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이름은 망고 - 제4회 창비 청소년문학상 수상작 ㅣ 창비청소년문학 36
추정경 지음 / 창비 / 2011년 5월
평점 :
내 이름은 망고는 제4회 창비청소년 문학상 수상작이다.
책을 읽어 보니 역시 상 받은 책은 다르구나 하고 느끼게 된것은 열 일곱 살 수아가 내 앞에 서 있는 것 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아빠와 이혼하고 더운 나라 캄보디아에 살고 있는 수아, 수아 엄마 김지옥은 캄보디아에서 여행 가이드를 하고 있다.
빚 때문에 캄보디아에 거의 야반도주하다시피 와 있다는 사실을 수아는 알고 있다.
한국에 갈 비행기 값만 모으면 수아는 한국에 있는 아빠에게 갈 것이다. 그런데 수아의 아빠는 캄보디아에 온지 1년이 다 되도록 전화 한 번이 없었다.
그러던 어느날 수아 엄마는 홀연히 사라져 버린다. 수아가 한국에갈 비행기 값 500달러까지 챙겨가지고.
엄마의 친구 미경 아줌마는 이번에 수아 엄마가 일을 망친게 회사에 알려지면 다시는 가이드 일을 할 수 없을 거라며 수아에게 대신 일을 하게 한다.
엉겹결에 일을 맡은 수아는 자신의 이름 대신 엄마의 이름 김지옥으로 가이드 일을 하게 된다.
수아가 맡은 사람은 수아의 표현을 빌리자면 미술학원을 하는 줄리앙과 아그리파 성생님, 클랑과 띡띡언니(클랑은 마사지 할때 세게,띡띡을 약하게를 뜻하는 표현이라고 한다),오봉아저씨와 택이엄마이다.
수아가 망고라고 불리는 이유는 옆집에 사는 프랑스 유학출신인 봉주르 할배, 삼콜 할배가 캄보디아어로 망고가 스와이기 때문에 발음이 비슷한 수아를 망고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자신의 돈까지 가지고 달아난 엄마, 처음 해보는 가이드 일, 그리고 전혀 호의적으로 보이지 않는 여행객들, 게다가 엄마를 도와주던 쿤라까지 급성맹장염으로 수술을 받게 돼 앙숙이었던 쿤라의 딸 쩜빠와 5일을 동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수아가 5일간 쩜빠와 가이드 일을 하면서 캄보디아의 유적지 앙코르와트도 볼 수 있고, 영화로도 많이 알려진 킬링 필드 700만명의 인구중에서 200만명이 목숨을 잃었다는 끔찍한 죽음의 시기도 볼 수 있다.
쩜빠는 아버지가 한국인이지만 엄마와 그녀를 버리고 가버렸다. 쩜빠의 소원은 압사라춤을 열심히 배워서 아버지 앞에 그 춤을 춰 보이고 싶다고 한다. 그리고 다리를 다친 아버지를 대신 해 뚝뚝이를 모는 소년 쏙천, 삼콜 할배의 전용 뚝뚝이 기사이면서 한글이적혀진 옷이라면 사족을 못 쓰는 아이다.
여행5일간 수아는 앙숙이던 쩜빠와도 정이들고 쏙천과 삼콜할배와 [냉장고 비우기]요리로 저녁도 함께 먹는다.
오봉아저씨와 택이 엄마가 수아네 집을 찾아 오고 나서야 수아는 자신이 모르던 비밀을 알게 된다.
수아가 엄마와 둘이서 캄보디아에 올 수 밖에 없었던 이유, 엄마가 그 날 일을 하지 않고 사라져 버렸던 이유가 한꺼번에 밝혀 진다.
놀라움과 가슴 뭉클한 반전이 있는 내 이름은 망고..
캄보디아의 낯선 풍광과 역사, 그리고 그 안에서 어울려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잘 버무려진 재미있고 가슴이 말랑말랑 해지는 이야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