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미인초> 속에서 발견한 유령 그리고 <유령작가>

그래서

궁금해진 또 한 권의 책 <유령의 시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봄'으로 읽혀지는 감정들...

이토코는 자리에서 일어난다. 이야기는 봄비와 함께 무너졌다/120쪽

장지문 안에서 대답은 들리지 않는다. 어머니와 딸에게 봄은 저물었다/144쪽

아버지의 호의는 다시 수포로 돌아갔다. 사요코는 맥없이 돌아간다.오노는 벗었던 모자를 머리에 얹고 재빨리 밖으로 나간다....동시에 가는 봄의 무대는 돈다/220쪽

후지오는 하지메라는 이름을 묘하게 울려 발음한다.
봄빛이 기운다. 봄날은 길어도 두 사람의 전유물은 아니다(...)/250쪽

봄날은 간다.가는 봄이 끝나간다(..)서쪽 끝에 쓸데없이 희미하게 불타고 있는 구름은 점차 자줏빛으로 변한다/280쪽 (오노의 마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서관에서 빌려온 책이다. 이름은 낯설었고, 그림은 다소 거친데, 아는 이름을 주인공으로 담은 그림들이 많이 보여 휘리릭 넘겨 보다가.. 제일 먼저 놀라게 된 건,오르탕스 세잔의 초상이었다.




화가 세잔의 아내 이기도 한 오르탕스. 세잔의 그림으로만 보았던 터라, 너무 다른 느낌이라 신기했다. 감상하는 이의 마음도 그렇지만, 결국,그림을 통해 우리가 마주해야 하는 건,'느낌'인지도 모르겠다. 모델을 바라보는 이의 마음이 이렇게 다르다. 화가의 마음도 결국 투영(?)되는 건 아닐까..세잔에 대한 히스토리를 조금 알고 있어서 그럴수도 있겠지만,마이라 칼만의 그림 제목(?) '꼿꼿하게 버티고 있는 오르탕스 세잔'을 보면서 상상하고 싶어졌다. 세잔은 저 그림을 어떻게 해석하고 싶었을까..오르탕스 세잔의 마음도 물론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백꽃을 보았다면 처연한 마음이 들었을 텐데..

황홀하게 지는 노을을 온몸으로 받고 있던 섬이 부러웠다.

그 섬(에) 가고 싶은 마음이 이런 걸까..싶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여자의 마음을 너무 잘 알고 있다는 생각을~~^^

여자는 긍정의 말로 부정의 뜻을 담는 신비한 솜씨를 갖고 있다/20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