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노운 걸
장 피에르 다르덴 외 감독, 아델 하에넬 외 출연 / 플레인아카이브(Plain Archive)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복지부 장관 후보자의 사회적 약자 보호 발언에 깜작 놀랐습니다. 그간 숱하게 많은 복지부 장관들이 한 말과 다르지 않기 때문입니다. 더군다나 후보자가 오랫동안 기획재정부에서 일한 이력이 있어 더 의문스러웠습니다. 아무튼 앞으로 OECD 사망 통계도 무척 신경써야 할 것 같습니다. 통계청에 의하면 2021년 한국의 사망 원인 중 30대 이전은 자살이 1위에 올랐고 전 연령대에서 자살이 자주 보입니다. 자살의 주요 요인은 신체적인 질병이나 정신질환보다 경제생활 문제가 크다고 봅니다. 올해도 수원 세 모녀 사망 사건이 대표적으로 이를 방증합니다.

칸 영화제에서 수 차례 수상한 벨기에의 다르덴 형제는 영화는 사회적 약자의 편에 서야 한다고 말합니다. 어떻게 보건복지부 장관이 아니라 영화 산업의 한복판에 있는 영화감독이 이런 말을 할 수 있을까요? 이 지점에서 다르덴 형제는 멋진 세계의 니시카와 미와나 미안해요, 리키의 켄 로치와 일치합니다.

전작 내일을 위한 시간(Deux jours, une nuit)에 이어 묻기의 구도(求道)는 계속됩니다. 제명인 이름 모를 소녀(La Fille Inconnue)가 누구일까 궁금했는데 영화가 시작된 지 얼마 안 되어 알게 됩니다. 처음에는 주인공인 의사 제니인가 그랬는데 아니었죠. 인턴 쥘리앙과의 언쟁이 있다가 살인사건으로 이어집니다. 그 사건은 클리닉 인근에서 일어나고 경찰이 찾아오면서 드러납니다. 제니는 자기 때문에 흑인 소녀가 죽게 된 것이라고 생각하고 심한 죄책감에서 벗어나지 못합니다.

그렇게 그 흑인 소녀가 누구인지 묻습니다. 클리닉에 찾아온 환자들과 그 가족들에게 묻거나 왕진을 다니면서 계속 묻습니다. 이란 영화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Khane-ye doust kodjast)에서처럼 돌아다니며 흑인 소녀의 이름을 간절히 물어 봅니다. 왜냐하면 이름이라도 알아야 흑인 소녀의 가족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죠. 그렇지 않으면 행려자로 분류되어 이름 없이 묻히고 나중에 묘도 찾을 수 없게 됩니다. 여기는 벨기에 리에쥬(Liège) 또는 유럽 어딘가.

그런데 여기, 제니는 자기가 그때, 흑인 소녀가 클리닉의 문을 두드릴 때 열지 못한 것을 슬퍼합니다. 단지 그 사소한 행위로 (20년 조교 경력으로) 잘나가는 케네디 센터를 마다하고 작은 클리닉을 끝까지 선택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