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를 쓰는 마음 - 누구나 시인이 되는 순간이 있다
나태주.좋은님 지음 / 좋은생각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시를 잘 쓰고 싶은 마음이 들면 들수록 자꾸만 유치한 글이 써집니다. 어찌 보면 밤에 쓴 편지를 썼다가, 다지 지우거나 못 보내는 글과 비슷합니다. 시를 쓰는 마음을 읽으면서 '그땐 그런 마음이 있었지.' 하면서 잊혀졌던 마음이 떠올랐습니다. 좋은 시는 읽는 사람의 마음을 두드려주는, 너무 좋아서 눈이 반짝거리는 듯하고 마음속에 꼭 간직하고 싶어집니다.




언제부터인지 마음이 퍼석거림을 느낍니다. 시를 읽고 안 읽고의 차이가 있었습니다. 읽지 않은 날이 더 많았기에, 시가 주는 여운을 잊고 살았습니다. 좋은 글은 그렇습니다. 책마다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마음을 설레게 하는 책이 있는가 하면, 하루종일 마음이 소란스러운 책이 있습니다. 소란스러움이 좋을때도 있고 그 느낌처럼 시끄러울때도 있습니다.




시를 읽으며 그 모습을 떠올려 보았습니다. 추억에 잠기기도 하고 어떤 시를 읽으면서는 마음이 짠했습니다. 노트를 꺼내서 읽으면서 써보았습니다. 연필로 쓰다가 만년필로 쓰다가 다른 펜을 쥐어 보았습니다. 오랜만에 연필로 쓰려니까 있는 그대로의 글자가 좀 민망해보였습니다. 좋아하는 펜을 들고 시를 한편 읽으면서 쓰고 나면 그 다음장에 나태주 시인의 한마디가 적혀있습니다. 시에 대한 감상평 혹은 그와 관련된 이야기 그리고 독자에 대한 독려가 담겨져 있습니다.





시는 실제의 삶과 경험이 아래로 가라앉고

그 위에 생긴 맑은 물과 같은 것을 소재로 하여 쓰는 글이다.(79쪽)





이 느낌은 식혜를 만들때 엿질금의 윗물만 쓰는 것이랑 비슷한 느낌일까?

짧지만 간단하게 매일의 일상을 적어 봐야지 하다가 몇 번 적다 말다 한다. 일상의 소소함 그리고 힘겨움 다양한 감정에서 시가 탄생할 것이다. 처음엔 유치해도 점점 달라질꺼라 생각해본다. 아직은 무언가를 글로 내놓거나, 쓰기에는 부족하기에 그저 끄적이는 것으로 시작해보기로 했다. 기록은 뭔가를 꾸준하게 할 수 있게 해주고 기록이 쌓이면 기분이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