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이 많이 오면 평소 산책 경로는 다니기 어렵게 된다. 숨어 있는 공터. 숲 속의 작은 길. 제설 작업 하는 분들 없음. 나 말고 다른 산책자들도 덜 나오심. 이른 새벽에는 무섭고 위험해짐. 동네에 조금 멀지만 아주 넓은 운동장(공연장 겸하는)이 있는데 여기가 대안. 여긴 눈, 비 피할 수 있는 공간도 있다. 그런데 지금 시설 보수 진행 중이라 입장 못하게 막아 놓았고 나는, 그래도 운동 하는 분들 있을 테니 그 분들 틈에서 (혹시 걸려도 같이 걸리면....) 생각으로 눈 많이 온 며칠 전 가보았는데 발자국은 많이 나 있었지만 사람은 없었다. 


발자국이 있다는 건 나도 들어가도 된다는 것. 들어가서 걸었다. 걸을 만큼 걷고 나서 나오려고 하는데, 내가 가는 방향으로 차가 진입해 정차했다. 운동장을 채운 조명들이 있지만 그래도 어둠 속에서. 차를 마주 보면서 걸어가기가 뭣해진 나는 오른쪽으로 방향을 틀고 걷기 시작했고 그리고 메아리치는 (메아리는, 쌓인 눈 때문에?) 남자의 외침을 들음. 어 거기, 저기요. 이 쪽으로 나가세요. 이 쪽. 


그게 마치 위의 사진 속 같았음. 

스릴러, 호러 영화에서 많이 본 어떤 장면 같았음. 

내가 가던 방향에 정차했던 그 남자는, 차문을 열고 내려와 서서 소리치면서 나갈 방향을 알려주고 탄식했다. "아이 C" (C까지는 아니었겠지만 한숨이 강하다보면 그럴 수 있겠지). 





어제 다시 가보았는데  

차량에 근거하여 같은 분인 것으로 짐작되는 그 남자와 다시 마주침. 이어폰 꽂고 걷는데 갑자기 남자가 나타남.  

내가 먼저 말했다. 저 조금만 걷다가 갈게요. 눈이 많이 와서 걸을 데가 없어요. 

그러자 그는 이 분이 그 때 그 분과 같은 사람인 거 맞는가, 세상 다정하게 말했다. 네 걸으세요. 라고. ㅎㅎㅎㅎㅎ 

비아냥, 반어적. 이런 게 아니었. 순간 세상이 달라지게 하는 다정함이었. 

그리고 그는 빗자루를 꺼내 와서 눈을 쓸기 시작했다. 눈은 계속 내리고 있었는데 그는 서둘지 않고 천천히 조금씩 눈을 쓸었다. 그리고 나는 걸었. 근처에 눈을 쓰는 사람이 있으니 무섭지 않고 좋았다. 





그러니까, 어떤 도덕적 충격, 도덕적 패배가 

한국의, 한국인의, 경험이었나. 이것을 증언해야 하겠습니다.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cott 2022-12-23 00:2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 ~~~
문단 문단 읽어나가면서
무서움 만큼
눈 위에 찍힌 발자국들

목소리,,,
저기요 ㅎㅎㅎ

마지막 라스트 씬은
요네스뵈의 스노우맨이 아니길 바랬습니다 ^^

몰리 2022-12-23 08:38   좋아요 1 | URL
그 남자의 손에 칼이 들려 있었다면! ㅎㅎㅎㅎㅎ
<사이코> bgm. 혹은 스크림.
요네스뵈. 그가 노딕 느와르 부흥을 이끌었다는 칭송 듣고나서
장바구니 담아, 담아는 두었는데, 아 노딕!!! 눈!!
 




발자크가 얼마나 끈질기게(?) 그러나는 아직 모르지만 

지금까지 읽은 것에서는 거의 예외없이 인물들의 긴 대화가 있다.

이건 대화라기보다 독백. 대화이긴 한데 한 사림이 아주 오래 얘기함. 최소 한 문단, 길면 4-5 페이지? 


나는 이게 아주 좋다. 

"사유란 공동의 작업"임을 보여줄 방법으로 이보다 더 좋은 게 없을 거 같다. 

한 사람이 깊이 생각하면서 그 생각을 오래 말할 때, 듣는 사람은 그 생각을 같이 하기. 

TED에 올라오는 소설 작법 주제 동영상에 소설의 대화는 현실의 대화의 근사치여야 하고 그러므로 길거나 복잡하면 안된다고 잘라서 말하는 내용이 있었다. (...........) 하지만 발자크는요? 발자크는 왜 그런 대화를 썼는가, 오래 오래 같이 생각한 다음 결정하면 안되겠습니까. 


한 사람이 온전히 방해 없이 자기 생각에 몰두하고 오래 방해 없이 자기 생각을 말하기. (그럴 수 있기). 

다른 사람은 그 생각을 같이 하기. 


저럴 수 없다면, 중년 이후 삶에서는, 의미 있는 (혹은 "충만한") 인간 관계가 

불가능하지 않나 쪽이다. 발자크 소설은 인물들을 혼자 오래 (아주 오래) 문어체로 심오하게 말하는 대화 상황에 둠으로써 독자에게 공동의 작업으로서의 사유, ㅎㅎㅎㅎㅎ 이것을 단련시킨다. 


모든 인간 관계는 반드시 자기와의 관계이기도 하다. 

이 말이 진실이라면, 혼자 있는 상황에서, 혼자서라도, 길게 방해 없이 깊이 생각하고 말하는 습관을 들일 수 있을지 모른다. 노후 대비에 이것도 포함시킬 수 있을 것이다. 




90년대에 읽은 책 중 기억에 오래 남은 책 별로 없는데 그 별로 없는 책들 중 하나가 저것이다.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 제목. 제목만 들어도 그 시절 무엇이 바로 떠오름. 요즘 "대설주의보" (시집 제목이기도 하지 않나? 최승호?) 눈 내리는 바깥 보면서 더욱 기억해 봄직한 제목. 


이 책에 실린 단편 중 제목이, 한편의 흑백 영화에 대해 그는 말했다... 던가, 그런 단편이 있는데 소설에서 그가 말하는 흑백 영화는 <태양은 가득히>. 주석 같은 것이 있었다고 기억한다. "이 영화는 실제로는 컬러 영화다, 그러나 기억에서 이 영화는 흑백 영화다" 투의. 


발자크 인물이 보여주는 기나긴 대화/독백이 좋다고 생각하다가 

저 소설을 기억하기도 했다. 저 소설에서도 한 인물이 오래 혼자서 말했던 거 같기도 하다. 


발자크 식으로, 기나긴 대화/독백으로 거의 전부가 구성되는 소설. 그런데 <태양은 가득히>처럼 독자를 깊이 몰입시키는 소설. 그런 소설 요청합니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건축탐구-집. 인천 구도심에서 69년생 집 리모델링 해 살고 있는 젊은 부부 출연한 에피 있는데 

두 사람은 그 집을 보고 그 집에서 살기 위해 결혼했고, 그 집에서 살아야 했던 건 그 집이 줄 "나무 하늘 햇빛" 때문에. 

나무 하늘 햇빛. (....) 나도 나도. 조금씩만 허락된 세 가지. 누리지 못하는 세 가지.    


산골에서 텃밭 농사 지으면서 사는 어느 부부 (나보다는 젊으신 게 확실한. 혹시 이제 젊다고는 못할 나이라 해도) 채널에서는 어느 날 보다가 뜻밖에 심쿵 한 적이 있는데, 텃밭에서 장면 전환하고 갑자기 저 멀리 보이는 하늘과 산 때문에. 하늘 그리고 산. 한국의 산이 아름답다 느낀 적 별로 없는데 그 순간 알았던 거 같다. 어떤 아름다움인지. 세잔이 그렸다는 그리고 또 그렸다는 그 산보다 이 산이 더 아름다워. 저 선과 저 색. 저 산을 명상하러 가고 싶다. 




일상 완전히 무너진 5일 보내고 

어제부터 어느 정도 복구가 되었다. 

그 하늘과 그 공기. 스탠포드나 예일만이 아니라 

한국의 어디서든 내가 그럴 수 있는 사람이라면 만들 수 있는 그 하늘과 그 공기. 

............. 그렇습니다. 내가 그럴 수 있는 사람이라면. 아니라면, 아니어도, 나무 하늘 햇빛. 그 산의 선과 색. 

그 하늘 그 공기 만들면서, 읽고 생각하고 쓰는 겁니다. 너도 쓰고 나도 쓰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ousin Bette by Honoré de Balzac | Goodreads




예전 집 집주인은 국힘 소속 구의원이었다. 

그게 그렇게 다짜고짜 내세울 사실일 거 같지 않은데 내세우시던 분. 

....... 굉장히 정신이 훼손된 분이었다. 

저렇게만 쓰면 또 뭐 막 국힘 지지자인 이들이 여기 와서 어쩌고저쩌고 욕을 욕을... 걱정을 갑자기 사서 하게 되는데 (아니 독자수 이미 충분히 적은 이 서재에, 누가 국힘 지지자가 여길 온다고) 


아무튼 국힘 지지자고 심지어 (그게 그리 대단 않더라도) 의원, 구의원 같은 걸 하시는 분이면 

정신이 극히 그들 고유의 방식으로 훼손된 사람이 아닐 수가 없을 것이다. 10년을 살아도 집주인과 만난 건 2번? 그런 경우도 흔하지만 예전 집 살 때 나는 처음 한 2년은 거의 두 달 한 번 빈도로 집주인을 봐야 했었다. 한 층에 네 가구가 있었는데, 집주인이 올 때 집에 있는 사람은 모두 나와서 봐야 했었다. 이 분은 예열에 한 5초, 그 다음 바로 고성이 가능한 분이었. 고래고래. 삿대질. 아니 뭘 소리 지르고 삿대질할 일이 있어서 그러겠. (그게 그러니까 미스테리....) 



삼풍 붕괴, 95년 여름. 이때는 반지하 집에서 살았었는데 

저녁에 담배 사러 집 앞에 나갔다가 뉴스 들음. 집에 들어와서 뉴스 보기 시작함. 

그 반지하 방. 반지하방에서 담배 파는 가게까지 이어지던 길. 그 가게 옆 돼지갈비집. 그 날 저녁 이것들 풍경 기억에 남아 있다. 슬로우모션으로다. 


그런데 그때 그게 그래도 순수의 시대였던 것이었. 


하이고. 깨다 만 숙취 같은 상태에서 맥주 벌컥벌컥 하는 중. ;; 어차피 숙취 느낌이면 마시고 숙취 느낌으로 가는 거야.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22-11-02 07:0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11-02 09:1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12-13 02:2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12-13 07:2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12-14 06:5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12-14 09:04   URL
비밀 댓글입니다.

단발머리 2022-11-02 10:0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는 술 안 마시는 인생인데 요 며칠 정말 술 마시고 싶다는 생각이 듭니다.
몰리님 글이 위로가 됩니다. 너무 많이는 드시지 마시구요....

몰리 2022-11-02 11:35   좋아요 2 | URL
간신히 루틴을 좀 만들어놨더니
붕괴했어요. 하이고... 술 거의 안 마셨는데 술 없이는 못 버티겠는 순간이 오게 되고.
정신 차리고 일어나야겠습니다.
 





착한 사람들을 주인공으로 <태양은 가득히> 찜쪄먹는 수준 긴장감 휘몰아치는 ㅎㅎㅎㅎㅎ 

소설을 쓰셨는데 



어찌 위대한 작가가 아닐 수 있겠. 



그 소설에 

바로 그 사람들을 만든 그 사회가 어떻게 인간을 타락시키나에 대해, 이 점에서는 아도르노를 찜쪄 드시는 수준으로다 놀라운 말씀들을 연달아 하십니다. 하십디다. 



아도르노가 이 현세는 (우리를 형성한 물질적, 정신적 세계는) "지옥"임에 대해 거듭 말하는데, 그게 도 발자크의 표절이었. ㅎㅎㅎㅎㅎㅎㅎ 정말로요. 발자크 책을 펴보세요. 아니 이걸 안 읽었어봐 아도르노가. ;;;;;; 그러게 되더랍니다. 그런데 그 지옥에서, 그 지옥을 이기는 인간이 나온다는 것.  



나중 깊이 탐구할 수 있게 되면 그래보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