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동사니 증후군 - 아무것도 버리지 못하는 사람들의 행동 심리학
마이크 넬슨 지음, 최지현 옮김 / 큰나무 / 2011년 11월
평점 :
품절


아무것도 버리지 못하는 사람.

딱 나를 두고 하는 말인 것 같다.  집에서도 몇년이나 된 영수증을 버리지 못해 모아 두고 있고, 사무실에서는 책상 위는 폭탄 맞은 듯이 항상 너저분하다.

정리정돈을 잘 하고 싶지만, 바쁜 일상때문에 정리를 잘 하지 못한다는 핑계를 가지고 어지르며 살고 있다.

사실 정리를 하는데 많은 시간이 드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이렇게 정리를 하지 못하고 사는 이유는 무엇일까?

잡동사니 증후군을 보면 정리정돈을 못하는 사람은 그 사람의 머릿속도 그와 같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

청소만 해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내면의 문제를 해결 해야만 잡동사니 증후군에서 벗어 날 수 있다고 한다.

 

이 책을 읽는 사람이 자신이 잡동사니 중독인지 어떤지 체크를 해 보도록 하자.

책을 보면 자신이 어떤 유형인지 알 수 있다.  어지르는 것도 어지르지 않는 것도 습관이라고 한다,

습관이 쉽게 바뀔리 없기 때문에 전문가의 상담을 받는 것도 좋다고 한다.

그리고 잡동사니 중독에서 벗어나기 위해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지 자세히 나와 있다.

오늘 하는 일을 계획을 하고 목록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다.

회사일의 목록을 만들었다면 사생활 목록을 만들고 일과 사생활이 충돌하는 부분의 해결방법까지 만들어 본다.

이런것이 잡동사니 중독에서 벗어나는데 뭐가 도움이 될까 싶지만, 생각을 정리 한다는데 의미가 있는 것 같다.

그리고 메일 정리하는 방법, 종이서류 정리하는 방법도 나와있다.

 

이 책에는 실생활에 적용해 볼 수 있는 내용이 많이 들어 있다.

하루 하루 하는 일 목록, 그리고 여러 가지 표를 만들어서 자신이 잘 하고 있는 지 아닌지 체크 해 볼 수 있다.

정리정돈 별거 아닐거 같은데, 왜 그게 안되는지 잘 하는 사람은 이해 하지 못할 것이다.

그리고 그게 안되는 사람도 자신이 왜 이러고 사는지 스스로를 이해 못 할 것이다.

내 주변을 한 번 돌아 보자. 책상, 화장대, 서랍, 옷장 모든 것을 완벽히 깔끔하게 정리 할 필요는 없다고 한다.

완벽히 정리 되어 있지 않으면 참지 못하는 결벽증 환자가 되라는 것이 절대 아니다.

그리고 잡동사니 중독은 아직은 병으로 진단하지는 않지만 결벽증에 상대될 만한 병적인 수준이라고 생각해도 될 것이다.

 

어지르고 정리하지 못하는 것을 병이라 생각하고 고쳐나가겠다는 의지가 필요하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원래의 습성을 버리지 못할 것이다.

스스로를 변화시켜 나가겠다는 의지와 책 속에 나와있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잡동사니 중독을 탈출 할 수 있으면 좋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네 여자집 2011-12-11 21: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평 잘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