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자은, 금성으로 돌아오다 설자은 시리즈 1
정세랑 지음 / 문학동네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신간 코너에서  유난히 눈에 들어오는 제목을 보게 되었다. <설자은, 불꽃을 쫓다>.

표지때문일수도 있겠고, 호기심을 불러오는 제목이란 생각에서 호기심이 생긴것 같다. 읽어 볼까 하는 마음을 갖고 나서야 시리즈로 나온 책이고, 1편 <설자은, 금성으로 돌아오다>가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이름부터 얄궂은 운명(?)을 갖고 살아가는 설자은. 소설의 도입은 솔직히 지루했다. 해서 끝까지 읽어야 할 지 살짝 고민을 했더랬다. 고맙게도(?) <설자은 불꽃을 쫓다>를 읽어야 할 것 같아서 참고 읽어 보기로 했는데, 잘 참은 것 같다. 배를 타고 금성으로 들어오는 여정은 조금 지루했다.누가 죽게 될 운명(?)일지 너무도 쉽게 짐작을 했기 때문이다. 다만 사라진 여인들의 운명은 물음표로 남았다. 계속 이런 느낌이면 어떡하지 생각한 순간 '손바닥의 붉은 글씨' 편 부터 흥미로운 지점들이 보였다.실재있었던  전투가 허구로 변신했다. 그럼에도 전쟁의 비참함은 고스란히 전해진 느낌. 그리고 바로 그것이 함정(?)이 될 요소가 되었다. 독군어른을 죽음으로 몰아가게 한 살해목적이 마치 그곳에 있는 것인것처럼... 예상했던  결론과 살짝 비켜 가는 느낌이었지만,결론적으로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점이기도 했다. 자신만 살아돌아 온 것이 못내 부끄러웠던 독군어른 같은 분들이 많았으면 좋겠다는 소설적 상상까지 했으니..내가 푹 빠져 읽은 것이 분명하다. 소설적 재미는 크지 않았지만 길쌈이란 세계로 들어가 보는 상상을 할 수 있어 좋았다. 세상에 안타깝지 않은 죽음도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만든 세상이 원망스러웠지만..그럼에도 그의 죽음에 동정의 마음이 들지 않았다.아니 그렇게 생각하게 만든 '월지에 엎드린 죽음' 도 좋았다. 좀더 입체적인 구성으로 이야기가 전개되었으면 하는 아쉬움은 남지만,인과응보로 귀결되는 죽음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해 준 것 같아 짜릿했다. 죽어 마땅(?)한 죽음이라 해도,살해당한 것이 분명하다면, 목적(?)은 밝혀내야 한다. 

흠뻑 빠질정도의 재미는 아니었지만, 소설의 소재가 매력적이라 생각했다. 조금더 입체적인 느낌이 들었으면 하는 바람은 독자의 욕심일게다. 요즘 죽어 마땅한 사람들도 있는 거 아닌가..하는 나쁜 생각을 너무 많이 하게 되서,힘들었는데,소설로 대리 만족한 기분이다. 나쁜짓을 한 사람들은 딱 그만큼의 벌을 똑같이 받았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신라군이 강 하구에서 당의 보급선을 가라앉힌 뒤었지. 그 배엔 겨울을 날 식량이 실려 있었을 태고 재보급은 어려워진 셈이었어. 매초성 안의 당나라군은 먹을 것이 부족해지기 시작했지.알다시피 그 지역은 배가 고프다고 근처에서 약탈을 하기도 쉽지 않은 지여이잖나(...)"/76~77쪽


네이버(펌)



포천과 연천은 내가 궁금해하던 지역이 아니었다. 코로나시절 사람들(캠핑족을 제외하면) 이 많지 않은 곳을 찾아가다 보니, 원없이 한탄강길을 걷게 되었고,호로고루성 칠중성도 찾아 보게 되었다.  네이버 지식인에서 알려주길, 매소성전투.위치는 알 수 없다고 했다.당시 당나라 장수의 이름이 설인귀라는 문장이 유독 눈에 들어온 건..왠지 소설에 가져온 느낌...완전히 꾸며낸 이야기라고 했지만, 매초성전투가 유독 입에 감기는 기분이 들었던 건.연천을 오며가며 매소정전투에 대한 안내를 어딘가에서 읽었기 때문은 아닐지...지도를 들여다 보는 것 만으로도 그날의 치열했을 전투가 상상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왕은 모두를 죽일 수..도 있다!!

사람이 사람의 말을 들을 때는 듣는 기색이라는 것이 있지 않은가? 왕에게는 그것이 없었다. 어딘지 매우 사람 같지 않은 부분이 왕에게 있었다.(..)저 왕은 나를 죽일 수 있다. 여기 모두를 죽일 수 있다(..)/26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에도의 장인들 1 - 간다 고쿠라초 이야기
사카우에 아키히토 지음, 하성호 옮김 / 문학동네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함만 넘치고 실력이 없는 놈에게는 장인의 가치가 없다. 재주만 있고 의지가 없는 놈에게는 장인의 자격이 없다"




시리즈 느낌이 묻어나는 제목이라,완결이 될때까지 기다리고 싶었지만,참을 수..가 없었다. 책을 빌렸고, 오랜만에 여행을 떠났다. 시골에 있는 조그만 빵집.직접 밀을 재배해서 빵을 만든다고 했다. 운명처럼 '장인'을 만나러 가는 기분이 들었다. 통밀빵은 예약이 끝나서,다른 빵을 구입했는데, 서울에서 맛있다는 우리밀, 100% 에 대해 정말(?) 일까 의구심이 이 곳의 빵은 밀향기 그 자체였다. '장인'이라 불리워질만 하다.고 생각했다.직접 밀을 재배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닐테니까... <에도의 장인들>에 소개된 장인들의 면면이라 하면, 아주 탁월한 재능을 가진 이들만을 지칭하지 않는다. 한 분야의 최고가 되기 위해 상상할 수 없는 노력이 필요한다는 걸 알게 된다. 자신이 만든 물건이,누군가에게 해를 가할 수 있다는 것에 부끄러움을 아는 마음자세.함께 일하는 이들이 여자라고 무시하는 것 조차 감당하며 이끌어가는 리더의 힘(리더 같지 않은 리더를 오랫동안 겪다 보니, 올바른 리더의 모습만 보게 되면 나도 모르게 울컥해진다) 자신이 원하는 걸 만들어 내기 위해서라면 지난한 기다림의 시간도 참아 내야 한다.장인의 경지에 올랐다고 해서 끝나는 것도 아니다, 끝임없이 노력하는 과정을 숙명처럼 견뎌야 한다.



빵집에서 나와 인근 도시로 향한 곳 오래전 부터 가고 싶었던 책카페가 있었기 때문이다. <에도의 장인들>과 비슷한 풍경의 이미지가 보여서 반가웠고, 다음으로는 건축물이 '곳간'이란 점에 놀랐다. 곳간과 내가 만난 책카페 모양이 너무 닮아 있어서..(요즘 유행하는 만화로 만들었더니 더 그렇게 보이는 기분도 든다... 사용처는 서로 다르지만, 만든이의 마음은 왠지 비슷한 마음이었지 않을까 싶다. '가게의 낯' ..얼굴이어야 하는데, 겉만 번지르 해서는 안될일. ..그런데 이렇게 말하면서 나는 또 조금 부끄러워지긴 했다. 고요하게 책을 읽는 것에 약간은 들뜬 마음이 들어왔기 때문이다. <에도의 장인들>을 읽으면서 장인이 빚어낸 빵을 먹었고, 장인이 빚어낸 공간에서 책 읽는 호사를 누렸더니, '장인'이란 단어의 무게가 훨씬 더 깊게 와 닿은 기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설인 줄 알았는데, 소설이란 느낌을 받을 수 없었다. '성장소설'을 써보고자 하는 작가의 바람은 이뤄지지 않았고 4.3소설이 되었다고 했다. 그러나 독자는 소설이란 느낌을 받을 수 없었다.<순이삼촌>처럼 4.3에 대한 세세한 묘사가 그려져 있지 않았음에도 더 많은 4,3의 공기가 느껴졌다. '역사교육'이 왜 필요한가를 절실히 느끼고 있어서 일수도 있겠다. 국회의원 자격 조건에 역사에 대한 필수이수 과정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암기식 역사교육 말고,제대로 된 역사교육...!!

이 소설에서 저는 4.3을 ‘말로는 다 할 수 없는,즉 언어절의 참사‘라고 썼습니다.인간이 사용해온 언어로는 그 참사를 설명할 수도 묘사할 수도 없기 때문입니다.
(...)
역대 독재정권들은 그 사건이 세상에 알려지지 않도록 혹은 잊히도록 하기 위해 서슬 푸른 공포정치를 구사했습니다.흔히 그것을 망각의 정치라고 하죠.그런데 그 망각의 정치의 세뇌효과는 대단하여 어느 정도 민주화된 지금에도 국민의 상당수가 4.3을 모르거나 알아도 잘못 알고 있습니다. 잘못 알고 있으면서도 자기가 옳다고 막무가내로 우기는 사람들이 적지 않습니다. 더 나쁜 것은 4.3의 진실을 악의적으로 왜곡하는 정치세력이죠.그리고 모르면 알려고 해야 하는데 알면 마음이 편치 못하다고 아예 외면해버리는 사람들도 많습니다.많은 사람들에게 4.3은 ‘불편한 진실‘인 것이죠. 그러나 아무리 부정하고 왜곡하고 외면하려고 해도 4.3은 엄연히 대한민국의 역사입니다/작가의 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