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재자'에 관한 이야기라고 해서 냉큼 구입 했다. 그런데 글자 하나하나가 촘촘히 박혀 있는 것 같은 기분에 당혹스러운 마음을 추스리며, 책과 마주했다.읽는다는 기분 보다 활자를 하나씩 끄집어 내는 기분이 들었다. 구두점으로만 씌여진 소설이라니..가보선생은 어떻게 이런 실험(?)을 할 생각을 했던 걸까..작가는 이미 알았을게다. 이 소설을 쓰면서, 당신은 즐거웠고, 독자들은 고통에 몸부림칠 거란 사실을..... "빌어먹을 신문 같으니, 제기랄 사람들은 이런 걸 어떻게 참고 읽는지 이해할 수가 없어, 라고 중얼댔지만 재미없고 불쾌한 그 신문 읽기에서 무언가를 얻은 게 분명했는데(...)"/255쪽 부랴부랴 마크케스 선생에 관한 책을 도서관에 빌려와 함께 읽었다 덕분에 숨통이 조금 트이는 기분이 들었다. "<<족장의 가을>>에 도입된 의식의 흐름 기법은 가독성을 떨어뜨리지만 권력과 광기에 사로잡혀 혼자만의 세계에 빠진 독재자의 본성을 드러내기에 적합하다.난해한 기법 때문에 상업적으로는 실패했으나 이후 가보와 카스트로의 사이는 급격히 가까워졌다.(....)폭력과 학살을 비판했던 그가 카스트로에 대해 조건 없는 지지를 보낸 것에는 어쩐지 석연하지 않은 구석이 있다"/170~171쪽 (가르시아 마르케스(클래식 클라우드 29) 식민통치에서 무정부상태와 독재 다시 식민지로 이어지는 멕시코 브라질 아르헨티나 현대사를 배경으로 한다는 설명은 사실 중요하지 않은지도 모르겠다. 줄거리라고 하기에는 구두점으로 이어진 글로 인해 흐름이 나도 모르는 사이에 끊어져버린다. 해서 아예 앞과 뒤의 관계를 온전히 이해하며 넘어가려는 생각 자체를 포기했다. 그럼에도 눈에 보이는 재미들이 있었다. '재미' 라는 표현이 바른 표현은 물론 아니다. 권력을 가진자의 행태, 그 밑에서 기생하는 자들의 모습은 지금 내가 살고 있는 세상에서도 보고 있는 모습이다,가짜로 만들어지는 소문과, 여론, 역사왜곡, 권력자 한마디에 있던 법도 사라지고, 없던 법도 만들어지는 사회..충언은 귀담아 들으려 하지 않고...그래서 늘 허수아비가 필요하고,때로는 점쟁이도 필요하다. 세세한 줄기보다, 커다란 줄기를 따라 읽으려고 노력했다. 한 나라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라, 여러 나라의 독재자를 콜라주했기 때문이란 변명..순간순간 권력과, 정치와 역사와 광기,를 마주한 것으로 우선 만족해도 되지 않을까...
"<족장의 가을>은 롤랑 바르트가 말하는 '희열의 텍스트'이다. <<텍스트의 즐거움>>에서 바르트는 이런 글 읽기의 체험을 '즐거움'과 '희열'의 두 형태로 구분한다.'즐거움'의 텍스트는 문화에서 오고 문화와 단절되어 있지 않아 '글 읽기의 편안한 실천'을 허용하며 우리를 행복감으로 채워주는 그런 텍스트이다. 그것은 이성 문화 역사와 관계된 고전 작품과 긴밀한 연관을 맺고 있으며 독자의 문화 지식이 많을수록 즐거움도 크다.이에 반해 '희열'의 텍스트는 독자에게 안락한 독서를 제공하지 않은 채 독자의 역사적, 문화적,심리적 토대나 자신의 취향에 관한 가치관과 언어관마저 흔들리게 하여 자아가 회복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희열의 텍스트에서 즐거움은 산산 조각이 나며 언어와 문화는 파편화된다."/366~367쪽
역자의 해설..을 읽으면서 이렇게 반가운 적이 있었나 싶다 무엇보다 바르트 선생이 규정한 '희열의 텍스트'에 대한 간략한 담론이 무척 마음에 들었다. 내용 자체로도 힘들수 있는 이야기를 풀어낸 형식까지 가파른 산을 오르는 방식으로 취해진 이 소설을 포기하지 않고 읽을 수 있었던 건 알 수 없는 짜릿함이였는데..희열을 느끼고 있었던 모양이다. 프루스트의 소설 만큼이나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소설이 아닐까 싶다. 등장 인물에 대한 언급 없이도 할 수 있는 이야기가 넘치는 소설이라니~~^^
2월엔 마르케스의 소설(콜레라 시대의 사랑)을 읽어야 한다고 생각하던 때도 있었는데..<족장의 가을>을 너무 힘들게 읽고 나서는.. 마르케스의 소설은 백년..과 콜레라..로 충분하다 생각했는데... 유혹하는 제목을 보고 나니..한 번 더 마르케스와 만나야 하지 않을끼..우선 리스트에 찜해두고..8월에 읽겠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