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헤헤헤후후후후하하하하하
1
syo는 시력이 더럽게 나쁘다. 그 덕에 안경을 쓰면 가뜩이나 앙증맞은 눈 면적이 0.666… 배로 축소된다. 그에 따라 호구지수는 30배 증가한다.
그렇지만 안경을 벗으면 세상 뵈는 게 없다. 웃어른을 봐도 인사할 줄도 모르는 예끼-이놈이 된다. 사실 봐도 안 한 게 아니라 안 봬서 못한 것인데요…….
오늘 안경을 새로 맞췄는데, 눈알이라고 딱 두개 달고 있는 이놈들이 그간 더 열심히 탈선의 길을 걸은 듯했다. 집 나간 초점 찾아요. 흐린 윤곽 속의 그대 찾습니다.
무심결에 와, 내 눈알 정말 노답이다- 라고 말했는데, 이 안경사 양반이 가타부타 아무런 말도 하지 않았다! 물건 파는 이의 침묵은 세상에서 가장 힘 있는 긍정인 법, 전문가 시점에서도 내 눈알은 난해한 문제였던 듯하다. 이렇게 어려운 문제가 많은 세상에 내가 하나 더 보태는구나…….
안경테가 아무리 비싸고 아무리 트렌디하면 뭐하겠노, 눈알이 소실점이 되는 마당에…….
2
사르트르는 1933년에 후설에 대해 알게 된다. 고등사범학교 때의 친구인 레이몽 아롱이 1년 동안 베를린에서 공부하고 돌아와서 사르트르에게 후설에 대해 이야기해 준 것이다. 그들은 몽파르나스 가에 있는 한 바에서 만났는데, 아롱은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이보게, 친구. 자네가 현상학자라면 이 칵테일에 대해서 말할 수 있네. 그리고 그것이 철학이라네!” 그 자리에 있었던 보부아르는 사르트르가 이 말을 듣고 흥분하여 창백해졌다고 술회한다. 자리가 파하고 사르트르는 곧장 서점으로 가서 레비나스가 쓴 후설에 대한 책을 구입했고, 곧 베를린 프랑스 연구소에 가서 1년 동안 후설에 관한 연구에 전념했다.
_ 강미라, 『사르트르 vs 메를로퐁티』
『살구 칵테일을 마시는 철학자들』의 탁월함을 증명할 수 있는 기회가 와서 기쁜 마음이다. 이 훌륭한 책은 저것과 같은 대목을 아래와 같이 서술하고 있다. 이 부분은 또한 ‘현상학’이라는 학문에 대한 선명하고도 훌륭한 스케치를 제공하고 있고, 동시에 현상학이 실존주의 철학의 한 근원이 되는 이유에 붙인 납득할 만한 설명이기도 하므로, 좀 길지만 긴 대로 옮기기로 한다. 현상학을 전혀 모르는 서친님들, 몇 년 전의 syo처럼 후설(Husserl)이 한자(이를테면 後說 뭐 이런 거)가 아닐까 생각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면서.
이제 사르트르와 보부아르는 테이블에 동석한 세 번째 남자가 전하는 소식에 흥미를 느낀다. 이 세련된 남자는 사르트르의 오랜 친구인 레몽 아롱으로 고등사범학교의 동창이다. 다른 두 사람과 마찬기지로 아롱은 겨울 휴가차 파리에 와 있다. 하지만 사르트르와 보부아르가 프랑스의 지방 도시에서-사르트르는 르아브르에서, 보부아르는 루앙에서-교편을 잡고 있던 반면, 아롱은 베를린에서 공부하고 있었다. 아롱은 지금 친구들에게 거기서 접한 현상학phenomenology이라는 리듬감 있는 이름을 가진 새로운 철학에 관해 말하는 참이다. 이 단어는 영어로든 프랑스어로든 긴 단어지만 우아하게 균형이 잡혀 그 자체로 약강 3보격의 운율(pheno·meno·logy)을 이룬다.
아롱이 전하는 말은 다음과 같았을 것이다. 전통적인 철학자들이 흔히 추상적 공리나 이론부터 시작하는 것과는 달리 독일의 현상학자들은 매 순간 스스로 자신이 경험한 삶에 직접 접근하려 한다. 그들은 플라톤 이후 철학을 유지해온 퍼즐들, 즉 어떤 것이 실재하는 건지 아니면 환상의 편린들일 뿐인지, 혹은 타인들도 마음을 가지고 있는지, 혹은 우리가 확실히 알 수 있는 것이 있는지 등의 물음들은 무시한다. 대신에, 현상학자는 이런 질문을 하는 모든 철학자가 이미 대상으로 가득 찬 세상 속에 던져졌거나, 최소한 대상들의 외연 혹은 '현상phenomena'('현시되는 사물'이라는 의미의 희랍어에서 유래)으로 가득 찬 세상 속에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러니 현상을 마주하는 것에 집중하고 그 밖의 것은 제쳐두는 것이 좋지 않겠는가? 예전의 퍼즐들을 영원히 배제할 필요는 없지만, 이를 그대로 괄호 안에 묶어둔다면 철학자들은 더 현실적인 문제들에 집중할 수 있을 것이다.
현상학자들의 선도 사상가인 에드문트 후설이 외친 구호는 "사물 그 자체로!"였다. 사물을 휘감고 있는 해석을 위해 시간을 낭비하지 말라는 것이고 특히 대상이 실재하는지에 대한 물음으로 시간을 허비하지 말라는 의미다. 즉, 그것이 무엇이든 당신에게 보이는 대로 그것을 바라보고 최대한 정확히 그것을 설명하라는 뜻이다. 또 다른 현상학자인 마르틴 하이데거는 여기에 자신의 해석을 더했다. 그는 역사를 통틀어 철학자들이 부차적인 질문에 시간을 낭비하느라 가장 중요한 질문을 잊고 있었다고 말한다. 그것은 바로 존재에 관한 물음이다. 사물이 존재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당신 자신이라고 말하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만일 먼저 이런 물음이 없다면 어떤 것도 소용없는 짓이라고 그는 주장한다. 다시 한 번 그는 현상학적인 방법론을 권한다. 지성으로 쌓은 잡동사니들은 무시하고 사물에 집중해 그것들이 스스로 당신 앞에 모습을 드러내게 하라.
"그러니까 작은 친구야", 아롱은 사르트르를 학창 시절부터의 애칭으로 부르며 말했다. "만일 자네가 현상학자라면 이 칵테일에 대해 말하는 순간 거기서 철학이 만들어진다는 뜻이지!“
_ 사라 베이크웰, 『살구 칵테일을 마시는 철학자들』, 12-14쪽
핵심이 되는 두 문장만 비교해 보자.
- 레이몽 아롱(Raymond Aron) : 이보게, 친구. 자네가 현상학자라면 이 칵테일에 대해서 말할 수 있네. 그리고 그것이 철학이라네!
- 레몽 아롱(Raymond Aron) : "그러니까 작은 친구야, 만일 자네가 현상학자라면 이 칵테일에 대해 말하는 순간 거기서 철학이 만들어진다는 뜻이지!“
음, 내가 사르트르라면 레이몽보다는 레몽하고 더 친하게 지냈을 것 같다. 작은데 작다고 해서 빡치긴 해도. syo르트르를 베를린으로 보내려면 말발이 레몽 정도는 되야지, 레이몽 가지고는 좀 힘들겠다.
3
실존주의 철학에 관한 책들을 읽으면서, 이번만큼은 3H를 피할 수 없겠다고 느꼈다. 널리(?) 언급되는 3H란 다음과 같은 세 선생님을 말한다.
1H : 헤헤헤헤헤헤헤헤겔
2H : 후후후후후후후후설
3H : 하하하하하하이데거
정말 이름부터가 얄미운 선생님들이 아닐 수 없다. 특히 1H 선생님이 제일 얄밉게 웃는다. 쪼매 읽어본 바, 이 선생님들에 대해서라면, 준비운동으로 각기 다음과 같은 책들을 권할 수 있겠다.
헤쌤
헤겔 / 피터 싱어 지음 / 노승영 옮김 /교유서가 / 2019
저자 스스로 이 책으로 부족하다고 시인하고 있다.
다시, 헤겔을 읽다 / 이광모 지음 / 곰출판 / 2019
그나마 쉽기로 따지면 요 책도 썩 괜찮지만.
헤겔 정신현상학의 이해 / 한자경 지음 / 서광사 / 2009
헤쌤의 주저라 할 수 있는 <정신현상학>을 읽기 위해선 요 책이 좋을 수 있다. 한자경 선생님은 뭐랄까, 쪽집게 입시 강사 스타일의 ”도식을 이용한 핵심정리“에 매우 강하다. 칸트 읽을 때 한자경 쌤 덕을 많이 보았다.
정신현상학 강독 1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지음, 전대호 지음 / 전대호 옮김 / 글항아리 / 2019
실은 얘한테 기대를 많이 하고 있는데, 전 5권 예정이라고 한다.
후쌤
에드문트 후설, 엄밀한 학문성에 의한 철학의 개혁 / 박인철 지음 / 살림 / 2013
이게 얇고,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도 그나마 알아먹을 수 있는 책이었다. 그러나 현상학에 대해 좀 아는 듯 보이는 어느 독자의 혹평도 달려 있다.
후설의 현상학 / 단 자하비 지음 / 박지영 옮김 / 한길사 / 2017
그래서 안정적으로 이 책을 추가로 권한다. 그렇지만 갑자기 난이도가 훅 뛰는 느낌은 있다. 고 한전숙 선생님의 현상학 책이 입문서로 최고라는 전설 같은 썰이 돌지만, 구할 길이 없다.
하쌤
삶은 왜 짐이 되었는가 / 박찬국 지음 / 21세기북스 / 2017
일단 읽힌다는 이유에서 이 책을.
들길의 사상가, 하이데거 / 박찬국 지음 / 그린비 / 2013
그러나 턱없이 부족하다는 이유에서, 저 책의 상위호환 같은 요 책을.
--- 읽은 ---
+ 히쇼의 새 / 오노 후유미 : 187 ~ 379
+ 드로잉 피직스 / 돈 레몬스 : 201 ~ 351
+ 시몬 드 보부아르, 익숙한 타자 / 우르술라 티드 : 102 ~ 265
--- 읽는 ---
= 회계는 어떻게 역사를 지배해왔는가 / 제이컵 솔 : ~ 69
= 지금 당장 경영학 공부하라 / 김태경 : 138 ~ 272
= 읽거나 말거나 / 비스와바 쉼보르스카 : 125 ~ 279
= 자본론 공부 / 김수행 : ~ 137
= 프란츠 파농, 새로운 인간 / 프라모드 K. 네이어 : 101 ~ 193
= 사르트르 vs 메를로퐁티 / 강미라 : ~ 75
= 올리브 키터리지 /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 : 1/617 ~ 130/617