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역 논어 ㅣ 홍신한문신서 1
이기석.한백우 역해, 이가원 감수 / 홍신문화사 / 2000년 10월
평점 :
품절
현실에서 안되니 책 속에서 훈남을 찾는다. 마르크스, 헤겔, 석가 이후로 또 나를 두근거리게 하시는구나. 옮겨적고 싶은 수많은 구절이 있었지만 간추려보자.
 |
|
|
|
子曰, 不患人之不己知오, 患不知人也라.
남이 나를 알지 못함을 탓하지 말고, 내가 남을 알지 못함을 탓하라.
|
|
|
|
 |
 |
|
|
|
子曰, 學而不思則罔하고, 思而不學則殆니라.
배우고 생각하지 않으면 오묘한 진리를 이해할 수 없고, 생각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한 사상에 빠지기 쉬우니라.
|
|
|
|
 |
 |
|
|
|
子曰, 朝聞道면 夕死라도 可矣니라.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으리라.
|
|
|
|
 |
 |
|
|
|
子曰, 以약失之者는 鮮矣니라.
검약하면 잃는것이 적으니라.
|
|
|
|
 |
 |
|
|
|
子曰, 不患人知己知之요, 患其不能也라.
남들이 나를 알아주지 않음을 걱정하지 말고, 내가 그 능력이 없음을 걱정할 것이니라.
|
|
|
|
 |
 |
|
|
|
子曰, 可與言而不與之言이면 失人이요, 不可與言而與之言이면 失言이니, 知者는 不失人하며 亦不失言이니라.
더불어 말할 만한 사람인데도 함께 더불어 말하지 않으면 사람을 잃고, 더불어 말할 수 없는데도 함께 더불어 말하면 말을 잃는 것이 된다. 지자(知者)는 사람도 잃지 않고 말도 잃지 않으니라.
|
|
|
|
 |
 |
|
|
|
子曰, 衆惡之라도 必察焉하며, 衆好之라도 必察焉하라.
|
|
|
|
 |
 |
|
|
|
子曰, 性相近也나, 習相遠也니라.
사람의 천성은 서로 근사하나, 습관에 의해 서로 멀어지느니.
|
|
|
|
 |
 |
|
|
|
子曰, 道聽而塗說이면 德之棄也니라.
큰 길에서 듣고 작은 길에 와서 이야기한다면 덕을 버리는 것이니라.
|
|
|
|
 |
 |
|
|
|
子夏曰, 日知其所亡하며 月無忘其所能이면 可謂好學也已矣니라.
자하가 말하기를, 날로 모르던 것을 알아가고 달로 할 수 있는 것을 잊지 않는다면 배우기를 좋아한다고 말할 수 있느니라.
|
|
|
|
 |
이것말고도 많은데 한자가 짧아서 못옮겼네ㅋㅋㅋㅋㅋ
사실 이 책을 사진 않았따. 도서관에서 빌려 읽었는데 읍니다 체를 쓰는 누런책, 뒷편에는 도서대출증까지 있는 추억가득한 책이었다. 87학번의 대선배님, 89, 94, 96학번... 이들 뒤를 이어 2006학번도 한 자리 차지하고 싶더라. 전자 대출이 편하긴 하지만 이러한 향수를 느낄 순 없다는게 아쉽다. 빌려읽었지만 서평은 적고싶어 알라딘에서 찾아봤는데 구판절판에다가 나와있지도 않고 신역으로만 나와있더라. 물론 새 책이 깨끗하고 빳빳하고 가독성도 좋으며 보관성도 좋아졌겠지만, 그 모든 단점을 커버칠 오래된 책의 매력이 있는데. 절판은 한정만큼이나 속상한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