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벌레들 조선을 만들다
강명관 지음 / 푸른역사 / 2007년 10월
평점 :
인간의 역사는 곧 의도를 갖는 책의 역사들이다. 책을 쓰는 사람은, 곧 책에 몰입하는 인간들이다. 다름아닌 책벌레들이다. 누가 세상을 만드냐고 묻는다면 나는 책벌레들이 만든다고 말하겠다. 이 책은 조선시대 책벌레들에 대한 이야기다. 잘 알려진 인물도 있고, 그렇지 아니한 인물도 있지만, 그들이 책에 베풀어놓은 생각들이 결국 조선 사회를 만들었던 것이다. - 강명관
책벌레라고 칭할 정도로 책에 미쳐 손에서 책을 놓지 않았던 조선 사람들(왕이든, 선비든)이 조선을 만들었다는 저자의 글은 날카롭다. 저자는 '정조는 개혁군주다', '퇴계는 조선의 뛰어난 사상가다'는 등 상식적으로 알고 있는 인물들에 대한 잘못된 평가를 단호하게 지적하고 있다. 정조는 오히려 새로운 사상을 타압했던 인물이고 퇴계 또한 그 시대의 사상경향인 주자학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못한 사상가였다는 것을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다.
우리가 단편적으로 알고 있던 조선 시대 인물들에 대한 지도를 그리고 사상적 , 문화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런 독서를 바탕으로 조선의 지식풍경을 이해하고 우리 시대의 방향을 가듬해 본다면 이책의 공은 크다고 할 것이다.
질문 하나,
책벌레들. 책을 좋아하고 , 책을 통해 세상을 이해하고, 세상을 바로잡으려던 사람들, 그리고 책을 통해 이 세상을 아름답게 하려던 사람들이 조선을 만들었다. 그렇다면 책을 볼 없었던 사람들은 무엇일까. 그들은 단지 먹고 일하고, 양반의 말에 고개를 숙이는 미물들인가.
만약 백성들이 없는 조선사회는? 양반사대부만 있는 사회는?
그게 가능하지 않다는 것은 누구나 알 것이다. 그렇다면 책벌레들이 조선을 만들었다면 그 책벌레들을 떠받혔던 백성들에 대한 말도 있어야 하지 않을까.
질문 둘,
그렇다면 지금 대한민국은 누가 만들까. 여전히 책을 읽고 창조하는 지식인들의 힘은 막강할까. 돈이 말하는 사회에 책의 역할은? 책벌레들의 역할은? 나름대로 책벌레라고 하는 이들은 고민하고 답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