산업가가 속해진다. 정치경제학적으로, 두 유형 차이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 농업 기술에 따른 무역 발전은 자본주의 발전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발달 배경에는 상업적인 농업 발전에서 한 형태를 띠게 되며, 더 나아가, 농업에 따른 자본주의 사회로부터 산업 분야로 전환되는 과정을 매우 생생하게 보여준다. 농산물에 따른 기술적인 가공 발전은 일반적으로 농업의 기술적인 발전과 밀접하다. 가공을 위한 원자재 생산 자체가 농업 개선, 뿌리 작물 심기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다른 쪽으로는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은 농업에서도 자주 활용되어 농업 효율도를 높이거나, 농업과 산업 간 균형에 따른 상호 의존도를 어느 정도는 회복시킨다. 균형에 따른 상호 의존도가 깨지면, 자본주의로부터 매우 심각한 모순 가운데 하나가 발생한다. 다음은 개혁 이후로 러시아에서 기술적인 농업 무역 발전을 설명한다.
증류
여태까지 증류는 농업 관점에서만 고찰했다. 대규모 공장에서 증류는 급속도로 집중된 현상이었으며, 부분적으로는 소비세 부과 때문에 공장 기술의 급속한 발전, 생산 비용의 절감, 소비세 인상, 소비와 생산 발달이 지연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러시아 제국 전체에 따른 농업 증류 통계도 있다. 증류소 9/10 이상은, 전체 생산량에서 4/5 이상을 차지하는 농업과 직접 연관된다. 이 시설로는 대규모 자본주의 기업으로부터 설립된 모든 지주 농장에서도 동일한 성격을 부여한다. 증류소는 대부분 예외 없이 지주층, 귀족층에 속했다. 검토 중이던 상업적인 농업 유형으로는 특히 러시아 제국 전체 증류소 수에서 1/10이상, 1896-1897년 239개로, 225개는 농업 및 혼합 증류소에 집중된 증부 흑토 지대 지역으로부터 발전했고, 총 주류 생산에서 1/4 이상을 생산했으며, 1896-1897년, 7,785,000베드로 가운데 6,828,000베드로로, 농업 및 혼합 증류소였다. 따라서 노동 용역이 우세한 지역에서는 농업의 상업적인 성격이 다른 성격에 비해 곡물과 감자로부터 증류수(보드카)를 매우 빈번하게 증류했다. 특히 감자 증류는 개혁 이후로 급속한 발전을 이뤘고, 러시아 전체와도 관련됐다. 따라서 증류된 작물 양은 일반적으로 두 배로 증가했고, 사용된 감자 양은 약 15배로 증가했다. 감자 면적과 작물의 큰 증가로 인한 농업 기술 개선과 더불어 삼포기 체계를 다포기 작물 윤작으로 대체하는 등 상업적이고, 자본주의적인 농업 발전을 정확하게 확립한다는 명제를 뒷받침한다. 증류가 매우 크게 발전한 지역으로는, 국내 시내 지역인 발트해와 서부 시 지역을 제외하고는, 1인당 감자 순 수확량은 매우 컸다. 따라서 북부 흑토 지대 지역에서는 1864-1866년, 1870-1879년, 1883-1887년 수치로는 각각 0.44, 0.62, 0.60체트버트였지만, 유럽 러시아 전체 50개 시 지역에서 해당 수치로는 0.27, 0.43, 0.44체트버트였다. 1880년대 초,「역사 통계 조사」에서는 감자 재배가 매우 크게 확장된 지역은 흑토 중부 요지(벨트) 와, 북부에서 모든 시 지역, 볼가 및 트란스볼가 시 지역, 중부 비흑토 지대 지역를 포함했다. 지주와 부농으로부터 감자 재배 확대는 고용 노동력에 대한 수요 증가를 뜻한다. 감자 데시아틴 재배로는 곡물 데시아틴 재배보다 훨씬 더 많은 노동력을 흡수했기 때문에 중부 흑토 지대 지역에서는 기계 사용이 여전히 매우 적었다. 따라서 증류 산업에 종사하는 노동자 수는 감소했지만, 노동 용역 제거는 뿌리 작물 재배와 자본주의 농업 제도로부터 농촌 일용직 노동자들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켰다.
사탕무
사탕무 가공은 증류보다 대규모 자본주의 기업에 더욱 집중됐으며, 지주보다는 주로 귀족 영지로 부속됐다. 해당 산업에서 주요 지역은 남서부 지방이고, 다음으로는 남부 흑토 지대 지방과 중부 흑토 지대 지방이다.
사탕무 재배 면적
1860년대: 약 100,000데시
1870년대: 약 160,000데시
1886-1895년: 230,000데시
1896-1898년: 360,000데시
1900년: 478,778데시
1901년: 528,076데시
「재정부, 1906」,「상업 및 산업지, Torgovo-Promysh/Ennaya Gazeta, 1901」에 따르면, 1905-1906년: 483,272데시로, 개혁 이후로 경작 면적은 5배 이상 증가했다.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수확 및 가공된 사탕무 양은 빠르게 증가했다.
가공된 사탕무 평균 무게
1860-1864년: 4,100,000베르코베트
1870-1874년: 9,300,000베르코베트
1875-1879년: 12,800,000베르코베트
1890-1894년: 29,300,000베르코베트
1895-1896, 1897-1898년: 35,000,000베르코베트
가공된 사탕무 양은 1860년대 이후로 8배 이상 증가했다. 따라서 자본주의 방식으로 조직된 대규모 농장에서 사탕무 수확량, 노동 생산량도 크게 증가했다. 뿌리 식물과 같은 사탕무에 윤작법을 도입해서 개선된 경운과 가축 사료 등을 이용한, 보다 발전된 경작 체계로 전환이 불가피했다.『역사 통계 조사』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다소 복잡하고, 어려운 사탕무 토양 경운은 특히 남서부 일대와 비스툴라 시 지역의 많은 사탕무 농장에서 매우 완전했다. 많은 지역에서도 다소 개량된 도구와 쟁기를 사용해서 경운했고, 한 경우로는 증기 경운도 도입됐다. 대규모 자본주의 농업에 따른 발전에서 농업 임금 노동자, 특히 일용직 노동자에 대한 수용이 상당하게 증가했고, 특히 여성과 아동 노동 고용이 폭 넓었다. 『역사 통계 조사』에 따르면, 인접한 시 지역 사이에서 특수한 유형으로는, 사탕무 지역 이주가 발생하기도 했다. 사탕무 토지 1모로그 = 2/3데시아틴을 완전하게 경작하는 데는, 여성과 청소년을 제외하고, 남성의 경우 12일, 손으로 하는 경우로는 25일이 걸린다고 추산했다. 그러나 사탕무 재배 데시아틴 증가만으로는, 고용 노동 수요를 완전하게 파악하기는 어려웠다. 일부 일자리에서 1인 당 평균 임금도 매우 높았기 때문이다.『러시아 수공예 산업 보고서 및 조사, 국유재산부 발행, 상트페테르부르크, 1894』를 살펴보자. 체르니코프 시 지역, 크롤레베츠 마을 지역 여성들은 사탕무 밭일을 매우 높게 평가했다. 가을에는 사탕무를 손질하는 데, 베르코베트 당 10코펙을 받았으며, 두 명의 여성은 하루에도 6-10베르코베트를 손질했다. 그러나 일부는 재배 기간 동안 잡초 제거와 괭이질 작업을 계약하기도 했다. 파기와 손질까지 포함한 전체 작업에 대해 손질된 사탕무 베르코베트 당 25코펙을 받았다. 그러나 사탕무 농장 노동자들의 처우는 극도로 열악했다.「하르코프 주 의료 기록부, 러시아 보도지, 루스키예 베도모스티, 1899」에 따르면, 붉은 사탕무 농장에서 노동하는 사람들의 조건은 지극히 비참했다. 아키트로이카 지역(Akhtyrka)에서 코델바 마을, 젬스토보 의사였던 포돌스키(Podolsky) 박사에 따르면, 가을에는 부농의 붉은 사탕무 농장에서 일하는 젊은이들 사이에서 장미진(발진 티푸스)가 발생했다고 보고했다. 노동자들에게 여가 및 잠자리로 지정된 헛간은 농장주로부터 매우 더러운 상태로 유지됐다. 노동이 끝날 무렵에는 잠자리에 사용되던 짚이 그대로 거름으로 바뀌었고, 결코 변하지도 않았다. 감염의 번식지였기 때문이다. 한 곳에서 데려온 네다섯 명의 환자들은 장미진으로 즉각 진단됐다. 같은 농장에서 한 의사의 소견에 따르면, 대부분 매독 사례는 붉은 사탕무 농장에서 발생했다. 파인버그에 따르면, 공장 노동만큼이나, 노동자 자신과 주변 주민들에게도 해로운 농장 작업은 특히 여성과 청소년들이 많이 참가했고, 노동자들은 사회와 국가로부터 방치되어 기본적인 보호마저 받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에 더욱 비참한 결과를 초래했다. 포돌스키 박사는 하르키우 시 지역, 제7차 의사회에서 로마넨코 박사로부터 표명한 의견을 전적으로 지지했다. 여기에는 '강제적인 규정을 발표할 때는 사탕무 농장 노동자들의 조건도 고려해야만 했다.' 노동자들은 필수적인 게 매우 부족했다. 몇 달 동안이나 야외에 머물렸으며, 공동 그릇으로 식사했다. 사탕무 재배 발달은 농촌 노동자에 대한 수요를 크게 증가시켰고, 이웃 농민들을 농촌 무산층으로 전락시켰다. 농촌 노동자 수의 증가는 사탕무 및 설탕 산업 종사자 수에 따른 미미한 감소로부터도 거의 저지되지도 않았다.
감자 전분
지주 농장에서만 이뤄진 기술 생산 분야를 거쳐, 농민들이 어느 정도 감당할 수 있는 분야로 넘어가보자. 여기에는 주로 감자 일부로, 밀과 기타 곡물 포함하여 전분과 당밀로 가공된다. 전분 생산은 개혁 이후로 섬유 산업의 큰 발전으로부터, 특히 전분 수요가 증가하면서 급속도로 발전해갔다. 생산 분야에서 담당하는 지역은 주로 비흑토 지대 지역, 산업지, 부분적으로는 북부 흑토 지대 지역이었다.『역사 통계 조사』에 따르면, 1860년대 중반에는 약 60개 사업체가 있었으며, 생산량은 약 27만 루블이었지만, 1880년에는 224개의 사업체가 있었고, 생산량은 1,317,000루블이었다.「공장 및 사업장 명부, 1890년」에 따르면, 192개 사업장에서는 3,418명의 노동자가 고용됐으며, 생산량은 1,760,000루블이었다. 『역사 통계 조사』에서는 지난 25년 동안 전분 생산에 종사하는 사업장 수가 4.5배였으며, 총 생산량은 10.75배 증가했다. 그럼에도 생산력은 해외에서 전분 수입 증가로부터 입증됐지만, 전분 수요를 충족시키기란 턱없이 부족했다. 각 지역 통계를 분석한 『역사 통계 조사』에서는 감자 전분 생산이 밀 전분과는 다르게, 농업적인 성격을 띠었고, 농민과 지주 수중에 집중됐다. 차기에는 폭 넓은 개발을 보여줬으며, 농촌 인구에게도 상당한 이점을 제공했다. 그렇다면 누가 이점을 누렸을까. 먼저 전분 생산 발전에는 두 가지 과정이 있었다. 새로운 소규모 공장 등장과 농민 생산의 발전과 대규모 증기 동력 공장에서 생산이 집중됐다. 1890년에는 증기 동력 공장이 77개가 있었다. 전체 노동자 수에서 52%, 총 생산량 60%는 공장으로 집중됐다. 오롤로브(Orlov),「명부」에 따르면, 1870년대 이전에 설립된 공장은 11개에 불과했고, 1870년대에는 17개, 1880년대에는 45개, 1890년대에는 2개를 설립했다. 농민 전분 생산 경제를 알아보고자 지역 조사 표를 살펴보면, 1880-1881년 사이에 모스크바 시 지역에서는 4개 군 지역에서 43개 마을이 전분 제조에 종사했다. 공장 수로는 130개로 추산했고, 780명의 노동자를 고용했으며, 생산량은 최소 13만 7천 루블에 달했다. 산업은 주로 개혁 이후로 확산됐고, 기술은 점차적으로 발전하여 더 많은 고정 자본을 필요로 했으며, 더 높은 노동 생산력을 보이는 대규모 공장이 형성됐다. 그동안 '손 강판'에서 '강판'으로 대체됐고, 마력이 등장했으며, 드럼 통 생산이 도입되어 생산력이 크게 개선됐고, 가격도 저렴해졌다. 공장 규모에 따른 수공예인에 대한 각 호별 인구 조사를 수집한 통계도 있었다. 시설에 따른 생산이 확대됐고, 고용된 노동자들의 고용은 증가했으며, 노동 생산력이 향상된 소규모 자본주의 시설을 갖게 됐다. 해당 시설에서는 농민 부유층에게 상당한 이윤을 가져다줬고, 농업 기술도 향상시켰다. 그러나 작업자 노동자들의 상태는 극도로 비위생적인 노동 조건과 긴 노동 시간 때문에 불만족스러웠다. 전력 시설을 소유한 농민들은 매우 유리한 조건들 속에서 농사를 지었다. 할당지에서는 주로 임대 토지에 감자를 심으면, 호밀이나, 귀리를 심기보다는 훨씬 더 많은 수입을 얻을 수 있었다. 작업장 주인들은 사업을 확장하고자, 빈농들에게서 상당한 양으로 할당지를 임대했다. 특히 브론니치 지역, 치비노 마을에서는 105개 농민 가구 가운데 18명의 전분 작업장 주인들이 일자리를 찾아 떠난 농민과 말 없는 농민들에게서 할당지를 임대해서, 자신들의 할당지 61개에 임대받은 할당지 133개를 더 추가했다. 이들의 수중에는 총 194개 할당지가 집중됐으며, 마을 전체 할당지에서는 44.5%였다. 정확하게 귀속(Returns)되어 전분 산업이 다소 발전된 다른 마을에서도 비슷한 일들이 발생했다. 전분 작업장 주인들은 다른 농민들보다도 두 배나 더 많은 가축을 보유했다. 가구 당 평균 3.5마리 말과 3.4마리 소를 가졌으며, 지역 농민 전체가 1.5마리 말, 1.7마리 소를 가진 거와는 다르게 대조적이었다. 각 호 별 인구 조사 표를 따르면, 68명의 작업장 주인 가운데 10명은 매입 토지를 소유했고, 22명은 임대 배정지를, 23명도 임대 배정지를 소유했다. 쉽게 말해서, '전형적인' 농민 부르주아지의 대표들이었다. 보다 정확하고 비슷한 관계로는, 블라디미르 시 지역, 유리예프 지역에서 전분 제조 산업을 찾아볼 수 있었다. 작업장 주인들은 주로 임금 노동의 도움으로부터 생산을 수행했다. 30개 작업장에서 128명의 노동자 가운데 86명이 고용됐다. 여기에서도 작업장 주인들은 축산업과 농업에 있어, 일반 농민들보다도 훨씬 우위에 섰다. 감자 섬유질(펄프)를 가축 사료로 썼고, 자본주의 농부조차도 농민들 사이에서 나왔기 때문이다. V. 프루가빈(V.Prugavin)은 12명의 임금 노동자를 고용하고, 약 1,500루블 가치를 가진 전분 공장을 소유한 농부 농장에 대해 설명했다. 농부는 토지를 빌려 확장시키면서, 자신의 농장에서 감자를 재배했다. 작물 윤작은 7개의 밭에서 이뤄졌고, 토끼풀(클로버)이 포함했다. 농부는 농장을 위해 7-8명의 일꾼을 고용했으며, 봄부터 가을까지 고용했다. 섬유질은 가축 사료로 사용됐고, 농장 주인의 폐수를 밭에 쓸 계획도 가지고 있었다. V. 프루가빈은 사업들이 매우 '예외적인' 조건을 갖췄다고 단언했다. 물론 어떤 자본주의 사회에서든, 농촌 부르주아지는 늘 농촌 인구에서도 극소수를 차지했으며, 같은 뜻에서 '예외'라고 불릴 수도 있다. 그러나 해당 용어는 국내에서 다른 상업적인 농업 지역과 마찬가지로, 전분 생산 지역에서도 자본주의 농업을 조직하는 농촌 기업가 계급이 형성된다는 점을 부정할 수는 없었다.
식물성 기름
아마씨, 대마, 해바라기 및 기타 씨앗에서 기름을 추출하기도 농업 산업이다. 1864년, 식물성 기름 생산량은 약 1,619,000루블로, 1879년에는 6,486,000루블, 1890년에는 12,232,000루블이라는 점에서, 개혁 이후로는 식물성 기름 생산 발전을 가늠할 수 있었다. 해당 생산 부문에서도 중복된 발전을 살펴 볼 수 있었다. 마을에서 기름을 판매하고자 생산하는 소규모 농민은 한 쪽에서는 지주로부터 기름 압착기가 건설됐고, 다른 쪽에서는 생산을 집중시키면서, 소규모 시설을 밀어내는 대규모 증기 구동 공장이 개발됐다. 여기서는 기름을 함유하는 식물에 따른 농업 가공에만 관심을 보였다.『역사 통계 조사』에 따르면, '대마씨 기름 압착기' 소유주는 유복한 농민층에 속했다. 가축에게 좋은 기름 빵 사료를 줄 수 있었기 때문에 식물성 기름 생산에 따른 특수한 가치를 둘 수 있게 됐다. 프루가빈에 따르면, 유리예프 지역, 블라디미르 시 지역에서 아마씨 기름 생산에 대한 폭 넓은 발전을 언급하면서, 농민들에게도 적지 않은 이점을 얻었다고 말했다. 작물과 가축 사육은 기름 압착기를 소유한 농민들에게 있어 대부분 농민들보다도 훨씬 더 높은 수준에서 이뤄졌으며, 일부 기름 제분업자는 농촌 노동자를 고용하기도 했다. 1894-1895년, 페름 수공예 인구조사에서 수공예 기름 제분업자가 대다수 농민보다도 더 높은 수준에서 작물 재배를 한다는 점에서, 작물 재배 면적이 더 넓었고, 가축이 훨씬 더 많았으며, 수확량이 더 많거나 하는 등, 경작 개선과 더불어 농촌 노동자 고용이 이뤄진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개혁 이후 시기 동안 지역 언론에 따르면, 보로네시 시 지역에서는 기름을 짜는 해바라기 씨앗의 상업적인 재배가 특수하게 발전했다. 1870년대, 러시아에서는 해바라기 재배 면적이 약 80,000데실로 추산했고, 『역사 통계 조사』에서는 1880년대에 약 136,000데실로 추산했으며, 그 중에 2/3은 농민이었다. 그 이후 특정 자료에 따르면, 공장 면적은 상당하게 증가했고, 어떤 곳에서는 100% 이상으로 증가했다. 『역사 통계 조사』, 「생산력」에서는 보로네즈 시 지역(Voronezh Guberina), 버루크(Biryuch Uyezd) 군 지역, 알렉세예프카 마을에서만 40개가 넘는 기름 압착기가 있었으며, 알렉세예프카 자체로는 해바라기 덕분에 번영했고, 초라한 작은 마을은 철판 지붕으로 덮인 집과 상점이 있는 부유한 도시 선박으로까지 발전했다. 농민 부유층에 따른 부가 농민 대중에 따른 상태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는, 1890년, 알렉세예프스카 마을에 등록된 2,273가구, 남녀 수 총 13,386명 가운데 1,761가구는 가축이 없었고, 1,699 가구는 농기구가 없었으며, 1,480가구는 토지를 경작하지도 않았고, 33가구는 산업에 종사하지 않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농민의 기름 압착기는 '젬스트보 가정 방문 인구 조사'에서 '상업 및 산업 시설'로 포함됐고, 분포와 역할에 대해서는 이전에도 이미 언급했다.
담배
담배 재배 발전에 따른 평균 수확량
1863-1867년: 32,161데시, 1,923,000푸드, 농장 수: 75,000개
1872-1878년: 46,425데시, 2,783,000푸드, 농장 수: 95,000개
1880년: 50,000데시, 4,000,000푸드, 농장 수: 650,000개
같은 유형으로는 상업적인 농업에 이끌려 온 소규모 재배자 수도 상당히 증가했다. 담배 재배는 상당한 수의 노동자가 필요했다. 따라서 농업 이주 유형 가운데 담배 농장 이주, 특히 담배 재배는 이례적으로, 급속도로 확대된 남부 외곽 지역에 대한 언급도 필요하다. 담배 농장 노동자들은 이미 매우 고된 삶을 살고 있었기 때문이다. 농무부 명령으로 발간된「러시아 담배 재배 조사, 상테르부르크, 1894」에서는 상업적인 농업 한 분야로, 담배 재배에 대한 매우 상세하고도, 흥미로운 자료가 담겨 있었다. V.S. 셰르바초프에 따르면 말로로시야 지역에서 담배 재배에 대해 설명하면서, 폴타바 시 지역 세 군, 프릴루키, 도흐비차, 롬니에 대한 매우 정확한 자료를 제공했다. 셰르바초프가 수집했던 폴타바 시 지역, 젬스트보 위원회 통계국에서 정리한 자료에 따르면, 담배를 재배하는 세 군에 속한 25,089개 농가를 포함하여, 담배는 6,844데시아틴, 곡물은 146,774데시아틴을 재배했다. 농가 분포 통계도 있었다. 담배와 곡물 재배 면적은 자본주의 농장 수중으로 집중됐다. 2만 5천 개 농장 가운데 3천 개 농장에서 곡물 재배 면적은 절반 이상이었고, 14만 7천 개 농장 가운데 7만 4천 데시아틴을 차지했으며, 농장 당 평균 25데시아틴에 육박했다. 담배 재배 면적으로는, 거의 절반인 6,800개 농장 가운데 3,200데시아틴이 해당 농장에 속했으며, 농장 당 평균 1데시아틴이 넘었지만, 다른 모든 집단에서는 담배 재배 면적은 가구 당 1/10-2/10데시아틴을 넘지는 않았다. 또한 세르바초프는 담배 부문에서도, 동일한 농장들이 지역에 따라 집단화됨을 보여주는 통계를 제공했다. 담배 재배 지역에 따른 집중도는 곡물 재배 지역보다도 상당히 높았다. 해당 지역에서 특정 상업적인 농업 분야는 일반적인 농업보다도, 자본가 수중에 더 집중됐다. 25,000개 농장 가운데 2,773개 농장이 6,844데시아틴 가운데 4,145데시아틴을 차지했으며, 3/5가 넘었다. 전체 농장 주로는 1/10이 조금 넘었고, 그 수가 324개에 달하는 가장 큰 담배 농장 주는 2,360데시아틴이었으며, 곧 전체 면적으로는 1/3이상을 차지했다. 이는 농민 당 평균 7데시아틴이 넘는 담배 재배 면적이었다. 농장 종류를 판단하고자, 담배 재배에 따른 담배 등급으로부터 여름철 4-8개월 동안, 최소 두 명의 노동자가 필요하다는 점을 상기해본다. 따라서 담배 생산지 7개 데시아틴을 소유한 사람으로는 최소 14명의 노동자를 고용해야만 했다. 분명한 임금 노동에 기반해서 농장을 운영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어떤 종류로든, 담배는 데시아틴 당 두 명이 아닌, 세 명의 계절직 노동자를 필요로 하며, 일용직 노동자도 추가로 필요하다. 한 마디로, 농업이 상업화될수록, 자본주의적인 조직은 더욱 분명하게 발전한다. 담배 재배 농가 가운데 소규모 농장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25,089개 농장 가운데 11,997개 농장에서는 데시아틴의 1/10 이하를 재배했다. 그러나 상업적인 농업 부문이 자본주의적으로 조직됐다는 점을 조금도 반박하지는 못한다. 왜냐하면, 소규모 농장에서는 전체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미미하기 때문이다. 6,844개 농장 가운데 11,997개는 거의 절반 가량의 데시아틴을 재배하고 있었다. 흔히 접하는 '평균 수치'란, 실제 상태를 잘 보여주지도 않는다. 담배 재배 농가에서 농장 당 평균 데시아틴은 1/4데시아틴을 조금 넘는 수준이었다. 일부 지역에서는 자본주의 농업 발전과 생산 집중이 더욱 두드러졌다. 로흐비치 군 지역에서는 5,957개 농장 가운데 229개 농장이 각각 20개 이상의 데시아틴을 보유했다. 농장주들은 총 44,751개 데시아틴 가운데 22,799개 데시아틴을 보유했으며, 전체 면적에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농부 한 명 당 약 100개의 데시아틴 작물을 재배했다. 담배 재배 면적으로는 2,003개 데시아틴 가운데 1,126개 데시아틴을 보유했다. 담배 재배 면적을 기준으로 분류해보면, 해당 지역에서는 5,957개 농장 가운데 132개 농장이 담배 재배 면적 데시아틴의 2개 이상을 보유했다. 2,003개 농장 가운데 담배 재배 면적은 72%에 달했으며, 농장 당 데시아틴은 10개 이상이었다. 반면에, 로흐비차 지역 반대편에서는 5,957개 농장 가운데 4,360 농장의 담배 재배 면적이 1/10 이하였고, 2,003개 농장 가운데 데이사틴은 113개로, 곧 6%에 불과했다. 자본주의적인 생산 조직에 따른 상인 자본은 상당한 발전과 생산 영역 밖에서도 온갖 착취를 수반했다. 소규모 담배 재배 농가들은 건조장도 없이 담배를 발효시켰으며, 완제품으로는 3-6주 동안 판매할 시간을 가질 수조차 없었다. 따라서 미완성 제품을 반값에다 매수자에게 판매했는데, 매수자는 가끔 임대 토지로부터 담배를 직접 재배했다. 그러나 매수자는 소규모 재배 농가들을 온갖 방법으로 압박했다. 상업 농업은 상업 자본주의적인 생산이다. 적절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면, 농업 분야에서도 명확하게 추적된다.
4-5. 교외 농업과 채소 및 과일 재배
농노제의 몰락과 함께 지주 과일 재배는 러시아 전역에서도 급격하게 쇠퇴했다. 철도 건설은 상태를 바꾸어 새로운 상업적 과일 재배 발전에 큰 추진력을 심어 주었고, 상업적인 농업 분야에서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남쪽에서는 값 싼 과일이 유입됐고, 이전에 과일 재배를 이뤘던 중심지 산업은 침체됐으며, 다른 쪽에서는 과일 시장이 확대됐다. 특히 코브노, 빌나, 민스크, 그로드노, 모길료프, 니즈니노브고로드 주에서 산업용 과일 재배가 발전했다. V. 파스케비치(V.Pashkevich),「1893-1894년, 과일 농사 상태에 대한 조사」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농업 산업 분야로는 과일 농사가 크게 발전했으며, 정원사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고 지적했다. 러시아 철도가 운송하는 과일 양도 증가했으며, 개혁 이후로 첫 10년 동안 증가했던 과일 수입은 감소했다. 과일 재배는 산업용 채소 재배에 비해 훨씬 더 폭 넓고, 빠르게 발전했기 때문에 보다 더 많은 인구에게 소비재를 제공했다.
산업용 채소 재배 지역
1. 도시 근처
2. 공장과 상업 및 산업 거주지
3. 전체 지역
채소는 흩어지면서 유명한 특정 마을로 널리 퍼져갔다. 이러한 생산물에 대한 수요는 산업 인구뿐만이 아니라, 농업 인구에서도 있었다. 보로네시 농민 예상 지출 비용에는 1인 당 채소 지출이 47코펙이었으며, 지출의 절반 이상은 구매된 농산물로부터 소비됐다. 상업 농업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 경제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특히 채소 재배 지역에 따른 현지 조사 통계를 살펴봐야만 한다. 상트페테르부르크 근처, 로스토프 지역으로 온 이주 채소 재배자들은 온실 틀을 도입한 채소 재배가 널리 발전됐다. 대규모 재배자가 소유한 온실 틀의 수는 수천 개에 달했으며, 중간 규모 재배자의 소유 수는 수백 개에 달했다. 일부 대규모 채소 채배자는 군대에 수만 푸드의 절인 양배추를 공급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지역, 젬스트보 통계에 따르면, 지역 주민 가운데 474가구가 채소 재배로 가구 당 약 400루블 소득에 종사했으며, 230가구가 과일 재배에 종사했다. 자본주의 관계에서 이윤 추구자들로부터 무자비하게 착취 당한 상인 자본과 노동자 고용 형태로부터 매우 폭 넓게 발전해갔다. 이민자 인구 가운데 155명의 주요 야채 재배자는 각각 3,000루블 이상의 소득과 711명의 노동자 야채 재배자는 각각 116루블의 소득이 있었다. 모스크바 근처 농민 채소 재배자들은 전형적인 농촌 부르주아 계급의 일부였다. 대략적인 추산으로는 매년 400만 푸드 이상의 녹색 채소가 모스크바 시장에 도달했다. 일부 마을에서는 절인 채소를 대량으로 거래했다. 노가티노 볼로스트(Nogatino Volost) 행정 구역에서는 공장과 병영에 거의 백만 베드로스의 절인 양배추를 판매했으며, 심지어 크론슈타트에도 위탁 판매했다. 상업적인 채소 재배는 모든 모스크바 군에서도 널리 퍼졌으며, 주로 도시와 공장 주변에서 이뤄졌다. 양배추는 주로 볼로코람스크 군에서 온 고용된 노동자들이 다졌다. 야로슬라블 시 지역, 로스토프 군에서는 잘 알려진 채소 재배 지구가 존재했으며, 포레치예, 우고디치 등 55개의 채소 재배 마을도 포함됐다. 목초지와 초원을 제외한 모든 토지는 오래 전에 이미 채소밭으로 바뀌었다. 채소의 기술적 가공 및 보존이 매우 발달했다. 토지 생산물과 함께 토지 자체와 노동력은 상품으로 전환됐다. 마을 공동체였음에도, 포레치예 마을의 토지 소유권에 따른 불평등은 매우 컸다. 어떤 경우에는 4인 가족이 7개의 채소밭을 가졌거나, 다른 경우로는 3인 가족이 17개를 가져갔다. 이곳에서는 주기적인 토지 재분배가 일어나지 않았다. 오직 사적으로만 재분할됐다.「1897-1898년, 야로슬라블 지역 조사」에 따르면, 농민들은 그들의 채소 밭이나 채소 조각들을 자유롭게 교환했다. 그리고 밭일의 상당 부분은 남녀 일용직 노동자들로부터 수행됐다. 이들 중 많은 수는 주로 여름철에 이웃 마을과 이웃 시 지역에서 포레히에로 들어왔다. 야로슬라블 시 지역 전체에서 농업 및 채소 재배에 종사하는 사람은 10,322명이었으며, 그 중에 7,689명은 로스토프 출신으로 추산됐고, 이주 노동자들의 대부분은 해당 직업이 임금 노동자였다. 농촌 노동자들은 대도시, 야로슬라블 구 등으로 이주했으며, 유제품 농업뿐만이 아니라, 상업적인 채소 재배에도 종사했고 또한 발전했다. 채소 재배에는 온실 채소 재배도 포함됐다. 해당 산업에서는 모스크바와 트베리 현의 부농들 사이에서도 빠르게 발전해갔다. 첫 현에서는 「1880-188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3,011개의 틀을 갖춘 88개 사업장이 있었다. 노동자는 213명이었으며, 그 중에서 47명(22.6%)이 고용됐다. 총 생산량은 54,400루블이었다. 온실 채소 재배자들의 평균 투자액은 최소 300루블이었다. 가구 별 수익금을 받는 74명의 농민들 가운데 41명은 토지를 매입했으며, 많은 농민들은 토지를 임대해서, 농민 한 명 당 평균 2.2마리의 말을 소유했다. 따라서 온실 채소 산업은 농민 부르주아 계급만이 가져갈 수 있었다.
러시아 남부에서는 멜론 재배도 상업 농업 유형이었다.『재정부, 1897』에 따르면, ‘산업용 멜론 재배’에 대해 기사도 있었다. 생산 분야는 1860년대 말, 1870년대 초에 비코보(Bykovo) 마을에서 타사레브 군(Tsarev Uyezed), 아스트라칸(Astrakhan Gubernia) 시에서부터 시작됐다. 처음에는 볼가 강 유역으로 운반됐던 멜론은 철도가 생기면서부터 수도로 운송됐다. 1880년대, 사업 초기에 일반 농민들은 엄청난 이익으로, 1일 당 150-200루블을 올린 덕분에, 생산량은 최소 10배 증가했다. 진정한 소부르주아와 같이, 그들은 재배자 수가 늘어나는 걸 막고자 모든 일을 했으며, 새롭고 수익성 있는 직업의 '비밀'들을 이웃에게는 조심스럽게 감췄다. 치명적인 경쟁을 막고자 하는 농부 경작자들의 노력은 수포로 돌아갔고, 멜론 산업은 사라토프 시 지역과 돈 지역으로 훨씬 더 넓게 퍼져갔다. 1890년대 곡물 가격 하락 현상은 생산에 있어 특히 강력한 자극을 주었고, 지역 경작자들이 작물 순환 체계에 따른 어려움을 극복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도록 강요했다. 생산 확대는 고용 노동력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켰다. 멜론 재배는 상당한 양의 노동력이 필요했으므로, 1데시아틴을 재배하는 데만 30-50루블이 들어갔다. 고융주의 이윤과 지대도 훨씬 더 크게 증가했다. 로그역, 그랴지에서 차리친 철도 인근 수박 재배 면적은 1884년 20데시, 1890년, 500-600데시, 1896년, 1,400-1,500데시로 증가해갔다. 반면에, 임대료는 30코펙에서 1.50-2루블로, 각 연도에 따른 데시 당 4-14루블로 상승했다. 멜론 재배의 급격한 확대는 1895년, 초과 생산과 경제 위기로 이어졌으며, 상업 농업 부문에서는 자본주의 성격을 공고하도록 만들었다. 멜론 가격은 철도 요금을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하락해갔다. 멜론이 수확되지 않은 채로 밭에 그대로 방치하는 일도 생겨났다. 막대한 이익을 본 기업가들은 그제서야 손실을 깨달았다. 흥미로운 점은, 위기에 대처하는 수단이었다. 그들의 수단은 새로운 시장을 확보해서, 농산물 가격을 낮추고자 했다. 그리고 철도 관세를 사치품에서 민중 소비재로, 생산지를 가축 사료용으로 전환하려는 시도도 있었다.
기업가들에게는 산업용 멜론 재배의 발전이 있었고, 높은 철도 관세 외에는 발달에도 아무런 장애물은 없을 거라 내다봤으며, 당시에 건설 중이었던 차리친에서 티호레츠카야 철도는 산업용 멜론 재배를 위한 새롭고 폭 넓은 영역을 열어줬다고 장담했다. 산업의 미래에서, 멜론 위기에 따른 역사적 교훈은 농업의 자본주의적인 진화를 보여준 축소판이었다. 교외 농업과 상업 농업의 차이점은 교외 농업은 농장 전체가 특정한 주요 시장 상품에 맞춰 조정된다는 점이다. 교외 농업의 경우, 소규모 농부는 조금씩만 거래한다. 여름철 소작인과 영구 하수인들에게 임대해서 자신들의 집, 마당, 가축, 그리고 밭과 농장으로부터 생산된 온갖 종류의 농산물들을 거래한다. 수도 근처에서 아기를 기르고, 아내의 우유를 거래하며, 방문하는 마을 사람들에게는 언급조차 할 수 없는 수 많은 용역을 제공해서 돈을 벌어들이며, 고대 자본주의 유형에 따른 자연적인(가부장적인) 농부의 완전한 변형으로부터도, 돈의 힘에 대한 완전한 예속을 드러내며, 일반적인 인민주의자들에게 교외 농민들은 더 이상 자신들은 농민들이 아니라고 말하면서도, 별도의 범주로 넣어진다. 그러나 교외 농부와 이전에 모든 유형 사이의 차이는 다만 형태적인 차이일 뿐이다. 소규모 농부로부터 이뤄지는 자본주의의 전면적인 변형은 정지적 · 경제적인 본질마저 어디에서나 동일해지기 때문이다. 도시의 수, 공장, 상업 및 산업 마을 동네의 수, 기차역 수가 더욱 빠르게 증가할수록, 마을 공동체 사람의 유형에서 농민으로 변형되는 유형은 더욱 폭 넓어지게 된다. 애덤 스미스는 통신의 발달로부터, '모든 마을이 교외로 변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외부 세계와도 단절된 외딴 지역은 이미 예외였지만, 날이 갈수록, 고대 유물만큼이나 드물어졌고, 농부는 더 빠른 속도로 일반 상품 생산 법칙을 따르는 산업가로 변모해갔다.
4-6. 농업 자본주의와 농업 위기
러시아 농업에서 자본주의의 두 가지 문제점은 개혁 이후 형성된 농민과 지주 경제에 따른 기존 사회적 · 경제적 체계를 검토했다. 농민은 수적으로는 적었지만, 경제적으로는 강력한 농촌 부유층과 무산층으로 빠르게 분열됐다. 지주들은 노동 용역의 농업에서 농촌화에 따른 불가분한 관계 때문에 자본주의 농업 체계로 전환시켰다. 농업은 상품 생산으로 전환되는 방식에서도 시작했기 때문에 각 주요 상업 농업 형태에서 특징적인 사회적 · 경제적인 관계를 검토했다. 매우 많은 농업 조건 아래에서 농민과 사유지 농업 모두 동일한 과정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개혁 이후 농업 발전의 주요 특징
1. 개혁 이후 농업 발전에서 주요한 특징은 상업적 · 기업가적 성격이 강화됐다. 개혁 이후 농업 발전에서는 사유지 소유 농업에서 매우 자명했고, 소농에게는 쉽게 입증되지 않았다. 첫째로, 고용 노동은 소규모 농촌 부르주아지에게 절대적으로 필수적인 특징이 아니었다. 여기에는 자본주의적인 모순에 기반한 일반 경제 체제를 전제로, 자영업으로부터 지출을 충당하는 모든 소규모 상품 생산자들을 포함한다. 둘때로, 소규모 농촌 부르주아지는 여러 과도기적인 단계를 거쳐, 소규모 농민 및 토지를 할당 받은 농촌 무산층과 관련된다. 이러한 상태는 농민 안에서 농촌 부르주아지와 농촌 프롤레타리아트의 존재를 구분하지도 않는 이론들이 타당성을 갖고 있었다.
2. 농업 본질 자체로는 상품 생산 전환이 산업 대응과 달리 특수한 방식으로 진행됐다. 제조업에서는 각각 하나의 제품 또는 제품의 한 부분만 생산하는 데 전념하는 독립적인 개별 부문으로 분할된다. 그러나 농업은 시장 제품에 따라 완전하게 분리되지 않고 특화된다. 모든 측면이 주요 시장 제품에 적응하도록 만든다. 상업 농업의 형태는 지역뿐만 아니라 농장 별로도 매우 많다. 따라서 상업 농업의 발달 문제를 검토할 때는 농업 생산 전체에 대한 총체적인 통계로만 국한해서는 안 된다.
3. 상업 농장의 발달은 자본주의에 따른 국내 시장을 창출한다. 첫째로, 농업의 전문화는 많은 농업 지역 간, 사업체 간, 농산물 간 교환을 발생하도록 만든다. 둘째로, 농업에서는 상품 유통 영역에 깊이 편입될수록, 농촌 주민들의 개인 소비에 쓰이는 제조업 생산물에 대한 수요가 급속도로 증가한다. 셋째로, 소규모 기업가 또는 대규모 기업가는 구식 농민 도구, 건물 등으로는 새로운 상업 농업에 참가할 수 없기 때문에 생산 수단에 대한 수요가 급속도록 증가한다. 넷째로, 노동력에 대한 수요가 창출된다. 소규모 농촌 부르주아지의 형성과 지주들의 자본주의적인 농업으로 전환은 정규직 농업 노동자와 일용직 노동자 집단의 형성을 전제한다. 개혁 이후 시기에는 특히 상업 농업의 발달 때문에 자본주의가 국내 시장으로 확대되어 자본주의 농업의 발전, 공업 산업의 발전, 농업 공학 산업의 발전, 농업 산업의 발전, 고용 노동 등을 특징짓는다.
4. 자본주의는 농업 인구 내에서도 이와 같은 생산 양식의 모순을 크게 확대하고 심화한다. 역사적 의미로, 국내 농업 자본주의는 큰 세력으로 발전했다. 자본주의는 경작자를 '장원의 영주'로 불렀으며, 자연적이고 종속적이던 농민들을 현대 사회의 다른 모든 소유주와 같은 산업가로 변모하도록 만들었다. 자본주의가 등장하기 이전, 러시아에서는 농업은 지주 사업이었고, 영주의 취미였을 뿐이었고, 어떤 이들에게는 또 다른 의무였다. 농업은 오랜 관습에서만 운영됐으며, 경작자는 마을 너머의 모든 일들로부터 고립됐다. 경제에서, 옛 시대의 생존을 보여주는 노동 용역 체계는 뚜렷한 역사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 자본주의는 토지를 상품으로 전환하게 되면서, 토지 소유에 따른 사회적인 신분제와 처음으로 결별했다. 자본주의로부터 농부의 생산물이 판매됐고, 농부는 사회적인 계산의 대상이 됐다. 처음에는 지역 시장에서부터 시작해서, 그 다음에는 국가 시장으로, 마지막에는 국제 시장이 이뤄졌다. 이전의 세상과 고립된 서투른 농부의 경제적인 상태는 완전하게 무너지고 말았다. 농부는 파산의 위험을 무릅썼고, 세계 시장으로 연결된 자국과 다른 국가들의 사회적 관계에 따른 총체까지도 마구잡이로 계산했다. 곤차로프 소설 속 오블로모프와 같이 아무런 위험도, 자본 지출도, 심지어 오래된 생산 관행의 변화도 없이 확실한 소득을 보장했던 노동 용역 체계조차도, 미국 농부와 경쟁에서 무엇도 구할 수 없다는 게 드러났다. 반세기 이전, 서유럽에 대해 언급된 내용을 바탕으로도, 국내에서 이를 온전하게 적용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농업 자본주의는 역사의 흐름 속에서 낙원을 끌어당긴 원동력이였을 뿐이었다.
따라서 농업 자본주의는 농업에서 오랜 침체기를 처음으로 허물었다. 농업 기술 혁신과 사회적 노동에 따른 생산력 발전에서 엄청난 추진력을 제공했다. 자본주의가 수행한 파괴적인 노동에는 지난 수 세기 동안, 역사 전체보다도 더 큰 성과를 거두었다. 단조로운 자연 경제는 많은 형태의 상업 노동으로 대체됐으며, 원시적인 농기구는 개량된 농기구와 기계로 대체됐다. 구식 농업 체계의 부동성은, 새로운 농업 방식의 등장으로 인해 약화됐다. 이러한 모든 변화 과정은 농업 전문화 현상과 밀접하게 연관됐다. 본질적으로, 농업 산업에서 자본주의의 발전은 균등하지도 않았다. 이는 한 지역이나 농장에서 농업의 한 측면이, 다른 곳에서는 또 다른 측면으로 발전했기 때문에 일부 농업 운영의 기술 변형은 자연적인 농업 경제나 노동 용역에서도 분리됐다. 이 과정은 변덕스럽다. 생산자는 시장 요구에 따라 진행되기 때문에 자본주의 농업은 때로 각 지역과 각 국가로부터 이전 농업보다 일방적이고 불균형하지만, 전체적으로 자연적인 농업보다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다방면적이고 합리적이었다. 상업 농업에 따른 분리된 유형의 출현에서, 농업에서는 자본주의적인 위기와 자본주의적인 초과 생산에 따른 불가피한 사례를 제공하며, 이러한 위기에는 모든 자본주의적인 위기와 마찬가지로, 세계적인 생산 발전과 노동의 사회화로부터 훨씬 더 강력한 동기를 제공한다. 자본주의는 러시아에서도 최초로 기계 사용과 노동자의 폭 넓은 협력에 기반한 대규모 농업 생산을 창출했다. 자본주의가 등장하기 이전에 농산물 생산은 비참할 정도로 소규모였으며, 농민들은 분산된 생산을 해야만 했다. 토지 소유와 관련되어 자영업이나 지주를 위해 노동하든, 공동체적인 특징들조차 분산된 생산을 파괴할 수는 없었다. 이러한 분산된 생산과 불가분한 분산된 농민들의 특성도 있었다. 토지 할당량에 따라 작은 마을 공동체에 묶여 있던 농민들은 소속 범주로는 과거 지주 농민, 국농 등이고, 소유 규모의 차이로는 지주들로부터 해방 조건의 차이로 인해, 이웃 마을 공동체의 농민들조차 완전히 단절됐다. 자본주의는 중세적인 장벽을 무너뜨렸고, 이는 매우 잘된 일이었다. 많은 농민층 간 차이, 텃밭 규모에 따른 많은 각 계급 간 차이는 각 마을 공동체 내 경제적인 차이보다 훨씬 덜 중요하다. 자본주의는 지역적 고립을 파괴시켰고, 경작들 사이에서 미세한 중세적 구분을, 온 국민을 아우르면서 크게 구분해서 자본주의로 대체하도록 만들어서, 자본주의 경제에 따른 일반 체계로부터 서로 다른 지위를 차지하는 계급으로 나뉘도록 만들었다. 경작자 대중은 이전에는 생산 조건 자체로 인해 거주지에 얽매였지만, 많은 형태와 상업 및 자본주의 농업 분야에 따른 창출 때문에 전국적으로 큰 규모의 인구 이동을 초래했다. 인구의 이동성이 없다면, 주도적으로 발전할 수도 없었다. 국내 농업 자본주의는 노동 용역과 농부의 개인적 종속성이라는 뿌리를 깎아냈다.
노동 용역 체계는 『러시아 법률, 루스카야 프라우다』시대부터, 농민의 도구로 사유지 소유자의 밭을 경작하는 데까지 농업을 전적으로 지배해왔다. 비참하고, 무례한 성격을 가진 농부의 노동은 봉건적이지 않더라도 절반만 자유로운 성격 때문에 저하됐으며, 체제로부터 불가피한 수반됐다. 경작자의 시민권이 비교적 낮은 사회적 신분, 신체적 처벌, 공공 사업 배정, 분배 애착 등으로 손상되지 않는다면, 노동 용역 체계는 시행하지도 못한다. 따라서 국내 농업 자본주의는 노동 용역을 고용 노동으로 대체하는 데 있어 큰 역사적 공헌을 했다. 국내 농업 자본주의 발전에 따른 역사적인 역할에 대해 요약하자면, 농업 생산의 사회화이다. 실제로는 농업이 최상층의 특권적 점유 또는 최하층의 의무였기 때문에 일반적인 상업 및 산업 활동으로 전환됐으며, 경작자의 노동 생산물은 시장에서는 사회적인 계산의 대상이기 때문에 너무나 일반적이고, 획일적인 농업으로부터 기술적으로 변형되고, 많은 형태의 상업 농업으로 전환되면서 소규모 농가의 지역적 고립과 분산된 성격으로 무너져 내리고, 노동력 매매는 많은 형태의 속박과 개인적 종속으로부터 비인간적인 거래로 대체됐으며, 농업 노동을 사회화하도록 만들고, 시장 변동에 따른 무정부성, 개별 농업 기업에 따른 개별적인 성격과 대규모 자본주의 농업에 따른 집단적인 성격 사이에서 모순을 더욱 심화시키는 단일한 고리를 형성한다. 따라서 자본주의에 따른 발전에서 국내 농업의 역사적인 역할을 강조할 때는 경제 체제가 일시적인 성격이라거나, 그 속에 내재된 심각한 사회적 모순을 잊을 수 없다. 오히려 자본주의에 따른 '파괴적 활동'이라고만 한탄하는 인민주의자들이 바로 이와 같은 모순을 극도로 피상적으로만 평가하고, 농민층 분화를 얼버무리면서, 농업 기계 사용의 자본주의적인 성격을 무시했으며, '농업 산업', '고용'과 같은 표기로부터 농업에서도 임금 노동 계급의 등장을 은폐하고 말았다.
농업 자본주의에 대한 인민주의 이론
자본주의에 따른 문제에 대한 특정 이론들을 검토해보자. 대부분 인민주의자들은 농업 자본주의에 대한 마르크스의 본질적인 견해를 전혀 이해하지도 못했다. V.V. 보론초프는 마르크스 이론에서는 더 이상 농업을 다루지 않는다고 선언하고 말았고, 인민주의자들은 외교적인 자신들의 가정과 마르크스 이론 사이의 관계에 대한 질문을 더욱 회피했다. 인민주의 경제학자들 사이에서도 매우 널리 퍼진 가정 가운데 하나는 바로 ‘겨울철 해방론’이다. 자본주의 체제에서 농업은 다른 산업과 별도의 산업이다. 그러나 농업이란 일 년 내내 지속되는 게 아니라, 5-6개월 동안만 지속된다. 따라서 농업의 자본화는 '겨울철의 해방', '농민의 노동 시간을 노동 연도의 일부로만 제한시키며', 농민의 경제적 조건 악화에 따른 근본 원인과, 국내 시장 악화, 사회적 생산력의 낭비를 초래한다. 이러한 겨울철 이론의 유명한 전제가 있다. 겨울철 이론은 농업에서 일자리가 연중으로 매우 불균등하게 분포된다는 점에 근거하기 때문에 매우 포괄적이고, 역사적이고, 철학적으로 결론을 도출한다. 한 가지 특징으로는 추상적인 가정에서 나아가 이를 부조리하게 만들고, 자연적인 농업을 자본주의적인 농업으로 전환되는 복잡한 과정과 다른 모든 구체적인 특징들을 무시하면서, 바로 이전에 자본주의적인 '인민 생산'에 대한 낭만적인 이론을 복원하고자 간단한 방법을 사용하려는 시도였다. 추상적인 가정이 얼마나 터무니 없었고 편협한지는, 인민주의자들이 완전히 간과했거나, 과소평가한 실제 과정의 부분들을 살펴보자.
농업의 전문화가 진전될수록, 농업 인구는 더욱 감소하며, 전체 인구에서 더욱 더 작은 부분을 차지한다. 그러나 추상적인 개념 속에서 농업의 전문화를 실제로는 거의 도달하지 못하는 수준으로 끌어올린다. 파종과 수확 작업만이 별도의 산업이 됐으며, 경작과 비료 공급, 농산물 가공 및 운반, 축산, 임업, 건물 및 농기구 수리 등 모든 작업이 별도의 자본주의 산업으로 전환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추상화에 따른 현실 적용은 현실을 설명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농업이 완전한 전문화를 겪는다는 가정에는 농업의 순전히 자본주의적인 조직, 농부, 임금 노동자로 완전한 분리를 전제한다. 여기서 농민에 대해 말한다는 건 비논리적이다. 농업에 따른 순수한 자본주의적인 조직은 다시 일 년 내내 일자리가 더욱 균등하게 분배되는 작물 윤작, 합리적인 가축 사육 등에서, 많은 경우로는 생산물의 기술적인 가공과 농업과의 결합, 토양 준비에 더 많은 노동력이 투입된다는 점을 전제로 삼는다. 또한 자본주의는 농업 기업과 산업 기업 간 완전한 분리를 전제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분리에서 농업과 산업 임금 노동의 결합을 허용할 수 없다는 결론은 어디에서 나오는가. 선진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모든 곳에서 이러한 결합을 찾을 수 있다. 자본주의는 숙련 노동자를 일반 노동자와 한 직업에서 다른 직업으로 옮겨가는 비숙련 노동자로 분리한다. 이 노동자들은 어떤 대기업의 일자리로 끌려가기도 하고, 어떤 때는 실업자의 대열에 들어가기도 한다. 자본주의와 대공업이 발전할수록, 농업뿐만이 아니라 공업에서도 노동력 수요에 따른 변동은 커진다. 따라서 자본주의의 최대 발전을 전제하면, 농업에서 비농업 직종으로 노동자를 최대한 쉽게 이전할 수 있는 여건과 온갖 고용주가 노동력을 끌어내는 일반 예비군의 형성을 전제한다. 농촌 고용주들은 농장에 노동자를 공급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농촌 고용주들이 노동자들을 농장에 묶어두는 수단과 토지에 할당하는 등의 수단을 가진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토지로부터 할당 받은 농장 노동자 또는 일용직 노동자는 모든 자본주의 국가에서도 공통적인 유형이다. 그러나 인민주의자들의 주요한 오류 가운데 하나는 국내에서도 비슷한 유형이 형성된다는 점을 무시했다는 데 있다. 농민의 겨울철 노동 시간 확보 문제를 자본주의에 따른 초과 인구라는 일반적인 문제와 별개로 논의하는 건 잘못됐다. 실업자 예비군에 따른 형성은 일반적으로는 자본주의의 특징이며, 농업의 특징으로는 다만 이러한 현상의 특수한 형태가 생기도록 만들 뿐이다.
마르크스는 『자본』에서 '상대적 초과 인구' 문제에 대해, 농업에서 고용 분포도를 다루며, '노동 기간'과 '생산 시간'의 차이를 논한다. 노동 기간은 노동이 생산물에 적용되는 기간이며, 생산 기간은 노동이 적용되지 않는 기간을 포함한 생산물이 생산되는 시간이다. 노동 기간은 많은 산업에서 생산 시간과 일치하지 않으며, 농업은 전형적인 산업일 뿐이지만 유일한 산업은 아니다. 다른 유럽 국가와 비교해봐도, 러시아에서는 농업의 노동 기간과 생산 기간의 차이가 특히 컸다. 자본주의 생산이 나중에 제조업과 농업의 분리를 달성하고 나면, 농촌 노동자는 단순한 부업에 더욱 의존하며, 따라서 농촌 노동자의 처지는 더욱 악화된다. 모든 매출 차이가 자본으로부터 균등화된다. 그러나 노동자에게는 그렇지 않다. 그렇다면 검토 중인 사례에서 농업의 특성에서 도출되는 유일한 결론이라면, 농업 노동자의 지위가 산업 노동자의 지위보다도 훨씬 더 열악하다. 겨울철 이론은 농업 계급의 조건 악화에 근본적인 원인이라는, 인민주의자들의 이론과는 매우 거리가 멀다. 농업의 노동 기간이 12개월과 같다면, 자본주의 발전 과정은 똑같이 진행된다. 전반적인 차이점은 농업 노동자의 조건이 산업 노동자의 조건에 다소 가까워진다는 점이다. 따라서 V.V. 보론초프와 인민주의자들의 이론에는 농업 자본주의 발전에 전혀 기여하지 못한다. 러시아의 특수성에 대해서라면, 오히려 그러한 이론은 이를 제대로 설명하지도 못하며, 모호하게 만들 뿐이다. 농민들의 겨울철 실업은 자본주의 자체보다는 자본주의에 따른 불충분한 발전에 크게 좌우된다. 임금 자료에서도 나타나는 대러시아 주들의 겨울철 실업은 자본주의가 가장 덜 발전하고, 노동 용역이 우세한 지역에서 가장 만연했다. 노동 용역은 노동 생산력과 산업과 농업의 발전을 저해하도록 만들었으며, 따라서 노동력 수요가 감소했다. 또한 농민을 할당량으로 묶어 버리고, 겨울철에 열악한 농사일로 인해 일자리를 제공하지도, 생계를 유지하지도 못한다.
마을 공동체: 소규모 농업에 대한 마르크스 견해와 현대 농업 위기에 대한 엥겔스 의견
공동체 원칙으로부터 자본에 따른 농업 생산 장악을 막을 수 있다는 말은, 인민주의자들의 현대 인민주의 이론으로 나타난다. 이는 이전에 이론과 마찬가지로 추상적으로 공식화했다. 이러한 인용은 기본 전제에 따른 오류를 보여주며, 농업 자본주의 자체로부터 어떤 특수한 형태의 토지 보유를 필요로 한다고 생각하면 큰 오류이다. 초기 자본주의 생산 양식에서 직면한 토지 소유 형태로도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먼저 농업을 자본에 종식하도록 만드는 데 필요한 형태를 그 자신이 만들어낸다. 따라서 아무리 법적 형태가 많더라도, 봉건적 토지 소유, 씨족 소유, 마르크 공동체(Markgemeinschaft)에 따른 소농 소유가 생산 양식에 따른 요구 사항에 부합하는 경제적인 형태로 변형된다. 따라서 이러한 토지 보유 제도의 특수성은 농업과 법적인 관계와 삶의 방식에 따른 차이에서도, 자본주의 성격을 띠는 개별적인 형태를 막을 수 있는 장애물이 되지 않았다.
따라서 인민주의자들은 '마을 공동체인가, 자본주의인가'라는 막연한 주제에 관한 방대한 문헌을 만들어 냈으며, 문제 자체부터가 얼마나 잘못됐는지를 알 수 있다. 영국광 귀족이 국내 자본주의 농업을 도입하는 데 가장 뛰어난 업적을 세운 사람에게 상을 주기로 해서, 어떤 학계가 농민들을 농장에 정착하도록 만드는 계획을 내놓고, 어떤 게으른 정부 관리가 60데시아틴의 토지를 위한 계획을 꾸며낸다면, 인민주의자는 서둘러 도전장을 내밀어 자본주의를 도입하고, 인민 산업이라는 '팔라디움' 조각상을 파괴하려는 부르주아적인 계획에 맞서는 싸움에도 뛰어든다. 인민주의자들은 자본주의의 온갖 계획이 초안되고, 반박하는 동안에도, 계속해서 공동체 마을이 소규모 농민들의 마을로 변하고 있다는 점을 전혀 깨닫지 못하고 있다. 그들은 농민 토지 보유 형태 문제에도 매우 무관심하다. 토지 보유 형태가 무엇이든, 농촌 부르주아와 농촌 프롤레타리아트 사이 관계는 본질적인 변화를 겪지 않는다. 중요한 문제는 토지 보유 자체가 아니라, 농민들을 순수한 중세적인 과거의 잔재로부터 계속해서 짓누르는 농민 공동체의 사회적 · 신분적 고립, 집단적인 책임, 사유지 과세와 높은 농민 토지 세금, 농민 토지 매매와 농민 이동 및 정착에 대한 완전한 자유의 부재이다. 모든 시대에도 뒤떨어진 제도는 농민 분열을 조금도 보호하지도 못하지만, 많은 형태의 노동과 예속을 더욱 증폭하면서, 사회 전체의 발전을 크게 지연시킬 뿐이다. 마르크스와 엥겔스, 『자본』Ⅲ권에서도 했던 발언을 해석하려는 인민주의자들의 '독창적인' 시도가 있었다. 그들은 소규모 농업이 대규모 농업보다도 우월하며, 농업 자본주의가 역사적으로는 큰 발전 역할을 하지 않는다는 견해를 옹호했다. 이러한 목적에서 그들은 마르크스와 엥겔스를 인용했다.
'농업에 대한 다른 관찰에서 추론할 수 있는 역사의 교훈은 자본주의 체제가 합리적인 농업에 반대하거나, 합리적인 농업이 기술적 개선을 촉진시키더라도, 자본주의 체제와는 양립할 수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자신의 노동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소규모 농부의 손과 연합 생산자의 통제가 필요하다.'
해당 주장은 원자재 가격 변동이 이윤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는 완전히 고립된 단편이었지만, 농업을 구체적으로 다룬 6부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사실에서는 무엇을 도출할 수 있을까. 자본주의 농업과 산업이 합리적인 조직과도 양립할 수 없다는 점은, 오래 전부터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인민주의자들의 문제는 그게 다가 아니다. 여기서 마르크스는 농업 자본주의에 따른 점진적인 역사의 역할을 특히 강조했다. 마르크스는 자신의 노동으로 살아가는 소농에 대한 언급이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민주의자들 가운데 어느 누구도 자신들이 이를 어떻게 이해했는지를 설명하지도 않았고, 마르크스의 맥락에서 소규모 농업에 대한 일반 이론과 연결해보려고 하지도 않았다.『자본』에서 해당 구절의 요점은 원자재 가격이 얼마나 심하게 변동하고, 이러한 변동이 어떻게 생산적으로 비례하고, 체계적인 작동으로부터 농업과 산업의 균형을 교란시키는지다. 마르크스는 생산적인 비례와 체계적인 작업 및 계획적인 운영에서만 소농 경제를 '연합 생산자' 경제와 동등하게 평가했다. 수공예와 같은 중세 소규모 산업조차 연합 생산자 경제와 비슷했기 때문이다. 반면에, 자본주의는 생산에 따른 무정부성으로 인해 두 사회 경제 체제와는 다르다. 그렇다면 마르크스는 어떤 논리로부터 소규모 농업의 생존을 인정했으며, 농업 자본주의에 따른 점진적인 역사적 역할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을까. 다음은 마르크스가 농업을 다룬 특수한 부분이며, 소농 경제에 대한 특수한 절이다
‘토지 소유권은 본질적으로 사회적인 생산 노동력, 사회적인 노동 형태, 자본에 따른 사회적 집중, 대규모 가축 사육, 과학의 점진적인 적용 등의 발전을 배제시킨다.’
'고리대금과 조세 제도는 모든 곳에서 농업을 빈곤하게 만든다. 토지 가격에 자본을 지출하면, 자본은 경작에서 배제된다. 생산 수단은 끊임없이 파편화되고, 생산자 자신도 고립된다. 인간의 힘에서도 엄청난 낭비이며, 생산 조건의 점진적인 악화와 생산 수단 가격의 상승은 필연적으로 토지 소유권의 법칙이 된다. 이러한 생산 방식에는 계절적인 풍요와 재앙이 뒷따른다.'
'소규모 토지 소유권은 인구의 압도적 다수가 농촌에 살고, 사회적 노동이 아니라 고립된 노동이 우세해진다는 전제를 삼는다. 따라서 그러한 조건 아래에서는 부(富)와 재생산의 발전, 물질적, 정신적 전제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수 없으며, 합리적인 경작의 전제 조건마저 맞출 수가 없다.'
정작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대규모 자본주의 농업에 내재된 모순을 외면하지도 않았고, 오히려 가차 없이 폭로했다. 또한 자본주의의 역사적인 역할도 제대로 알고 있었다.
'자본주의 생산 양식에 따른 주요한 결과 가운데 하나는 농업을 사회의 가장 저개발층이 사용하는 경험적이고, 기계적인 자기 영속화 과정 속에서 사유 재산의 조건 아래로부터, 의식적이고 과학적인 농업 적용으로 전환시킨다는 점이다. 또한 토지 소유를 지배 및 예속 관계를 분리하면서, 토지를 생산 도구로부터 토지 소유 및 토지 소유자로 완전하게 분리시킨다. 농업을 합리화하면서 처음으로 농업을 사회적 규모 단위로 운영할 수 있도록 했으며, 토지 소유에 따른 부조리한 축소는 자본주의 생산 양식의 '위대한' 업적이다. 다른 모든 역사적 발전과 마찬가지로, 자본주의적 생산 양식은 직접 생산자를 완전하게 빈곤하게 만들면서 성과를 달성해갔다.'
마르크스의 단적인 진술로부터, 농업 자본주의에 따른 역사 발전 역할에 대한 견해에 대해서는 두 가지 의견이 있을 수는 없다. 그러나 인민주의자들은 또 다른 궤변을 찾아냈다. 이번에는 현재의 농업 위기에 대해 엥겔스를 인용하면서, 농업에서 자본주의의 발전 역할이라는 명제를 반박했다. 그러나 엥겔스는 마르크스, 차등 지대론에서 주요 명제를 요약한 뒤에 '토지로부터 더 많은 자본이 투자되며, 한 국가에서 농업과 문명이 전반적으로, 더 많이 발전할수록, 에이커 당 지대와 총액 모두 더 많이 상승하며, 대지주에게는 초과 이윤 형태로 지불하는 공물이 사회로부터 더 막대해진다는 법칙을 확립한다고' 지적했다. 엥겔스는 해당 법칙이 막대한 빚을 축적하면서도, 모든 위기로부터도 '자립하는 대지주 계급의 놀라운 활력'으로 설명한다. 곡물 가격 하락을 초래한 영국 곡물법 폐지는 정작 지주들을 파멸하도록 만들지도 않았으며, 오히려 대단히 부유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본주의는 토지 재산이 대표하는 독점적인 힘을 약화시킬 수 없다고 보여진다. 이에 대해 엥겔스는,
'모든 건 덧 없을 뿐이다. 대양 횡단 증기선과 북미와 남미, 인도의 철도는 새로운 경쟁자들을 불러일으켰다. 북미 대평원과 아르헨티나 팜파스 등은 세계 시장에서 값싼 곡물을 쏟아부었다. 그리고 이러한 경쟁에 직면하여, 미개척 평야뿐만이 아니라, 과세로부터 토지를 갈아엎으려는 러시아와 인도 농민들로부터도, 유럽의 소작농과 농민들은 기존의 지대에서도 승리할 수 없었다. 유럽의 일부 토지는 곡물 경작과 관련해서 경쟁에서도 결정적으로 탈락했으며, 지대 또한 모든 곳에서 하락했다. 두 번째 사례에서는, 추가 자본 투자로 인한 가격 하락과 생산력 저하가 유럽의 일반적인 현상이었으며, 따라서 스크틀랜드에서 이탈리아에 이르기까지, 프랑스 남부에서 프로이센 동부에 이르기까지, 지주들은 탄식만 해댔다. 평야는 완전히 경작되지도 않았다. 유럽의 모든 대지주와 소지주들을 파멸하고도 남을 만큼 충분한 경작지가 남아 있었기 때문이다.'
주의 깊게 읽은 독자들이라면, 엥겔스는 인민주의들이 강요한 말과 오히려 정반대의 말을 하고 있다는 점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엥겔스 견해에 따르면, 현재의 농업 위기는 지대를 감소시키며, 심지어 완전히 폐지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인민주의자들은 농업 자본주의로부터 토지 소유에 따른 독점을 폐지하려는 자연스러운 경향을 추구한다고 말했지만, 틀렸다. 농업 자본주의는 또 다른 엄청난 진전을 이루고 있다. 농산물에 따른 상업적인 생산을 끊임없이 확대하며, 새로운 여러 국가를 세계로 끌어들이고 있다. 인도와 러시아와 같은 마지막 피난처마저, 자연적인(가부장적인) 농업을 몰아냈다. 농업에서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무엇인가를 끊임없이 창조하고 있으며, 최신 기계를 갖춘 노동 대중의 협력에 기반한 산업적인 곡물 생산이 이뤄진다. 농업 자본주의는 구 유럽 국가들의 지위를 엄청나게 악화시키며, 임대로를 감소시켜, 가장 확고하게 자리 잡은 듯이 보였던 독점을 훼손하며, 토지 소유를 이론뿐만이 아니라, 실제로도 터무니 없는 수준까지 떨어뜨리고 만다. 농업 생산의 사회화를 제기할 필요성은 서구의 유산 계급 대표자들로부터 이뤄졌다. 그래서 엥겔스는 세계 자본주의의 최신 단계를 '환영했다.' 사물이 진행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경작되지 않은 미개척 초원 지대가 아직은 남아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인민주의자들은 옛날의 '농부 경작자', '신성한 시간'을 위해서만 한숨을 쉬어 댔다. 농업의 정체와 온갖 형태의 농업적 예속 및 속박은 영지 군주들 사이에서 갈등으로 나타났으며, 타타르의 침략마저 농업 자본주의를 참혹하게 흔들 수는 없었으며, 괴물 같은 자본주의로부터 철저하게 흔들리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