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돈을 찍어내는 제왕, 연준 - 미국 중앙은행은 어떻게 세계 경제를 망가뜨렸나
크리스토퍼 레너드 지음, 김승진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23년 5월
평점 :
개인적인 기억이지만 미국의 금융정책을 조율하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즉 연준(Fed)의 존재에 대해서는 아마 경제에 특별한 관심이 없는 이상 경제학 전공자와 관련 업계 종사자들만 아는 수준이 아니었을까 싶다. 그러던 것이 어느새 일반인들 사이에도 연준의 정책결정이 관심사가 되어버렸다. 그만큼 자본주의의 심장 미국의 경제정책에 모든 부분을 관여하다보니 곧바로 글로벌 경제에 영향을 주는 아이콘이 되어버린 셈이다.
미국 재무부채권(미국 국채)을 담보로 잡고 그에 1:1로 대응하는 양의 미국 달러를 발행하는 역할을 필두로 통화정책 관장, 은행 등 금융기관 감독 및 규제, 금융체계 안정성 유지 등 연준의 역사와 역할은 미국 경제사를 그대로 투영한다해도 관건이 아니다. 하지만 지난 2008년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위기로 촉발된 경제위기로 인해 소위 ‘달러를 찍어내는’데만 급급했던 연준의 정책은 예기치 못한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어퍼컷을 맞고 위기를 더욱 심화시키는 트리거가 되어버렸다는 지적이 만연한다.
<돈을 찍어내는 제왕, 연준>은 우리에게는 경제위기를 탈출할 구원자로 비춰지는 연준의 실상을 소수의견자였던 저자가 지난 2010년 서브프라임발 경제위기 극복에 안간힘을 쓰던 당시 양적 완화 프로그램을 시행해 시중에 6000억달러를 더 푸느냐 마느냐를 두고 연준 위원 12명이 표결을 벌여 11대1로 찬성결정이 났을 때 이를 우려하며 유일하게 반대표를 던진 토머스 호니그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장 등 전현직 연준 관계자를 인터뷰한 후 연준에 대한 냉철한 분석을 담은 책이다.
저자는 인터뷰를 통해 지난 2008년 미국 금융위기의 탈출을 위해 선택한 연준의 ‘제로(0%) 금리’와 ‘양적 완화’ 돈 풀기가 미국은 물론 세계경제에 ‘자산 버블’과 ‘경제 양극화’라는 부작용을 낳았다고 결론내린다. 양적완화가 일으킨 거품이 잔뜩 낀 자산가격은 결과적으로 소수 자본가들만 폭리를 취하는 부의 불평등이 양산되었으며 늘어난 유동성을 무분별하게 대출로 소진시킨 시중은행들의 행보가 결국 금융시장 전반의 체질약화와 불안전성을 키웠다는 것이다. 즉 금융위기 탈출을 위해 돈만 푸는, ‘민낯을 가리기 위해 덕지덕지 화장으로 감추려는’ 미봉책이었다는 것이다.
이 책이 흥미롭고 읽어봐야 할 책이라는 점은 비단 이러한 연준의 이면에 담긴 부분들도 많지만 흔히 우리가 막연하게 상상하던 연준의 역할을 한때는 내부자였던 이들로부터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데 있다. 소위 ‘돈을 찍어내는’형태가 우리 상상하고는 다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금융불안으로 모든 책임을 당시 벤 버냉키 연준의장(달러를 마구 뿌려댄다는 비아냥조의 별명 ‘헬리콥터 벤’으로 알려졌다)에게 지울 순 없다고 봐야 하지 않을까? 그당시에는 딱히 양적완화 외엔 경제충격을 최소화할 방안이 없는, 바둑으로 치면 소위 ‘외길 수순’이었기 때문이다.
이런 요인을 감안하더라도 저자의 경고는 암울하다. “중앙은행이 할 수 있는 일은 더 많은 돈을 만드는 것뿐”인데 이런 극히 제한적인 수단만 갖고 있는 연준에 전세계가 의존하고 있다보니 “취약해진 금융 시스템에 코로나 팬데믹의 타격이 닥쳤을 때” 연준의 해결방안은 과거 사례에서 찾을 수밖에 없으며 이는 반복해서 더 많은 달러를 새로 찍어내는 방법 외엔 없기 때문이란다. 그렇다면 앞으로 위기는 더욱 커질 것임은 자명한 일. 일반 개개인의 서민들이 살아남을 방도를 찾아야 할 시기가 분명해졌다. 각자도생의 길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